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성면역반응

Search Result 63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ocalization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mGnRH, sGnRH and cGnRH II) in the Brain of three species of Frog, R. nigromaculata, R. dybowskii and R. rugosa (참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옴개구리 뇌에서 3가지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 호르몬(mGnRH, sGnRH, cGnRH II )의 분포)

  • 김정우;최완성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161-173
    • /
    • 1994
  • 면역효소법을 이용하여 3종의 한국산 개구리 참개구리(Rono nigromaculuto), 옴개구리(R. rugosa), 북방산개구리(R. 겨대bowskii)의 뇌에서 GnRH 뉴우런의 분포 부위와 GnRH의 종류 등을 연구하였다. 1차 항체로는 anti-rat GnRH, anti-salmon GnRH anti-chicken 11 GnRH 항체를 사용하였다. 3종의 개구리에서 mGnRH cGnRH 11와 sGnRH가 이둔 동정되었으나 3가지 항체에 대한 각 종의 면역 반응성은 종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mGnRH는 옴개구리와 참개구리에서, sGnRH는 북방산개구리에서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냈으며 cGnRH 11는 3종의 개구리에서 중간 정도의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각각의 GnRH의 상대적인 양에는 차이가 있으나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뇌의 동일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NMS), Broca band 핵(NDB)에 집단으로 분포하였다. 북방산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 Broca bnad 핵에서 등쪽에서 배쪽으로 길게 선상으로 가장 협소하게 분포하였으며, 번식기와 직전(1월-3월)에만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옴개구리의 뇌에서 가장 광범위한 지역, 즉 종뇌의 중격 내측핵, Broca band 핵, 아래 교차 지역(SCA)과 간뇌에 GnRH 신경세포가 분포하였으며. 제3뇌실 맥락얼기에서 mGnRH 신경세포가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3종에서 공통적으로 중격 내측핵과 Broca band 핵에서 유래한 신경섬유는 복측 시상하부를 거쳐 정중융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과는 GnRH가 뇌하수체에서 생식소 자극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뜻한다.

  • PDF

Study on the Change of Catecholamine, Arginine Vasopressin and V1 Vasopressin Receptor Release in the Stressed Rat Brain

  • Kim, Tae-Gyun;Kim, Jee-Hee;Kim, Seung-Hee;Kang, Seog-Youn;Ki, Kyung-Chung;Huh, Young-Buhm;Lee, S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7.04a
    • /
    • pp.85-85
    • /
    • 1997
  • 스트레스가 유발된 랫드의 대뇌에서 Vasopressin-catecholamine pathway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화학염색법으로 vasopressin 호르몬의 분비와 catecholamine의 생성변화를 tyrosine hydroxylase (TH) 효소의 발현변화로 규명하고, arginine vasopressin (AVP)과 V1 vasopressin receptor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수컷 SD rat를 7시간동안 stress cage에 넣어 16$\pm$1$^{\circ}C$의 물에 수침구속 스트레스를 준 후 대조군과 함께 관류고정하여 brain을 적출하였다. Brain의 hypothalamus 부위를 중심으로하여 동결절편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TH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대뇌의 줄무늬체 부위의 꼬리조가비핵에서와 시상하부 부위의 내측등쪽시상하부와 흑색질부위에서 스트레스군이 대조군에 비해 TH 면역염색성이 증가되어 관찰되었으나 시상하부 부위의 시삭위핵, 뇌실주위핵, 뇌실옆핵에서는 두 군간의 큰 면역염색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VP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는 시삭위핵에 많은 수의 AVP 양성 신경세포체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뇌실옆핵에서는 스트레스군에서 AVP 면역염색성이 약간 증가되어 관찰되었으나 신경섬유의 분포양상은 비슷하였다. 중간융기에서는 모두 강한 염색성의 신경섬유들이 관찰되어 두 군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AVP 유전자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 결과 시삭위핵의 신경세포에서 AVP mRNA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다른 시상하부핵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V1 vasopressin receptor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 결과는 두 군의 대뇌에서 모두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V1 vasopressin receptor 유전자의 조직별 발현정도와 스트레스에 의한 발현량 조절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Clonorchis sinensis: Analysis of the Characterization of Somatic and Metabolic Antigens (1)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leen in Mice When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Antigens (간흡충: 충체 및 대사성 항원의 특성분석 (1) 항원투여 마우스 비장조직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양용석;류장근;주난영;송강원
    • Biomedical Science Letters
    • /
    • v.2 no.2
    • /
    • pp.275-282
    • /
    • 1996
  • The authors inquired into what reactions comprise the response of mice(as a model) CD3, CD4 and CD8 monoclonal antibodies in spleen tissue when injected intraperitoneally by antigens of Clonorchis sinensis. The author is objective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property of cellular immunity for liver fluke.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having examined the phenotype of the tissue of spleen were revealed as follows: a certain length of time after having been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antigens of Clonorchis sinensis and Freund's adjuvant, the tissue of spleen was embedded and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by the avidin-biotin complex method. A strong reaction in response to CD3, while a feeble reaction resulted from CD4 and CD8. The tissue region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all antibodies, especially from capsules, vascular areas, white pulps and membrane of blood cells.

