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층

검색결과 920건 처리시간 0.027초

복수 패턴 인식을 위한 변형된 네오코그니트론 (Modified neocognitron for recognizing multi-patterns)

  • 김태우;최병욱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10호
    • /
    • pp.140-148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입력영상에 존재하는 복수 패턴을 한번의 패스(pass)로 인식할 수 있는 변형된 네오코그니트론을 제안한다. 변형된 네오코그니트론은 특징을 추출하는 S세포층 및 V세포층과 패턴의 크기, 이동, 회전 등 변형에 덜 민감하게 하는 C세포층으로 구성된 계층적 신경망이다. S세포와 V세포들은 DCC(don't care condition)을 적용하여 영상에 존재하는 모든 패턴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는 역할을 하며, S세포와 C세포는 추출된 패턴에 대한 위치정보도 함께 가진다. 위치정보는 추출된 특징들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올바른 특징만이 추출되도록 하는 데 이용된다. 제안한 방법은 피드백이 존재하는 선택적 주의 방법과는 달리 단일패스로 인식이 가능하므로 인식시간이 짧으며, DCC와 위치정보를 이용하므로 서로 접촉되어 있는 복수 패턴의 인식도 가능하다.

  • PDF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피부 상처치유과정 중 표피의 재형성 (Remodeling of the Epidermis during Skin Wound Healing in Bombina orientalis)

  • 정문진;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2호
    • /
    • pp.201-209
    • /
    • 1999
  • 무당개구리 상처치유 과정 중 재생되는 피부 상피세포의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다. 상처유도 추 재형성과정 중의 표피는 재생되는 상피세포에 의해 $3\sim4$층을 형성하였으며, 세포들의 크기는 상충에서 하층으로 갈수록 크게 신장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세포 간격 또한 세포층의 기저부를 향할수록 넓어졌다. 기저층에 위치한 세포는 세포질 돌기들을 내어 데스모소옴이 형성되어 있었고, 원주형이었다. 기저막이 형성된 세포들 사이에는 원기세포들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 세포들은 불규칙한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세포의 크기는 다른 세포들에 비해 작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상피조직은 재생될 때 원기세포들의 분열과 이동이 동반되어야 하므로, 무당개구리 상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상조직과 동일하게 재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상처가 치유된 시점으로 확인된 31일 경의 상피조직의 관찰 결과 역시 추측했던 점과 일치되어 정상과 동일한 조직학적 구성을 이루고 있었다. 또한 재형성 과정 중 상피는 피부가 정상조직으로 형성되기 전까지 수분유실을 막는 방어벽으로서의 기능과 허물을 벗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동양달팽이의 웅성 생식기관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le Genital Organs of a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 이훈섭;정계헌;박종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71
    • /
    • 1992
  •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는 동양달팽이속(Nesiohelix)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에서 동양?팽이속으로는 유일하게 발견되는 종이다. 본 실험에서는 동양달팽이의 웅성생식기관의 각 부분 즉, 난정소(ovotestis), 양성관(hermaphrodite duct), 수정실(fertilization chamber), 전립선(prostate), 수정관(vas deferens), 상음경(epiphallus), 음경(penis)등의 배열 상태를 관찰하고 이들에 대한 광학현미경적 관찰을 위해 Hematoxylin- Eosin염색과 Mallory 염색을 실시하였다. 난정소(ovotestis)는 많은 수의 선포(acini)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선포는 배상피세포층(germinal epithelial cell layer)과 영양세포(nurse cell), 생식세포(gamete cell)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선포(acini)는 원주상피로 덮여있었다. 양성관(hermaphrodite duct)은 가늘고 긴 관으로 내벽은 섬모입방상피세포와 얇은 결합조직층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내강은 농축된 정자로 가득 차 있었다 . 수정관(fertilization chamber)은 3개의 도관이 결합조직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도관의 상피세포는 뚜렷한 위중층섬모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전립선(prostaoe)은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되는 세포들과 실제 분비가 일어나는 실(chamber)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다른 염색법 또는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 다른 구조들의 존재유무를 확인 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chamber)은 분비포로 보이는 세포들과 접해 있었다. 수정관(vas deferens)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근육질의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강은 돌출부위에 의해 4부분으로 갈라져 있었다. 내강에 연한 상피는 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상음경(epiphallus)의 벽은 근섬유 다발은 벽의 외곽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아졌다. 상부에 내강과 연결되는 함입구조(groove)를 가지며, 내강에 연한 상피는 섬모가 없는 원주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음경(penis)은 근섬유가 산재된 두꺼운 벽을 가졌으며 상음경보다 굵은 원통형이었다. 내강은 많은 돌출부에 의해 복잡하게 나뉘어 있으며 상피세포는 원주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섬모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강 내의 분비물과 세포의 형태로 보아 내강상피세포는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군소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7-8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군소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피부암 세포주인 B16-F10 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AKMM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다음으로 AKMB층, AKMH층 및 AKMA층의 순이었다. 그리고 4종의 암세포주 중에서 B16-F10 세포주가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피부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 AK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분획층에서는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에서 모두 methanol 분획층인 AK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폐기되어지는 군소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암 예방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지며, 이를 위한 AKMM분획층에 대한 더욱더 심도 높은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공기호흡과 관련된 왕종개(미꾸리과어류)의 호흡기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piratory Organ of Spined Loach, Iksookimia longicorpa (Pisces, Cobitidae), in Relation to the Air-breathing System)

