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파괴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9초

생명을 살리는 성체줄기세포

  • 강경선
    • 헬스앤미션
    • /
    • 통권4호
    • /
    • pp.20-25
    • /
    • 2005
  • 배아는 잠재적인 인간이므로 윤리적 문제를 피할 수 없다. 과연 배아줄기 세포만이 난치병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일까? 하나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다른 생명을 파괴해야 하는 배아줄기세포의 대안으로 성체줄기세포가 사용 될 수 있으며 그 활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 PDF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에 의한 조골세포분화 억제효과 (Effect of sonicates of Treponema denticola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 최봉규;강정화;진승욱;옥승호;이승일;유윤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79-89
    • /
    • 2003
  • 치주질환은 세균감염에 의해 치조골이 파괴되는 염증성질환으로서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이다. Treponema denticola는 성인성 치주염의 병소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으로서 부착능 및 단백분해효소생성능과 같은 독성 인자가 밝혀져 치주조직 파괴에 있어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골개조는 조골세포의 골형성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의 균형에 의하여 유지되며 치주염시 야기되는 치조골파괴는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기능의 불균형에 의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골세포에 대한 영향으로서 T. denticola는 파골세포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조골세포에 대한 영향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 denticola가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마우스의 두개골세포로부터 조골세포를 분리한 후 T. denticola분쇄액으로 처리하여 본 세균이 조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ALPase) 활성, 석회화결절 형성 및 Prostaglandin $E_2\;(PGE_2)$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ALPase활성은 p-nitrophenylphosphate분해능, 석회화결절형성은 Von Kossa 염색법, 그리고 PGE2의 농도는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T. denticola분쇄액 (2.5 ug/ml)은 마우스 두개골세포의 ALPase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석회화결절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동일한 농도의 균분쇄액은 마우스 두개골세포의 $PGE_2$ 생산을 증가시켰다. 균분쇄액과 prostaglandin의 합성억제제인 indomethacin으로 세포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 T .denticola분쇄액에 의한 $PGE_2$의 생산은 감소되었으나, ALPase의 활성억제에는 변화가 없었다. 균분쇄액을 열처리하여 마우스 두개골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ALPase의 활성이 억제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T. denticola의 구성성분 중 열에 안정한 물질이 prostaglandin과 무관한 경로를 통해 조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을 시사하며 이와 같은 T. denticola에 의한 골형성억제가 치주염시 야기되는 치조골 파괴에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icrowave를 이용한 미세조류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생산 (Oil Extraction and Biodiesel Production from Micro-Algae Pre-treated with Microwave)

  • 김덕근;최병윤;김성민;오유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0.2-250.2
    • /
    • 2010
  • 빛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여 생성되는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다양한 에너지 및 물질을 생산하는 연구는 석유고갈과 환경문제 해결의 한 방안으로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그 지속 가능성과 환경 친화성에 의해 바이오에너지 이용 및 보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의 경우는 미국, 브라질, EU, 한국 등에서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생산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연료의 보급 증가는 식량 자원과의 충돌과 열대우림 파괴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대두, 유채보다 월등한 것으로 보고되는 미세조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수 미세조류종 개발, 미세조류 고속배양 및 수확, 미세조류로부터 에너지 및 유용물질, 소재 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원료유를 생산하기 위해 Soxhlet을 이용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였다. 추출되는 오일은 사용 용매의 극성에 따라 물성과 추출 효율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극성의 용매일 경우, 엽록소와 단백질이 같이 추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약한 극성 용매는 세포벽의 방해로 용매가 세포내부로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추출 효율이 높은 극성용매의 경우 불순물을 제거해야 고순도의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가능하고 비극성 용매는 추출 오일의 물성은 좋으나 수율이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동시추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포벽 파괴 후 용매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미세조류를 Microwave에 노출시켜 오일 추출율을 증가시키는 전처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처리시, Microwave에 의한 열 발생은 미세조류를 탄화시키기 때문에 열매체로서 물을 혼합하여 탄화를 방지하고 세포벽 내외부의 가열효과로 세포벽을 파괴하고자 하였다. Microwave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며 세포벽 파괴에 효과적인 수분혼합비를 조사하였으며 Microwave에 노출 후 잔류수분을 건조하고 효율적으로 용매를 접촉시키기 위해 분쇄를 수행하였다. 모든 전처리 반응을 거친 미세조류에서 약 2배 증가된 추출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SEM을 통해 전처리 미세조류와 미전처리 미세조류를 분석해본 결과 전처리 미세조류의 다공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90%의 메탄올에 미세조류를 녹여 엽록소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전처리 미세조류의 엽록소가 미전처리 미세조류보다 약 7배가량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생물의 세계 - 세포들의 자살