  • PDF

Development of mixed Th1/Th2-type immune response in mice following immunization with GP63 from Leishmania donovani (내장리슈만편모충 유래 GP63 항원을 마우스에 접종한 후 관찰되는 Th1/Th2-type 복합 면역반응)

  • Shin, Sung-shi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41 no.2
    • /
    • pp.211-218
    • /
    • 2001
  • The $M_r$ 63,000 glycoprotein (GP63) and lipophosphoglycan (LPG) of Leishmania donovani were evaluated as vaccine candidates against visceral leishmaniasis. Mice were immunized with liposomeencapsulated GP63 and/or LPG that were purified from the soluble extract of L. donovani promastigotes, and were challenged with virulent amastigotes. Mice immunized with GP63/LPG in liposomes plus BCG resulted in a 27.4% reduction of amastigotes in the liv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iposomes plus BCG), and mice immunized with liposome-GP63 plus BCG failed to induce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against the challenge infection. Immunization of mice with GP63 fused to the Schistosoma japonicum glutathione S-transferase (GP63-GST) plus BCG also failed to elicit protective immunity. To analyze the cause of failure to induce protection, cytokine release from the spleen cells of immunized mice and Leishmania-specific serum antibodies were analyzed. Spleen cells from mice immunized with GP63-GST plus BCG that were exposed to soluble extract of L. donovani in vitro produced 10-fold greater quantities of IFN-gamma and 3-fold greater quantities of IL-5 than cells from mice receiving BCG only or saline.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sera from these mice had Leishmania-specific antibodies recognizing 1 to 3 antigens of L. donovani with M. W. of 60-65 kDa. Although immunization of mice with GP63-GST induced a strong Th1 response, this study indicated that GP63-GST simultaneously elicited the Th2 response of the CD4+ T-cell, which was known to abrogate the protective immune response conferred by the Th1 effector function.

  • PDF

Detection of Matrix Metanoproteinase -1, -2, -3 in pulpal and periapical pathosis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1, -2, -3의 분포에 관한 연구)

