• 제목/요약/키워드: 셔츠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빨간색 셔츠에 대한 시각적 감성 비교 (Comparison of Visual Sensibility for Red Shir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반홍우;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57-64
    • /
    • 2012
  • 본 연구는 빨간색 셔츠의 시각적 감성을 비교 분석하여 소비자 감성을 반영한 셔츠의 색채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시각적 평가방법으로 7가지 톤의 빨간색 색지와 빨간색 셔츠에 대한 시각적 감성과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 분석, 평균, 요인 분석,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빨간색 셔츠의 시각적 감성은 스포티, 로맨틱, 클래식 등 3개의 감성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 요인들은 톤, 성과 국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에 비해 strong톤의 빨간색 셔츠가 더 스포티하고, dark톤이 더 클래식하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한국 대학생은 deep톤의 빨간색 셔츠를 로맨틱하다고 평가하였으나, 중국 대학생은 light톤과 pale톤의 셔츠를 로맨틱하다고 평가하였다. 한편, 7가지 톤의 빨간색 셔츠에 대한 선호도는 국적 및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보다 dark톤과 pale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구매하고 싶어 하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strong톤의 셔츠를 더 선호하였다. 또한 남자 대학생이 dark와 dull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선호하는 반면, 여자 대학생은 light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선호하였다.

  • PDF

남성셔츠 줄무늬 특성이 감성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ipe Pattern for Men's Shirts on Emotion)

  • 공진희;권영아
    • 감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65-74
    • /
    • 2013
  • 본 연구는 남성셔츠 소재의 선염 줄무늬 특성에 따른 시각적 감성 이미지의 차원을 알아보고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남성셔츠 소재용 줄무늬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남성셔츠 줄무늬 감성은 매력성, 성숙성, 품위성, 실용성, 단순성의 5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남성셔츠 소재 줄무늬의 특성이 감성 차원 및 선호도와 구매 욕구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색상, 배열, 간격 등 줄무늬의 특성이 남성셔츠 소재의 시각적 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두 가지 두께의 부등간격 줄무늬 조합이 매력성, 실용성이 높기 때문에 선호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되는 복합색의 줄무늬가 매력성이 높으므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셔츠와 블라우스용 선호소재의 색상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lor of Preferred Textiles for Blouse and Shirts)

  • 김희숙;나미희;조신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1-31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계절별로 선호하는 셔츠와 블라우스용 소재의 색상을 분석하고 이의 계절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며, 셔츠와 블라우스용 선호소재의 색상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남녀학생의 109명으로, 1차 연구에서 조사된 각 계절별 선호직물 10종을 시료로 선정하고 색차계(Color Quest Sphere II)를 이용하여 Spectral Data와 Color Plot, Master Color Data, Trend Plot등의 색상자료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

여대생의 국적에 따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과 촉감 선호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s for Casual Shirt Fabrics Compared by the Nationa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멍위;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105-114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인 감각과 선호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춘추용 캐주얼 셔츠의 소재로 시판되는 소재 중에서 섬유조성이 상이한 7가지 종류의 흰색 셔츠 직물을 선정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의 평가자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으로 40명이었다. 참가자들은 7종 소재를 관찰하고 나서 주관적인 감각과 촉감 선호도에 대한 평가를 설문지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을 요인분석한 결과, 평활감, 경량감, 유연감, 신축감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주관적 감각 요인은 소재의 섬유조성별 국적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 보다 면 100%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고, 폴리에스터 50%/모달 50% 소재와 P100 소재를 더 신축성이 있다고 평가하였으나, 중국인 여대생은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섬유조성별 촉감 선호도는 국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에 비해 면 80%/폴리에스터 20% 소재,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 아마 100% 소재를 더 선호하였다. 한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 요인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국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한국 여대생의 경우, 평활감과 유연감이 캐주얼 셔츠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국인 여대생은 평활감, 유연감, 신축감이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 기획시 이러한 감성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드레스 셔츠 스타일 선호도(選好度)와 구매태도 분석(購買態度 分析) (A Study on the Shirt style Preference and the Shirt Purchase Attitude)