  • 권오길
    • 과학과기술
    • /
    • 제30권3호통권334호
    • /
    • pp.25-25
    • /
    • 1997
  • 사람의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들이 1초에 2백40만개씩 자살행위로 파괴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수의 새 세포가 골수에서 만들어져 사람의 육체는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보통세포와는 달리 "미친 세포"라고 불리우는 암세포는 자살기능을 잃고 계속 분열만 하고 있어 암세포도 자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 PDF

신갈나무 정상재와 인장이상재의 전단 및 휨 파면해석 (Fractography of Sound and Tension Woods of Quercus mongolica by Shear and Bending Stress)

  • 권성민;권구중;장재혁;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51-358
    • /
    • 2011
  • 인장이상재를 갖는 활엽수재의 파괴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신갈나무재의 전단시험 및 휨시험을 통하여 파괴단면을 관찰하였다. 육안적으로 관찰한 결과 전단시편의 경우 정상재보다 인장이상재 시편에서 더 많은 섬유의 보풀이 관찰되었고, 함수율 30% 시편의 전단면이 10%보다 거칠고 많은 섬유의 보풀이 관찰되었다. 휨시험에 의해 파괴된 인장이상재는 정상재에 비해 목섬유가 굵고 길게 드러나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SEM 관찰 결과 방사면 전단파괴시 정상재와 인장이상재의 목섬유는 벽내파괴에 의한 파괴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방사유세포는 벽절단파괴에 가까운 형태로 파괴되었다. 접선면 전단파괴시 목섬유는 벽내파괴에 의한 파괴형태를 보여주고 있고 인장이상재의 목섬유의 파괴부분이 더 거칠었다. 방사유세포는 양 시편 모두 벽절단파괴에 의한 파괴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인장이상재의 방사유세포에서 절단면이 비교적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다. 휨시험에 의한 목섬유 파면의 형태는 정상재의 목섬유에 비하여 인장이상재가 파괴 시 끝이 무디고 깨끗하게 끊어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에 대한 Bacillus thuringiensis 내독소단백질의 독성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city of $\delta$-endotoxin of Bacillus thuringiensis to the Several Tissues of Hyphantria cunea Drury)

  • 전향미;조자향;강석권;서숙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2-67
    • /
    • 1995
  • Bacillus thuringiensis(Bt) var, kurstaki의 내독소 단백질을 섭취한 미국천불나방(Hyphantria cunea)의 유충에서 중장과 지방체조직의 세포 미세구조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Bt 내독소 단백질은 중장 원주상피세포에 있어서 미세융모의 파괴, 소포체 구형화, 기저층 소실, 리보솜 탈락, 세포내 소기관의 파괴 등을 초래하였다. 또한, 지방체 세포에서도 역시 소포체의 구형화와 미토콘드리아의 변형 등 세포미세구조의 변화를 유발시켰다.