  • Su-Jung Shin;Seung-Ho Baek;Sung-Sam Li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3
    • /
    • pp.191-199
    • /
    • 2001
  • 목적 -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는 조직의 염증 및 치유과정에서 숙주세포에서 생성, 분비되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해에 작용한다. 다양한 염증반응에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그 역할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이 있는 사람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을 채취하여 Enzymeimmunoass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해 제1형, 2형, 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수준 및 그 분포를 측정하여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이 효소의 작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연구재료는 근관치료를 위해 서울대학교 병원 치과 진료부 보존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34개의 치아에서 통상의 근관치료 중 발수한 치수조직과 치근단 수술중 얻은 치근단 병소(n=10)를 이용하였다. 치수는 발수 전에 임상진단을 통해 급성 치수염(n=12), 만성 치수염(n=12), 정상 치수(n=10)로 구분하고 정상치수로 진단된 것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채취된 표본은 둘로 나누어 절반은 30분 이내에 5$\mu\textrm{m}$ 두께로 동결절단을 시행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고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조직은 ELISA를 위해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ELISA를 시행하기전 표본의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여 모든 표본의 단백질 양을 50mg/$\mu\textrm{l}$로 일치시키고 Amersham사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1형, 2형, 3형의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각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1. ELISA의 결과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급성치수염군의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가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5). 2. 제2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과 대조군에서만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3.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에서 대조군이나 만성치수염군보다 유의성 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p<.05). 4. 면역조직화학검색 결과 염증성 치수에 존재하는 급성 및 만성염증세포 주위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에 대한 면역 반응이 존재하였으며 주로 제1형과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대식세포 및 림파구 주위로 강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5. 치근단병소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결과 만성염증 세포 주변으로 미약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The Serum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n the Anti-infamma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s in the Liver of Lipopolysaccharide-injected Rat (인진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주입에 의한 흰쥐 간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혈청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영향)

  • 길영기;이준혁;최병태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4 no.2
    • /
    • pp.215-220
    • /
    • 2004
  •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AEAC), a traditional Korean herb for remedying liver disease, for suppression in the process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ion in the liver of rat. Level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was increased in the serum of LPS-treated rats compared to normal, however, in the rats pretreated with AEAC, the increase of GOT, GPT and LDH value was arrested. More severe histological changes of liver such as cloudy swelling, hydropic degeneration, Kupffer cell reaction and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were demonstrated in the rats challenged with LPS compared with normal. Fewer scores of these changes were observed in rats pretreated with AEAC.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while the expression of the nuclear factor (NF)-kBp6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COX (cyclooxygenase)-2 tended to increase, that of inhibitory (I)-kBa was decreased in the hepatocytes of rats challenged with LPS. A slight decline of NF-kBp65, TNF-$\alpha$ and COX-2, but increase of I-kB$\alpha$ were observed in the hepatocytes of the rats pretreated with AE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EAC may act as a therapeutic agent for liver disease through a regulat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면역계 질환 치료제로서의 인삼의 생리활성 성분의 개발 연구

  • 이시용;김경만;임동구;오기완;최수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32-232
    • /
    • 1994
  • 인삼이 면역계 질환의 일종인 과민성 반응에 대한 치료약으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in viva와 in vitra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a실험으로서는 hyaluronidase의 활성을 지표로 삼았으며, in viva실험에서는 mouse이각, rat등피부, 복강 비만세포, 그리고 guinea pig의 ileum에서 면역반응에 대한 아답타겐의 작용을 관찰하였다. in uitra 실험에서는 hyaluronidase와 histamine 분비를 항알레르기 작용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hyaluronidase의 경우 그 활성은 Cacl2로 활성화 시키기 전이나 후에 모두 아답타겐(100, 50, 및 10 mg/ml)에 의해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한편 rat 복강 비만 세포에서의 histamine유리 시험에서는 아답타겐(0.5, 1, 5mg/ml)이 histamine유리가 증가되었다. Guinea pig의 ileum 평활근에서는 아답타겐이 평활근 자극 작용없이 항히스타민 효과률 나타내었다. in uiua 실험의 첫 단계로 우리는 혈관 투과성에 미치는 아답타겐의 효과를 mouse 이각과 rat 등피부에서 관찰하였다. Mouse이각에서의 실험에서는 hoistamine, serotonin, 그리고 LTC4로 challenge하여 관찰한 결과 histamine과 serotonin의 경우, 혈관투과성 항진은 아답타겐(50-400mg/m1)에 의해서 유의성있게 억제되었으나, rat 등 피부에서는 mouse에서와는 달리 48-hr PCA가 증가 되었고, histamine에 의한 혈관투과성 항진은 아답타겐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에 compound 48/80과 serotonin에 의한 혈관투과성 항진은 mouse 의 경우에서처럼 아답타겐에 의해 억제되었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Marine Bacterium Producing an Immunostimulant (면역증강물질을 생산하는 해양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 최혜정;정명주;정영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6
    • /
    • pp.1145-1150
    • /
    • 2000
  • 면역증강물질을 생산하는 균주를 해수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크림색의 둥근 점질성의 집략을 나타내었으며, Gram 음성의 간산형이고, 미약한 운동성을 가지며 catalase 양성과 oxidase 음성 반응을 보였다. 균주를 6시간 , 20시간, 72시간, 및 144시간 뱅양하여 전자 현미경사에서 관찰한 결과 20시간 배양한 영양세포는 1.25~0.6$\times$0.6$\mu\textrm{m}$ 크기의 간균 형태를 갖추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세포내 관립의 밀도가 증가하면서 세포형태가 다형태성으로 변하였다. 세포내 과립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sudan black B로 염색한 결과 양성으로 polyhy-droxy butyrate로 예상되었다. 생육을 위한 최적 온도는 3$0^{\circ}C$, pH는 3.0~10.0이었으며, 호기성균이었다. D-Glu-cose, D-mannose, D-mannitiol. insitol, maltose 등의 당과 L-asparagine, L-glutamate 등의 아미노산을 이용하였고 특시, O/F test에서 glucose와 maltose를 산화 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해양세균 유래인 Pseudo-mallei group의 Burkholderia 속으로 확인되었음로 본 균주를 Burkholderia sp. IS-203으로 명명하였다.

