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분열

검색결과 622건 처리시간 0.025초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인공종묘의 성분화 과정 (Sexual Differentiation in Korean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Derived from Artificial Fertilization)

  • 오민기;박종영;강언종;양상근;김응오;조용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5-262
    • /
    • 2008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된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종복원을 위해 인위적인 교배를 통하여 획득한 자치어를 대상으로 성분화 과정을 조사하여 성적임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자어에서 생식융기 1쌍이 장과 중신관 사이에서 관찰되었고, 그 후 유사분열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부화 후 20일째 치어에서 난원세포의 출현으로 난소 분화가 시작되었으며, 부화 후 30~40일째를 거치면서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로 성장하였다. 난황은 부화 후 80일째의 자어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100일째가 되어 eosin에 염색되는 난황구가 생성되었다. 이후 난모세포는 난황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약 10개월째에는 난막과 여포세포층에 의해 둘러싸여진 난모세포로 분화하였다. 한편 정소는 부화 후 25일경 치어에서 분화되기 시작하였고, 40일경 유사분열을 통해 정원세포를 둘러싸는 포낭을 형성하였다. 부화 후 100일째가 되면 정소는 정소엽 구조를 형성하였고 hematoxylin에 매우 진하게 염색되는 정모세포로 분화하였다. 부화 후 7개월째 치어의 정소엽 내부에 정세포가 출현한 이후, 부화 후 만 1년을 경과한 치어에서 최초로 성숙한 정자가 출현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부화된 꼬치동자개 자치어의 성분화는 다른 종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인다고 판단되었다.

겨우살이 종자 발아 및 화아 배양에 의한 캘러스 형성 (In vitro seed germination and callus formation on flower bud of Korean mistletoe ( Viscum album L. var. cololatum [Kom.] Ohwi))

  • 김석원;고석민;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47-53
    • /
    • 2008
  • 겨우살이의 캘러스 형성 및 종자 발아 와 haustorium 발달에 요구되는 환경요인 및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종자의 인위부착을 통한 식물체 재생 체계를 확립하였다. 겨우살이 조직관찰 결과 종자에는 1개 또는 2개의 막대모양의 접합자배가 존재하며 종자의 외부에 위치한 유근 부위에 주로 세포분열이 왕성한 세포층이 존재하며 반대로 자엽은 종자 내부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분열능을 가진 세포수가 감소하였다. 겨우살이 종자 발아 와 haustorium 발달에 요구되는 여러 요인 중에서 광의 요구도가 절대적이었다. 본 실험에 조사된 다른 배양 환경요인 및 생장조절제들은 광의 효과를 대체하지 못하였으며 ethylene의 경우 발아촉진 효과가 3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여러 조직 중에서 오로지 겨우살이 화아로부터 캘러스 형성이 가능하였으며 캘러스 형성빈도는 $0.1\;mgl^{-1}$ IAA가 첨가된 B5 배지에 배양 시 27.3%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겨우살이 캘러스 배양 및 종자 인위 부착을 통한 식물체 재생체계는 겨우살이의 유용물질 생산 연구 및 대량증식 연구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물 생장 조절물질이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Regrowth of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 김미혜;이효신;김기용;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0
    • /
    • 2001
  • 예취한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재생에 미치는 식물 생장 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0.1. 0.5 mg/L의 cytokinin 처리시 가장 높은 재생력을 나타내었으며, kinetin과 2iP가 BAP보다 재생에 보다 좋은 영향을 미쳤다. 2,4-D의 경우, 0.1 mg/L에서 가장 높은 재생력을 나타내었으며, GA$_3$은 초기재생력은 왕성하였으나 예취 2주 이후의 생장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Cytokinin과 auxin의 세포분열에 미치는 경합을 조사한 결과, kinetin과 2,4-D를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두 생장 조절물질을 함께 처리했을 때 더 좋은 재생력을 나타내었다.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현탁 배양세포에서도 cytokinin 과 auxin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함께 처리했을 때 세포분열이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 coli 세포분열 유전자 sep의 Cloning 및 Transcription에 관한 연구 (Cloning and Transctiption of Excherichia coli Cell Division Gene, sep)

  • 이묘재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5-242
    • /
    • 1984
  •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유전자중의 하나인 유천자 sep-Penciillin binding protein 3의 유전자를 ${\lambda}607sep^{+2}$로 부터 Plasmid pBR 322에 재조합시켰다. 또한 sep유전자의 발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lac UV 5와 같은 강한 promoter룹 갖고 있는 plasmid pLJ 3에 sep유전자를 재조합시켰으며, sep유전자는 lactose promotor발현에 적절한 방향으로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새로 재조합된 plasmid들의 sep유전자 발현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이판 plasmids를 포함하고 있는 세포내에서의 sep mRNA의 합성량이 측정되었다. sep mRNA의 합성량은 sep유전자가 pBR 322내에 있을때, plasmid가 없는 wild type E. coli C 600에 비해 약 25배가 증가하였고, Sep 유전자가 pLJ 3에 있을때, pBR 322내에 있을때 보다 약 50배 가 증가하였다.