  • 구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40-5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irt market, to find out the shirt trend in 2005 A/W, to analysis shirt style Pref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shirts purchase attitude according to the income, age, and occupation of the 321 respondents, for developing the possibility & strategy of the dress shirts market in men's wear for the apparel marketers and manufactures. For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321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 In 2005 A/W, Countessmara, Daks, Dupont, Renoma, and Yesac were commomly distributed in 5 department stores in Daejon and Seoul. There were seen trends that were pursuing a various fabric, colors, details, and high-touch design in shirt. Men workers prefered the Basic and Modern casual style to Soft, Sophisticated, Modern mannish, and Trendy style shirt. The 133(41.4%)respondents estimated that the important viewpoint in purchasing dress shirts was 'Design. The 212(66%) respondents estimated that they prefered the different shirt brand from their suits. And results revealed that Daks ranked best brand (13.7%), and Renoma ranked best two brand (6,5%). The 103 (32.1%) respondents estimated that they possessed the three shirts per one suits. The 201(62.6%) respondents estimated that they prefered the department store for purchasing shirt. And, the 114(35.5%) respondents estimated that the fir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which influenced on purchasing dress shirts was the store display, next was internet(15.9%).

A Study on the Upper Body Shape of High School Boys to Develop Uniform Shirts

  • Cha, Su-Joung;Wee, Hye-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03-113
    • /
    • 2020
  • 본 연구는 사이즈코리아의 제7차 인체치수조사 자료 중 16-18세 고등학교 남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상반신 관련 치수를 분석하여 상반신 체형을 분류하고 체형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복셔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고등학교 남학생은 높이항목은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너비, 두께, 길이, 둘레, 어깨경사각, 몸무게 항목에서는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반신 체형은 어깨길이가 길고 상반신 둘레와 너비가 작은 '긴 어깨 마른 체형', 상반신길이가 길고 상반신 둘레와 너비가 큰 '긴 상체 비만 체형', 어깨길이가 짧고 상반신 두께와 너비가 중간인 짧은 어깨 보통 체형, 어깨길이가 길고 둘레와 너비는 중간 정도인 '긴 어깨 보통 체형' 등 4개로 유형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사이즈 자료를 바탕으로 패턴 개발 및 사이즈 체계 구축을 통해 실질적인 맞음새가 우수한 교복 셔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닥스와 레노마 선호집단간(選好集團間) 드레스셔츠의 이미지지각(知覺), 패션의식(意識), 구매태도(購買態度)의 차이(差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Dress shirt Image Perception, Fashion Consciousness, and the Dress shirt Purchase Attitude between the Daks group and the Renoma group)

  • 구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1호
    • /
    • pp.164-17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image perception of dress shirts, the shirts style preference, the men's fashion consciousness, the shirt purchase attitude, and the usage of the information source between the Daks group(44 respondents) and Renoma group(21 respondents), for developing the possibility and strategy of the dress shirt market in men's wear market for the apparel marketers and manufacturers. For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65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simple correlation, ANOVA.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6 stimuli for image perception rated on 5 point Likert-type scales in the 12 features were evaluated by perceivers. By the best 3 features abstracted from each stimulus, the shirts styles were named, they were Basic style, Soft style, Sophisticated style, Modern casual style, Mannish style, and Trendy sty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age perception of Mannish style, the preferences of shirts style, the fashion consciousness, the shirt purchase attitude, and the usage of the information source between the Daks group and Renoma group.

칼라밴드가 있는 셔츠칼라 패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irt Collar with Collar Band)

  • 박찬미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6호
    • /
    • pp.1228-1241
    • /
    • 2010
  •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ing on design of basic pattern of shirt collars and to suggest schemes to raise completeness of shape by reviewing problems shown in finished products after sewing. From March 2009 to August 2009, 12 patterns for education and firms were collected centering on basic shirt collar form respectively. There are four problems generally raised from a completed shirt collar. In case of overlapping shirt collar on front neck point, the sewing point of shirt collar should be drawn at front neck point of collar band at a distance of about 0.2~0.3cm, and the center front of band and one of bodice should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case of the problem about right and left length difference of shirt collar, it is raised by closing so the problem was solved by prolonging about 0.2 cm of the center front of left collar. It was evaluated that adjusting notch point when sewing would be more rational solution than solving something on patterns for distance difference problem of shirt collar between right and left part at center front. And a problem about getting loose of front garment between collar band below and the first button was also raised. It was designed 0.2cm cut of collar band. Around basic shirt collar form, above mentioned solutions are applied to the patterns for education and manufacture experimental clothing. So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generally good ratings on all items were rece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