  • PDF

Functional Understating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 within Lymph Node Stroma (림프절 스토로마 내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기능 이해)

  • So, Deuk Won;Ryu, Sul Hwa;Lee, Jong-Hw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11
    • /
    • pp.1409-1414
    • /
    • 2013
  • Lymph node (LN) is the sites where mature lymphocytes become stimulated to respond to invading pathogens in the body. Lymphocytes screen the surfaces of pathogen-carrying antigen-presenting cells for cognate antigens, while moving along stromal structural back bone.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 is stromal cell forming the 3 dimensional structure networks of the T cell rich zones in LN, and provide a guidance path for immigrating T lymphocytes. In these cooperative environments, the cell to cell bidirectional interactions between FRC and T cells in LN are therefore essential to the normal functioning of these tissues. Not only do FRCs physically construct LN architecture but they are essential for regulating T cell biology within these domains. FRC interact closely with T lymphocytes, is providing scaffolds, secreting soluble factors including cytokine in which FRCs influence T cell immune response. More recently, FRC have been found to induce peripheral T cell tolerance and regulate the extent to which newly activated T cells proliferate within LN. Thus, FRC-T cell crosstalk has important consequences for regulating immune cell function within LN. In addition, FRC have profound effects on innate immune response by secreting anti-microbial peptides and complement, etc in the inflammatory milieu. In summary, we propose a model in which FRC engage in a bidirectional touch to increase the T cell biological efficiency between FRC and T cells. This collaborative feedback loop may help to maintain tissue function during inflammation response.

Studies on immunomodulating function of components separated from higher fungi (고등균류 균사체의 면역조절 기능성에 관한 연구)

  • Bae, Man-Jong;Park, Mu-Hee;Lee, Jae-Sung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24 no.2 s.77
    • /
    • pp.142-148
    • /
    • 1996
  • To find compounds of immunomodulating and anti-allergic function, effect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hellinus igniarius (PI), Fomitella fraxinea (FF) and Agrocybe cylindracea (AC) on hemagglutinin titer (HA), hemolysin titer (HY), plaque forming cell (PFC), rosette forming cell (RFC) and phagocytosis were investigated in BALB/C mice. The oral administration of the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of PI, FF and AC for 10 days resulted in the enhanced phagocytic activity of peritoneal exudate cells (PEC), spleen cells (SC) and blood lymphocyte cells (BLC). Moreover, PI showed the activating effect on the phagocytosis of PEC and AC in SC. In the experiment of PFC and RFC,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each sampl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enhanced level of activity such as PI 130%, FF 90% and AC 70%. Generally, HY and HA showed from ten to hundred times of level in each sample group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