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성면역반응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5초

상이한 치주병원균의 연속적 인공면역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에 대한 동물실험적 연구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to Sequential Periodontopathic Bacterial Immunization in Animal Model)

  • 전수경;김성조;최점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687-700
    • /
    • 2000
  • Antigen-specific T cell clones were obtained from mice immunized with Fusobacterium nucleatum ATCC 10953(F .nucleatum) and/or Porphyromonas gingi valis 381(P. gingivalis). 10 Balb/c mice per group were immunized with F. nucleatum followed by P. gingivalis, or with P. gingivalis alone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viable microorganisms. Spleen T cells were isolated and stimulated in vitro with viable P. gingivalis cells to establish P. gingivalisspecific T cell clones. T cell phenotypes and cytokine profiles were determined along with T cell responsiveness to F .nucleatum or P. gingivalis. Serum IgG antibody titers to F. nucleatum or P. gingivalis were also determined by ELISA. All the T cell clones derived from mice immunized with F. nucleatum followed by P. gingivalis demonstrated Th2 subsets, while those from mice immunized with P. gingivalis alone demonstrated Th1 subsets based on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cytokine profiles, All T cells clones from both groups were cross-reactive to both P. gingivalis and F. nucleatum antigens. Phenotypes of T cell clones were all positive for CD4. Mean post-immune serum IgG antibody levels to F. nucleatum or P . gingivali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immune levels(p <0.01,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tibody titers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P. gingivalis-specific T cells initially primed by cross-reactive F. nucleatum antigens were polarized to Th2 subsets, while T cells stimulated with P. gingivalis alone maintained the profile of Th1 subset.

  • PDF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감염이 파브리시우스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yptospoyidium bnileyi infection on the bursa of Fabricius in chickens)

  • 이재구;김현철;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81-188
    • /
    • 1997
  •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갉염이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리 일환으로 파브리시우스낭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경시적으로 조사하고자 150마리의 2일령 SPF 병아리 (Drkalb-Warren, Sex-Sal-Link)에 닭와포자충의 오오시스트 $5{\;}{\times}{\;}10^5$를 한 번에 경구투여하였타. 분변 속의 오오시스트 배설양상은 정상적이었으며. 파브리시우스낭 지수는 전 실험기간에 걸쳐 거의 변동이 없얹다 많은 수의 원충체가 접종 후 4-16일에 이 낭상피의 미세융또 가장자리에서 관찰되었으며 많은 수의 비만세포가 출현한 다음 원충체가 급격하게 소실하염다. 원충체의 분포상황과 상피 및 인접점막 고유층의 위호산구 침윤은 일치하였다. 이 병소는 상피. 인접 점막고유층의 위호산구 침율과 점만상피 증식을 동반한 미만성 만성 표재성 화농성 파브리시우스낭영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이었다 이러한 파브리시우스낭염은 면역억제를 유발할 건으로 생각된다.

  • PDF

소아에서 신장 이식 후 발생한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 1례 (A Case of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in a Child)

  • 장원경;한혜원;이미정;김태형;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2호
    • /
    • pp.245-252
    • /
    • 2003
  •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PTLD)는 이식 후 발생하는 림프증식성 질환으로 이식장기의 거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면역억제제의 사용 및 이에 따른 EBV 감염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소아 PTLD의 경우 성인에 비해 EBV의 초감염 또는 재활성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더 강력한 면역억제제들의 개발 및 사용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는 14세 여아로 신이식 44개월 후에 EBV 감염의 증거 없이 지발성 PTLD가 발생하였으며 골수 검사상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어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시작하였고, 치료 후 완전 관해는 이루어졌으나 심한 중성구 감소증에 따른 패혈성 쇼크로 입원 77일만에 사망하였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병 저항성에 대한 Bacillus subtilis MD-02의 효과 (Dietary effect of Bacillus subtilis MD-02 on Innate Immune Response and Disease Resistanc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동휘;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2-138
    • /
    • 2019
  • 제주 연안에서 분리한 해양유래 미생물 중에서 어류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는 Bacillus subtilis MD-02를 이용하여 넙치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비특이적 면역반응과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병 저항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 subtilis MD-02를 $1.2{\times}104CFU/100g$, $1.2{\times}10^6CFU/100g$, $1.2{\times}10^8CFU/100g$의 농도로 사료를 제작하여 넙치에게 급이 한 결과 4주차때 hematocrit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AST와 ALT는 각각 $1.2{\times}10^8CFU/100g$$1.2{\times}10^4CFU/100g$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Amylase의 결과 3주차 때부터 $1.2{\times}10^4CFU/100g$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otal protein의 경우 3주차 때부터 $1.2{\times}10^4CFU/100g$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비특이적 면역반응인 라이소자임 활성과 대식세포 활성 결과 $1.2{\times}10^8CFU/100g$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Streptococcus parauberis를 $1.2{\times}10^6CFU/ml$로 넙치에 접종 한 후 폐사율을 확인한 결과 대조구에선 전량 폐사가 일어난 반면 B. subtilis MD-02를 투여한그룹에서는 40-60%의 폐사율을 보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병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주연안에서 분리한 해양유래 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 MD-02를 넙치에게 급이 할 때 비특이적 면역반응과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병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사료 첨가제로 개발 시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중 크릴 밀을 급여한 육계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미치는 급성기 반응의 영향 (Effect of the Acute Phase Response on the Performanc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Broiler Chicks Fed on Dietary Krill Meal)

