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Bee Venom Inhibits Prostate Cancer Growth in LNCaP Xenografts via Apoptosis (Bee venom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및 LNCaP의 이종이식에 미치는 영향)

  • Yang, Chang-Yeol;Song, Ho-Sueb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13 no.1
    • /
    • pp.15-35
    • /
    • 2010
  •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이 NF-${\kappa}B$ 활성억제와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및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를 이식한 쥐에서의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봉약침의 봉독이 생체 내에서도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전립선암에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API, TUNEL staining assay 결과 봉독 및 melittin을 처리한 LNCaP 세포 모두에서 세포자멸사 유도율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LNCaP 세포에 봉독이나 melittin을 처리한 결과,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중 p-Akt, COX-2, calpain은 봉독과 melittin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Akt는 melittin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봉독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MMP-9은 증가하였다. 3. 생체 내에서의 봉독의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후 암세포의 부피와 무게, 쥐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 봉독을 처리한 군에서 암 세포 부피비율 및 무게는 감소하였고, 쥐의 체중은 증가하였다. 4.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결과, NF-${\kappa}B$ 활성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5.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결과,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 중 Bax/Bcl-2, p53, caspase-3, caspase-9, calpain은 유의한 증가를, COX-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MMP-9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시험관 내에서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도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하고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및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조절을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암 세포 증식억제 효과 및 호르몬 비의존적인 전립선암으로의 전이를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봉독이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e Venom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Bee Venom이 세포자멸사를 통해 DU-145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Hur, Keun-Young;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8 no.3
    • /
    • pp.111-119
    • /
    • 2011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을 처리한 후 DU-145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기 위해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U-145 세포에서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ro-apoptotic proteins인 PARP,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anti-apoptotic proteins인 Bcl-2, p-AKT, XIAP, cIAP2는 유의한 감소를, MMP2, MMP13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전립선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Melittin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멜라틴이 세포자멸사 유발에 의해 DU-145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 Shim, Yoon-Seop;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3
    • /
    • pp.49-58
    • /
    • 2009
  • 목적 : 본 연구는 봉약침의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 멜리틴이 DU-145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cell viability 측정으로는 WST-1 assay를,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4,6-diamidino-2-phenylindole)와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calpain, Bax, caspase-3, -9, cleaved caspase-3, cleavaged PARP, cleaved caspase-9, Bcl-2, XIAP, cIAP2, Akt, p-Akt, MMP-2, MMP-13)의 관찰을 위하여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멜리틴이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Snake Venom on Cancer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Down Regulation of NF-${\kappa}B$ and STAT3 in the PA-1, Ovarian Cancer Cells (사독(蛇毒)이 난소암세포에 있어서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와 관련된 세포자멸사유도를 통한 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

  • Lee, Byung-Choo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9 no.1
    • /
    • pp.37-45
    • /
    • 2012
  • 목적 : 최근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와 관련된 항암제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본 연구는 사독(蛇毒)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를 유도하여 난소암 PA-1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사독을 처리한 후 난소암 PA-1 세포의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 및 NF-${\kappa}B$, STAT3의 활성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사독을 처리한 후 난소암 PA-1 세포에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암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사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세포자멸사 촉진 단백질인 cleaved caspase-3, Bax의 발현은 증가되었고, 세포자멸사 억제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3. 사독을 처리한 후 난소암 PA-1 세포의 NF-${\kappa}B$와 STAT3 발현은 감소되었고, 각각의 길항제인 salicylic acid와 stattic 처리 후 NF-${\kappa}B$와 STAT3 발현은 더욱 감소되었다. 결론 : 사독은 난소암 세포의 세포자멸사 유발과, NF-${\kappa}B$와 STAT3의 활성억제를 통해 치료 효율이 높고, 내성이 적은 난소암 치료제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ee Venom Inhibits PC-3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Bee Venom이 NF-${\kappa}B$의 불활성화에 의한 세포자멸사를 통해 PC-3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Oh, Hyun-J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7 no.3
    • /
    • pp.1-13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PC-3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PC-3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3, -9는 유의한 증가를, Bcl-2, XIAP, cXIAP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PC-3 세포에서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Bee Venom Death Receptor Dependent Apoptosis and JAK2/STAT3 Pathway in the Ovarian Cancer (난소암에서 봉독이 세포자멸사와 JAK2/STAT3 Pathway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

  • Ahn, Byeong-Joo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9 no.1
    • /
    • pp.47-59
    • /
    • 2012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사람의 난소암 세포인 SKOV3와 PA-1에서 death receptor의 발현을 높여 세포자멸사를 촉진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난소암의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난소암 세포에서 death receptor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RT-PCR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API, TUNEL staining assay 결과, 봉독은 투여량에 따라 세포자멸사의 유도를 통해 SKOV3와 PA-1 난소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고, 세포자멸사와 동반하여 DR4와 DR6의 발현이 두 암세포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DR3의 출현은 PA-1 세포에서 증가하였다. 2. Death Receptor의 발현 증가에 따라 caspase-3, 8, 9 and Bax를 포함하는 세포자멸사 촉진 단백질의 발현이 동반하여 상승하였고 JAK2, STAT3의 인산화와 Bcl-2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3. siRNA 처리 시 봉독에 의한 DR3, DR4, DR6 발현증가와 STAT3의 활성억제가 역전되었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봉독이 난소암 세포에서 DR3, DR4, DR6의 증가와 JAK2/STAT3 pathway의 억제를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난소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e Venom Inhibits LNCaP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봉독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LNCaP 세포증식 억제)