  • PDF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과 세포분열주기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 (Expression of bcl-2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its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 국향;고혁제;구기선;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36-43
    • /
    • 1999
  • 연구배경: bcl-2는 apoptosis를 억제하여 세포 수명을 연장시켜 종양세포의 생존기간 중 다른 암유전자의 추가척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켜 암을 유발하는 암유전자이다. 이러한 bcl-2는 apoptosis 억제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 bcl-2 양성인 경우에 그 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오히려 예후가 양호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을 계측하고, 세포분열주기와 비교한 후 생존률과의 관계를 검색하였다. 방 법: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받고, 외과적 절제술후 paraffin에 보관된 57례의 병리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bcl-2의 발현을 확인하고, bcl-2와 병리조직형, TNM 병기, 유식세포분석법에 의한 세포주기비율(S-and $G_1$-phase fraction) 그리고 생존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57례 중 남녀비는 43:14 였고,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암 34례, 선암 19례, 대세포암 4례였으며, TNM I 병기 14례, II 병기 21례, III 병기 22례였다. bcl-2는 43.8% (25/57)에서 발현되었으며 면평상피암 47%(16/34), 선암 32%(6/19)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TNM I 병기 28.6%(4/14), II 병기 52.3% (11/21), III 병기 45.5%(10/22)로서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G_1$-주기비율은 75.5($\pm10.8$)%, 65.5($\pm11.4$)% 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S-주기비율은 14.1($\pm7.8$)%, 24.7($\pm10.5$)%로서 역시 유의하게 bcl-2 발현군의 세포분열능이 저하되어 있었다 (p<0.005).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2년 생존률은 65%, 71%, 3년 생존률은 54%, 52%, 5년 생존률은 41%, 46% 그리고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 37개월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p>0.05, Kaplan-Meier, log rank) 결 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는 43.8%에서 발현되었으며, 병리조직형, TNM 병기에 따른 발현률의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은 비발현군에 비하여 S-주기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고, $G_1$-주기비율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bcl-2 발현군의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로서 비발현군의 37개월보다 연장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 PDF

미생물 살충제인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ydrosis Virus의 Polyhydra 형성 과정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y Studies on the Formation of Polyhedra Occlusion Bodies of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이형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11권1호
    • /
    • pp.51-57
    • /
    • 1981
  •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의 Nucleocapsids의 형성과 Polyhedra Occlusion Bodies의 형성을 Spodoptera frugiperda 세포에 감염된 후 3 일째 된 것을 관찰하였다. 1. A. californica NPV는 Spodoptera 세포의 핵내에서 분열복제되어 Nucleocapsid를 형성하여, 외투막을 얻은 후에 Polyhedra Occlusion Bodies 로 함입 되었다. 2. A. californica NPV가 감염된 세포의 핵은 팽창되어 핵막이 세포질까지 거의 신장되어 있었다. 3. Polyhedra Occlusion Bodies의 형성은 NPV로 감염된 세포에서 작은 엉성한 단백질 또는 Polypeptides가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바이리스들이 함입되면서 더욱 덩치가 커지게 되고, 세포질내에 NPV 바이러스들이 없어지면 Polyhedra는 외부에 매끈한 막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4. Polyhedra Occlusion Bodies의 형태는 바이러스 다발이 함입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였다. 5. Polyhedra 에 있는 바이러스 다발들은 외투막을 가지며 바이러스사이에도 기저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슈반세포와 뉴런세포의 수초화와 탈수초화 (Myelination and Demyelination of Schwann cells and Neuron cells)

  • 김현주;김지영;홍성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30-833
    • /
    • 2015
  • 쥐의 배아(배아 16일)의 척수신경절에서 슈반세포와 뉴런 세포가 실험실 상에서 분리되었고 정제되었다. 정제된 척수신경절 세포는 유사분열 억제제를 첨가하여 배양되었고 분리 정제된 슈반세포와 공동배양 배양시켰다. 이 결과로 마침내 수초화 과정이 구축되었다. 이 수초화는 M. leprae-specific phenolic glycolipid-1 (PGL-1) 성분으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neurofilament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수초화와 탈수초화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 PDF