  • 박인경;김재환;임진택;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83-192
    • /
    • 2004
  • 급성 기 반응중인 육계에서 사료 중 크릴 밀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크릴 밀 A와 B를 이용한 실험 1과 크릴 밀 A를 이용한 확인 실험 2가 실시 되었다. 실험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기초 사료 와 기초 사료 중 대두박과 2.0%의 크릴 밀 A(수입) 또는 크릴 밀 B(수입)를 대치한 사료이다. 실험 사료를 1 일령 육계 병아리에 급여하여 Salmonella typhymurium lipopolysaccharide (LPS)를 복강 내 주입하여 급성 기 반응을 발생시킨 2 주령 육계의 생산성과 Superoxide dismu- tase(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Saline을 주입한 대조와 비교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크릴 밀 A와 크릴 밀 B 사료를 급여한 육계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크릴 밀 사료를 급여한 육계에서 급성기 반응은 간장과 비장 무계를 높였다. 그리고 급성기 반응은 크릴 밀 사료를 급여한 육계 병아리의 간장과 적혈구 세포액의 MnSOD와 Cu/ZnSOD 활성을 높였다. PHA-p 반응에 미치는 크릴 밀 사료의 영향은 없었다. 크릴 밀 B는 면역반응 후 회복중인 육계의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나 크릴 밀 A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없었다. 이상과 같이 크릴 밀의 종류에 따라 급성기반응시 와 회복시의 생산성은 SOD 활성의 변화로부터 산화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Inosiplex가 세포성(細胞性) 및 체액성면역반응(體液性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Inosiplex on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

  • 하대유;이헌구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4
    • /
    • 1981
  • The clinical need for agents to modify immune response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 has lea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cellular and biochemical mechanisms regulating the immune response and to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biological and chemical substance with immunomodulatory activity. Inosiplex has shown antiviral activity in tissue culture, animal models and huamn studies through augmentation of immune response. However, the effect of inosiplex on immune response in animal has not been extensively analyzed, and the effect of inosiplex on immune response has been paradoxical depending on the time of administration of inosiplex in relation to that of antigen.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effect of inosiplex on the immune response to sheep red blood cells(SRBC) in normal and viral infected mice. Inosiplex increased cellular immune response and plaque forming lymphocyte response to SRBC, decreased the recovery of S. typhimurium from infected mice spleen, and restored the depressed cellular immune response by measle and newcastle disease virus infections. All of the above results were observed only when inosiplex was given after immunization but did not when given before immuniz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osiplex stimulate the efferent are of immune response and may even block the afferent are, and suggest that inosiplex is a very promising drug in therapy of many viral infections.