  • Lee, Hong-S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2
    • /
    • pp.59-74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LNCaP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LNCaP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LNCaP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 시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LNCaP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LNCaP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9, Bax는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MMP 13,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LNCaP 세포에서 $NF-{\kappa}B$ p50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그 기전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은 기존연구와 달리 $NF-{\kappa}B$ p50의 작용기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심화 연구를 요한다.

  • PDF

Snake Venom from Vipers Lebetina Turanica Inhibits Tumor in a PC-3 Cell Xenograft Model and PC-3 Cell Growth in Vitro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의 PC-3 세포성장 억제)

  • Kang, J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1-14
    • /
    • 2007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파(蛇毒藥鍼波)(Snake venom toxin, SVT)이 in vitro에서 $NF-{\kappa}B$의 활성억제와 apoptosis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지 in vivo에서 또한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Apoptosis evaluation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Apoptosis regulatory proteins의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시행하였으며,SVT의 핵내이동을 관찰하기 위해 Immunofluorescence Staining, Confocal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였으며,전립암세포의 종양형성에는 흉선을 제거한 쥐에 Tumorigenecity study를 시행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전립선 암세포의 성장,Apoptosis의 유발,Apoptosis관련 단백질의 발현,$NF-{\kappa}B$의 활성,SVT의 PC-3세포 핵내 이동여부 및 흉선제거 후 PC-3 세포를 이식한 쥐의 종양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세포성장이 억제되고,세포자멸사가 유도되며,조절인자인 p53, caspase-3, -9는 증가되었고,Bcl-2는 감소되었다. 2.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DAPI로 염색된 상태에서 SVT가 PC-3 세포의 핵내로 이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4. 흉선제거 후 전립선 암세포주를 이식한 쥐에서 SVT를 피내로 주입한 결과 전립선암의 크기와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이를 재확인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향후 SVT의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Inhibitory Effects of Melittin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 PC-3 in vivo and in vitro (Melittin의 전립선암세포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

  • Yun, Jong-Il;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51-61
    • /
    • 2007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의 주요 성분인 낮은 농도의 melittin이 in vitro에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과 전립 선암세포 PC-3 증식 관련 수용체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지 in vivo에서 또한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Melittin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l assay와 morphology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관련 MAP kinase 계열의 대표인 ERK1/2과 전립선암세포 증식관련 수용체인 PDGF-BB receptor ${\beta}$의 활성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 및 Immunofluorescence Staining , Confocal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였으며, 전립암세포의 종양형성에는 흉선을 제거한 쥐에 Tumorigenecity study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PC-3 세포에서 Melittin 처리 후 세포증식이 억제되었고 세포의 형태는 세포자멸사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2. PC-3 세포에서 Melittin 처리 후 ERKl/2과 PDGF-BB receptor ${\beta}$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3. PC-3 세포에서 Melittin과 AG1296을 함께 투여시 PDGF-BB receptor ${\beta}$ 활성억제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4. 흉선 제거 후 전립선암세포주를 이식한 쥐에서 Melittin을 피내로 주입한 결과 전립선암의 크기와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Melittin이 ERKl/2과 PDGF BB receptor ${\beta}$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이를 재확인한 생처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향후 Melittin의 전립선암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yanate Induces Apoptosis of Rat Glioma Cell Line (시안산에 의한 신경아교종세포의 자멸사)

  • Choi, Hye-Jung;Lee, Sang-He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7 no.3
    • /
    • pp.267-274
    • /
    • 2017
  • The patient with end-stage renal disease show several nervous complication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nervous complications are still incompletely characterized. Cyanate, known as one of the uremic toxins, is derived spontaneously from urea.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yanate-induced effect on C6 glioma cells, the glioma cells were treated with 0, 1, 5, 10, 20 and 40 mM cyanate. There was a dos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and the decreased number of cell was observed in glioma cells by treatment with cyanate. Western blot showed the down- regulation of procaspase-3, which means up-regulation of caspase-3, and the up-regulation of caspase-8, but the down-regulation by cyanate. In addition, cDNA microarray showed 934 down-regulated genes and 165 up-regulated genes on 1,099 genes in cyanate treated group. Treatment with cyanate led to 16 down-regulated genes and 6 up-regulated genes on apoptosis category, and especially heat shock 70 kD protein 1A gene on the category of apoptosis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anate can induce apoptosis through caspase-8 and caspase-3 in glioma cells and decrease of gene expression including apoptosis category in glioma cells. These effects of cyanate may play a role in the nervous complications of patient with end-stage renal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