  • 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1-247
    • /
    • 2005
  •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의 공기호흡에 관한 호흡체계를 조사하기 위해 표피 (epidermis)와 소화관 (intestinal tract)를 관찰하였다. 표피는 작은 점액세포 (mucous cell)와 곤봉세포 (club cell)로 이루어진 두 종류의 선세포 (gland cell)을 가진다. 점액세포는 대부분 acid sulfomucin으로 구성되었으나 곤봉상세포는 점액물질에 대한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기저층에는 작은 림파구를 포함하는 lymphocytes가 존재하며, 다량의 모세혈관이 기저층 바로 아래부분에 존해하고 있다. 장( intestinal tract)은 거의 일직선형태이며, 크게 장(intestine)과 직장(rectum)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은 점액층 (mucosa), 점막하층 (laminal propria-submucosa), 근육층 (musculary), 장막 (serosa) 층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장은 짧은 fold와 얇은 벽으로 구성되었으며, 점막층은 acid sulfomucin의 점액을 가지고 있다. 공기호흡하는 어류들의 변형된 공기호흡 기관의 특징들과 비교해 볼 때 왕종개는 하천의 가뭄으로 인해 용존산소가 부족할 경우 장에서는 이루어지지않고 표피에서만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Salsola collina 엽육조직내 변형된 크란츠구조 (Modified Kranz Structure in Leaves of Salsola collina)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207-214
    • /
    • 2001
  • Salsola callina 엽육조직의 $C_4$ Kranz구조내 세포유형의 발달 및 미세구조 분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선형의 다육질성 잎은 표피, 광합성 염육조직, 수분저장조직, 유관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층의 엽육조직은 변형된 Salsoloid Kranz구조를 나타내었다. 내부의 엽육조직층은 전형적인 $C_4$ 구조의 Kranz 유관속초세포의 특성을 보이고, 외부의 엽육세포층은 Kranz 엽육세포의 특성을 보였다. 세포소기관들은 유관속초 세포에서는 구심적으로 배열하였고 엽육세포에서는 세포벽 주위를 따라 분포하였다. 또한 이들 세포유형 사이에는 엽록체 이형현상이 뚜렷하여 유관속초세포의 엽록체는 전분입자가 잘 발달하고 그라나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반면, 외부엽육세포의 엽록체에는 그라나와 proteinbody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관속초세포의 세포벽은 비후되어 있으나 엽육세포의 경우에는 얇고, 특히 이들 두 세포층은 복잡한 구조를 지니는 원형질연락사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조들은 $C_4$ 광합성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 유관속초세포와 엽육세포 간에 원활하게 수송되고 이동됨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Salsola 식물의 미세구조는 $C_4$ 식물의 NADP-ME유형의 구조적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며, 구조적 이형현상을 보이는 유관속초와 엽육세포 간의 특성은 엽육조직 분화시 $C_4$ 기능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적응한 결과로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된다.