EFFECT OF 5-FLOROURACIL ON THE POSTANATAL DELEVELOPMENT OF THE CONDYLE IN MICE

  • 임철중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5-295
    • /
    • 1976
  • 항암 화학요법제의 하나인 5-Fluorouracil 이 과상돌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20두의 백서를 반씩 나누어 실험군에는 동약물을 체중 kg당 25mg씩 2일간 복강내주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 염수를 주사한 후 각각 제1,3,7,14 및 21일에 두 마리씩 도살하여 과상골디연골부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도살 2시간 전에 5μCi/kg mM 의 ³H-thymidine을 주사하여 표본의 일부는 자기방사법적으로 처리 관찰 하였다.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상돌기 연골부의 후경에 상당한 감소가 일어났으며 제7일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2. 이러한 영향은 연골제거대와 세포증식대에서 가장크고 그 다음이 비대층이었다. 3. 제 7일의 변화 증식대엣는 기질 호 염색성의 증가, 핵 형태의 난원형화가 오고 소와내의 세포수는 1~2개였다. 비태층의 소와는 현저하게 작아지고 기질의 호염기성이 뚜렷하며 세포의 배열은 츹어지고 약간의 핵은 그 배 열이 불규칙하며 숫자고 대조군보다 적었다. 4. 위와같은 변화는 제 14일에서 감소하고 점차 회복적인 조직소견을 보여 제21일에는 성장이 거의 대조군에 근접한 조직상을 보였다. 5. 자기방사법적으로 세포증식대 및 연골제거대에서 세포분열에 대한 억제효과를 관찰한 바 제 7일 에서 가장 시하였고 특히 연골제거대에서 심하였다. 대체적으로 자기방사법적 관찰소견은 조직학적 소견과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하악골 과상돌기의 성장은 5-Fluorouracil의 영향하에서 세포의 증식 및 분화상태로 보아 일정기간동안 저해되며 제 7일의 극기를 지나 점차 회복되어감을 나타내었다.

  • PDF

Sulforaphane의 Human MCF-7 Mammary 종양세포 유사분열의 억제 및 Tubulin의 중합화 저해

  • 김현정
    • 식품기술
    • /
    • 제17권4호
    • /
    • pp.117-128
    • /
    • 2004
  • Sulforaphane은 브로컬리나 십자화과 채소중의 glucoraphanin의 가수분해 산물인 isothiocyanate로서 이는 detoxification 효소의 phase II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치류에서 화학적으로 발생된 유선 종양을 억제하고 최근에는 대장암 세포에서 cell cycle arrest와 apoptosis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왔다. 여기서는 SUL이 Human MammaryMCF-7 adenocarcinoma 세포의 증폭을 억제하는 역할을 제시하였다. MCF-7 cell에 15umol/L SUL을 처리하였을 때 G2/M cell cycle이 arrest를 보였고 cyclin B1 protein이 24시간 이내에 증가하였다. 15umol/L의 SUL은 in vivo 상에서 histon Hl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초기 mitosis에서 cell을block하며 mitotic microtuble의 중합화를 방해하였다. In vitro 상에서 정제된 bovine braintubulin에 대한 SUL을 고농도로 투여했을 때, tubulin의 중합율과 총 tubulin 중합도의 억제를 보였다. 덧붙여서, isothiocyanate를 함유하는 SULanalog로 처리된 정제 tubulin도 비슷하게 저해를 받았다. 본 연구는 SUL이 mitotic cell cyclearrest를 포함한 mammary cancer 억제력을 가진 것과, 이러한 기작으로 정상적인 tubulin 중합화및 microtubule dynamic에 한층 효과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PDF

Haolthane에 의한 C57BL/6 mice의 세포 매개성 면역부전 실험 모델의 개발과 이에 미치는 Brziline의 영향

  • 문창규;장성재;목명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6-176
    • /
    • 1993
  • 임상적으로 많이 노출될수록 간단백과 결합하여 항원을 생성함으로써 면역매개성 간염을 유발하는 Halothane을 사용하여 mice에서의 세포매개성 면역선택하였다. Halothane을 복강투여로 2회, 4회 투여한 후 11, 15, 18일 후 지라세포를 이용하여 ConA유도 임파구 분열능을 검색해본 결과 2회 및 4회 투여 시에 15일까지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저하되나 18일 후 오히려 증가하고 ConA유도 IL-2의 생성능은 2회 투여 시 15일 까지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8일 이후 현저히 증가하였다. 4회 투여 시 15일까지는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되었고 18일 이후에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ALT, AST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이와 같은 실험 결과가 개체간의 차이를 보이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개체별로 검정을 한 결과 개체간의 편차는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