  • PDF

진해만에서 분리한 무독성 Alexandrium tamarense (Dinophyceae) 동정을 위한 molecular probe 이용 (Species Identification of Nontoxic Alexandrium tamarense (Dinophyceae) from Chinhae Bay, Korea, Using Molecular Probes)

  • Cho, Eun-Seob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01-308
    • /
    • 2004
  • 진해만에서 분리한 무독성 Alexandrium tamarense와 이미 보고된 독성을 가진 A. tamarense종 간의 접속공, 제1상판, 후속공의 형태를 상호 비교하였다. 형태적으로 독성종과 거의 일치되지만, HPLC나 생체실험에서 진해만에서 새롭게 분리한 종은 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lectin반응결과 무독종 A. tamarense은 PNA와 강한 반응을 보여, 세포표면에 lactose나 galactose와 같은 물질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단백질 전기영동시 무독종은 유독종과 달리 21 kDa 정도 부위에서 종 특이적 밴드를 보였다. 따라서 PNA lectin이나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하면 무독종 A. famarense을 신속하게 동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종 심장 판막 및 대혈관 이식편과 심낭에서 효과적인 탈세포화 방법에 관한 연구: 탈세포화의 최적화 (Study on an Effective Decellularization Technique for Cardiac Valve, Arterial Wall and Pericardium Xenographs: Optimization of Decellularization)

  • 박천수;김용진;성시찬;박지은;최선영;김웅한;김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50-562
    • /
    • 2008
  • 배경: 조직공학분야에서 이종조직의 세포성분에 대한 면역반응을 없애기 위한 기본적인 과정으로 조직의 탈세포화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기존에 탈세포화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되었던 방법들을 변형 혹은 재현해 보고, 이를 통해 치적의 탈세포화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의 대동맥 및 폐동맥판막, 대동맥 및 폐동맥벽, 심낭을 탈세포화 세정제(detergents)에 대한 농도 및 배양시간, 온도조건, 용질에 대한 삼투압 등을 달리하고, 여러 탈세포화용액 및 그 조합을 통해 단일단계 및 여러 단계의 방법으로 배양하여 탈세포화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탈세포화 실험을 마친 조직은 hematoxylin-eosin (H&E) 염색을 통해 탈세포화의 정도와 세포 외 기질의 보존 정도를 평가하였고, 일부탈세포화된 조직에서는 이종항원면역제거 정도를 파악하는 alpha-Gal 염색과 DAPI 염색을 동시 시행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Polyethylene glycol이나 peracetic acid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탈세포화가 되지 않았다. 단일단계방법으로는 sodium deoxycholate (DOA), sodium dodesyl sulfate (SDS), Triton X-100, SDS와 Triton X-100을 섞은 용액에서, 다단계방법으로는 저장성 완충용액 ${\rightarrow}$ X-100 ${\rightarrow}$ SDS, DOA ${\rightarrow}$ 저장성 완충용액 ${\rightarrow}$ SDS, 저장성 완충용액 ${\rightarrow}$ SDS에서 탈세포화가 이루어 졌다. DOA는 다른 탈세포화 방법에 비해 세포 외 기질의 파괴가 심하였고, 특히 실험온도가 높아질 수록 세포 외 기질의 파괴가 더욱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종류, 양, 처리시간 및 세포 외 기질의 파괴 정도를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재현 가능한 탈세포화에 비교적 적합한 조합 및 조건은 단일단계방법으로 $4^{\circ}C$에서 SDS와 Triton X-100를 섞은 저장성용액에서 24시간 배양하는 방법과, 다단계방법으로 저장성 완충용액과 SDS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4^{\circ}C$에서 $6{\sim}8$시간 이상 저장성 완충용액에 처리한 후, 0.25% SDS가 섞인 저장성 완충용액에 16시간 배양 후 등장성 완충용액에 처리하는 방법이었다. 결론: $4^{\circ}C$에서 SDS 과 Triton X-100을 섞은 저장성 완충용액에서 24시간 배양하는 단일단계방법이나, 저장성완충용과 SDS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다단계 방법을 통해 세포 외 조직을 비교적 잘 보존하면서 적은 수의 탈세포화 용액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탈세포화를 얻을 수 있었다.

A549 폐암세포주의 방사선-유도성 세포사에서 NF-${\kappa}B$ 활성화 및 cIAP 발현 (NF-${\kappa}B$ Activation and cIAP Expression in Radiation-induced Cell Death of A549 Lung Cancer Cells)