  • PDF

한국산 납자루아과 어류 2종의 시각세포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Cells in Two Korean Bittering Fishes)

  • 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7-71
    • /
    • 2016
  • 시각세포는 많은 종에서 알려지지 않았지만 종의 서식환경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같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흰줄납줄개와 각시붕어 두 종의 시각세포를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두 종의 눈은 비교적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경연합층은 가장 바깥쪽부터 망막색소상피층, 시각세포층, 외핵층, 외망상층, 내핵층, 내망상층, 신경절세포층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시각세포들이 존재하는 시각세포층을 확인한 결과, 매우 다양한 시각세포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긴 단일원추세포, 짧은 단일원추세포, 길고 짧은 원추세포가 쌍을 이룬 이형이중원추세포와 간상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의 수평단면을 확인한 결과, 열 배열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시각세포 종류와 열 배열을 갖는 특징은 이들의 서식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x retina내 tyrosine - hydroxylase 면역 반응되는 dopaminergic neuron에 대하여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Dopaminergic Neurons in the OX Retina)

  • 김인숙;김진숙;전영기;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20
    • /
    • 2000
  • 성체 소의 망막에 존재하는 doparminergic 신경세포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Dopaminerglc 세포는 항체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Tyrosine hydroxylase 면역 반응 신경 세포의 대부분은 내핵층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했다. 이들 세포들의 돌기들은 단층이었으며 그리고 내망상층의 1층내에 위치했다.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되는 두 번째 주요 세포 집단은 치환된 amacrine 세포들이다. 치환된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 amacrine 세포의 돌기들도 역시 내망상층의 1층내에 나타났다. 소수의 신경 세포의 돌기들은 외망상층에서 나타났다. 매우 낮은 밀도의 신경세포들은 내망상층의 중간과 깊은 층에서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 돌기들의 추가적인 층을 가졌다. Doparminergic 신경세포의 돌기들은 방사선형으로 넓게 신장되어 큰 모양을 형성하였고 수상돌기의 가지들은 적당하게 뻗어 있었다. 이러한 돌기들은 때때로 varicosity를 가지지만 "dendritic rings"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본연구의 결과는 doparminergic 세포는 소의 망막내 특이 신경세포 형태를 구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표고 재배 졸참나무 골목의 미관형태적(微觀形態的) 변화(變化) 양상(樣相)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Oak Wood Cultivated With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Berk) Sing)

  • 김윤수;박병대;이재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8-47
    • /
    • 1988
  • 표고버섯(Lentinus edodes) 균에 의한 졸참나무(Quercus serrata)골목의 미시형태적 변화를 주사형전자현미경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표고 재배 5년후 골목의 중량 감소율은 50%에 달했다. 구성세포중 목섬유는 표고균사에 의해 쉽게 분해되었으나 도관과 유세포는 저항성을 나타냈다. SEM 관찰 결과 표고균사는 세포내강(內腔)에서부터 세포벽을 서서히 분해 박벽화(薄壁化)시켰으며, 또한 Cell corner가 중간층보다 먼저 공격을 받아 분해 되었으나 중간층은 쉽게 분해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연부후(軟腐朽)의 전형적 형태인 2차막에서의 공동(空洞)역시 백색부후균인 표고균사에 의해 형성 되었다. 이상의 관찰결과 표고균은 백색부후와 연부후균이 갖는 미시형태적 특징을 동시에 보여 주었다. 아울러 중간층 보다 Cell corner가 먼저 선택적으로 분해되며, 도관세포벽의 분해저항성을 세포벽 구성 리그닌의 화학적 특성과 연관시켜 논의했다.

  • PDF

무세포 경계층 변화에 따른 미세혈관계 가스교환 예측모델

  • 남궁범석;김상호;이성재;임도형
    • 기계저널
    • /
    • 제55권3호
    • /
    • pp.38-41
    • /
    • 2015
  • 이 글에서는 무세포 경계층(red blood cell free layer)의 생리학적 중요성 및 미세순환(microcirculation)에서 이루어지는 가스교환 예측을 위한 수치해석모델(numerical simulation) 개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