  • PDF

몇가지 채소류의 펀치특성 (Punch Properties of Some Vegetables)

  • 민용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3-278
    • /
    • 1997
  • 몇가지 채소류(오이, 무우, 마늘, 생강 및 감자)의 펀치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식품물성 측정기로 일정하게 힘을 가하면서 힘-거리-시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분함량 및 세포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힘-거리 및 거리-시간 곡선 상에는 많은 변곡점 및 파괴점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시료의 구성세포가 가해진 힘에 대해 저항 또는 항복할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탐침속도가 느릴때 크고 분명하였다. 파괴점까지 힘-시간 및 거리-시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0.95이상이었다. 탐침이 시료를 관통하는 시간과 그때의 힘은 생강이 5.63초 및 4.88 N으로 컸고 오이가 4.15초 및 2.00 N으로 작았으며, 탐침속도가 빠를 수록 더 많은 파괴힘을 필요로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세포가 클수록 수분함량이 많고 파괴거리가 커지며, 세포의 규칙성, 시료의 즙액, 조밀도와 힘-시간 간의 기울기는 작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비중이 클수록 파괴힘, 거리 및 시간은 작아졌으며, 거리-시간곡선의 기울기는 힘-시간곡선의 기울기와 반비례 관계가 있었다.

  • PDF

화제의 연구 - 누에 배설물에서 암세포 파괴하는 '포르피린' 발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12호통권403호
    • /
    • pp.24-25
    • /
    • 2002
  • 연세대 이원영교수는 누에 배설물에서 암세포를 파괴하는 '포르피린'을 발견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포르피린을 이용한 광역동 치료기술은 광민감제와 빛의 조화로 정상세포가 아닌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암치료의 전망을 더욱 밝게하고 있다.

  • PDF

루핀콩과 대두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Microstructure of Lupin Seed;a Comparative Study With Soybean)

  • 이철호;김정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54-459
    • /
    • 1985
  • 루핀콩(lupinus angustifolius)의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형태학적 접근방법의 하나로써 취반시(時) 일어나는 미세구조적 변화를 대두와 비교하였다. 루핀공은 대두에 비해 두꺼운 세포벽과 pit-pair을 가지며 protein body안에 많은 crystaloid를 포함하고 있어, oil seed인 대두와는 상당히 다른 자엽구조를 보여 주었다. 또한 대두에서는 높은 온도($120^{\circ}C$)로 가열했을 때 (20분) middle lamella 구조의 파괴와 함께 세포벽의 손상이 명백하였으나, 루핀콩의 경우 $120^{\circ}C$에서 장시간(130분) 가열했을 때에도 세포벽의 파괴 및 middle lamella의 파괴없이 본래의 자엽세포 구조를 유지하였다.

  • PDF

발생중인 흰쥐에 전신적으로 투여된 불소가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uoride Administered Systemically during Rat Development on Forming Bone)

  • 임도선;안용순;김은숙;배형준;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65-273
    • /
    • 2002
  • 본 연구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음용 불소가 발생중인 경골의 성장변화와 골모세포의 조직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에너지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불소의 투여 농도에 따른 골기질 성분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에서는 입방형의 전형적인 골모세포가 관찰되었다. 100 ppm 불소투여군의 경우, 활성이 강한 골모세포에 의해 생성된 여러층의 반전선과 새로 형성된 골성조직이 관찰되었다. 또한 골모세포의 세포질은 잘 발달된 조면세포체와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고 세포막 주위에는 많은 분비소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일부는 세포막과 융합되어 분비물질이 세포 밖으로 방출되었다. 200 ppm 불소투여군에서는 활성이 저하된 골모세포가 관찰되었는데, 세포질내에는 미토콘드리아가 팽창되어 있었고 수조의 형태가 파괴되어 나타났다. 또한, 조면소포체의 표면에는 리보솜이 탈락되어 관찰되었다. 300 ppm의 고농도 불소투여군에서는 골내막과 인접한 골모세포는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었고, 세포막은 파괴되어 세포성분이 세포 밖으로 용출되어 관찰되었다. 한편, 에너지분산분광분석 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100 ppm 불소투여군에서 골기질 성분인 인과 칼슘이 증가하였으나 200 ppm 및 300 ppm 불소투여군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투여된 불소에 의해 골모세포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왕성한 골기질 합성이 관찰되었으나, 고농도의 불소 투여는 골모세포를 파괴하고 활동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