  • 이계영;곽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488-498
    • /
    • 2003
  • 연구배경 :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세포사멸과 함께 AP-l, NF-${\kappa}B$와 같은 여러 전사인자가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염증과 면역반응의 중요한 전사인자인 NF-${\kappa}B$는 항아포프토시스의 기능이 있으며 NF-${\kappa}B$ 활성화를 차단함으로써 TNF-${\alpha}$나 daunorubicine 등에 의 한 항암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이 밝혀져 있다. NF-${\kappa}B$의 항아포프토시스 기전은 NF-${\kappa}B$ 의존성 단백질인 cIAPI, 2의 전사발현 유도에 의한 것으로 cIAPl, 2는 caspase 3, 7, pro-caspase-9의 활성을 차단함으로써 아포프토시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에 비교적 내성을 보이는 A549 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한 NF-${\kappa}B$ 활성화와 그에 따른 cIAP 발현유도를 조사하고 NF-${\kappa}B$ 활성화를 차단하여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의 감작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세포주는 A549 폐암세포주를 이용하였고, 방사선 조사는 Varian사의 Clinac 1800C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량은 10GY를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검사는 MTT Assay를 이용하였고, NF-${\kappa}B$ 활성화 검사는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electromobility shift assay, $I{\kappa}B-{\alpha}$ degradation에 대한 westem blot을 이용하였다. NF-${\kappa}B$활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proteosome inhibitor인 MGI32와 $I{\kappa}B{\alpha}$-superrepressor plasmid를 transfection한 안정적 세포주 A549-$I{\kappa}B{\alpha}$-superrepressor를 이용하였다. cIAP의 발현은 RT-PCR을 이용하였고, cIAP2 promoter 활성은 NF-${\kappa}B$ site를 포함한 cIAP2 유전자 5' f1anking region(1.4kb)을 pGL2-Basic luciferase vector에 cloning 한 construct를 사용하여 transfection 후 luciferase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A549 cell에서 10Gy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은 24hr, 48hr에 각각 $10.82{\pm}.3%$, $17.7{\pm}6.4%$로 비교적 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사선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은 $I{\kappa}B-{\alpha}$ 분해에 대한 western blot과 EMSA로 확인하였으며 luciferase assay에서도 약 1.6 배 정도의 NF-${\kappa}B$ 활성화가 있었다. NF-${\kappa}B$활성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한 MG132는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A549-$I{\kappa}B{\alpha}$-superrepressor 세포주에서도 세포사멸의 감작효과는 없었다. 또한 RT-PCR 결과 방사선에 의한 cIAP1,2 mRNA 발현유도는 관찰되지 않았고 cIAP2 promoter luciferase assay에서도 cIAP2 전사활성 유도는 없었다. 결 론 : A549 폐암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해 NF-${\kappa}B$의 활성화는 확인하였으나 활성화 정도가 미약하였고 NF-${\kappa}B$ 의존성 항아포프토시스 유전자인 cIAP가 방사선에 의해 발현유도 되지 않았으며, NF-${\kappa}B$ 활성을 차단함에도 세포독성에 감작효과가 없었으므로 A549 폐암세포주에서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에 내성을 보이는 기전에는 NF-${\kappa}B$의 역할이 미미하리라고 사료된다.

돼지생식기 및 호흡기증후군(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 PRRSV) 바이러스의 국내분리주 작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PRRSV) in Korea)

  • 권창희;권병준;이한정;조재진;황의경;신진호;윤용덕;강영배;안수환;김용희;허원;전무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7-83
    • /
    • 1994
  • 유사산 태아의 폐, 청색증을 나타내는 자돈으로부터 돼지생식기 및 호흡기증후군(PRRS)의 원인체로 추정되는 바이러스주(KPRRSV) 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주는 돼지콜레라, 돼지오제스키병, 돼지뇌심근염바이러스에 대한 형광항체반응에서는 음성이었으며 기니픽혈구에 대한 혈구응집 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포유 마우스의 뇌내 접종시 이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돼지생식기 및 호흡기증후군에 대한 형광항체검사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바이러스는 돼지폐포탐식세포(porcine alveola macrophages)에서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를 나타내었으며 세포변성효과를 나타내었던 바이러스주중 일주(KPRRSV-1)를 돼지폐포탐식세포에서 7대 연속 계대하여 돼지에 접종한 후 혈청을 분리하여 미국 및 유럽지역에서 분리된 돼지유행성 유사산 및 호흡기증후군의 바이러스를 탐식세포에 감염시켜 효소면역방법 (immunoperoxidase monolayer assay)으로 분석한 결과 분리된 바이러스는 미국형 돼지호흡기 및 유사산증후군에 가까운 항원형으로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