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독성시험

Search Result 29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 vitro toxicology test for cigarette mainstream smoke (담배적용 생체외(in vitro) 평가)

  • Shin, Han-Jae;Park, Chul-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 /
    • v.30 no.1
    • /
    • pp.56-65
    • /
    • 2008
  • 세포독성과 유전독성 측정법은 독성 평가에 있어서 통합요소이며, 잠재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규제 당국에 의해 인정되는 방법이다. 이들은 빠르고 경제적인 방법이고, 오랜 사용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양적인 독성을 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담배의 안전성을 평가하기위해 널리 이용되는 3-battery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1. 미생물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 2. 포유류 유래 세포주를 이용한 Neutral red 세포독성 3. 포유류 유래 세포주를 이용한 소핵시험

솔잎 증류액의 생리활성에 탐색에 관한 연구

  • 이효진;김수현;최승필;이득식;함승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6.2-136
    • /
    • 2003
  • 솔잎은 예로부터 민간에서 약용으로 사용되어 간장질환, 비뇨생식기질환, 위장질환, 신경계질환, 순환기질환 및 피부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식용으로도 널리 이용하여온 천연식물 자원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솔잎 증류액을 가지고 솔잎이 갖는 향기 성분에 대한 분석, 음용수 적합성 시험을 행하였으며,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고자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 항돌연변이원성 시험, 세포독성 시험, 유전독성 억제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향기 성분과 음용수 분석 시험에서는 음용수로 부적합한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에서 RC$_{50}$이 69.9${\mu}\ell$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돌연변이원성 시험에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하여 시료 농도 200${\mu}\ell$/plate에서 8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다. 세포독성시험 결과, 시료농도 50${\mu}\ell$/well에서 위암세포인 AGS, 간암세포인 HepG2 모두에서 90%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그리고 생체내 시험인 유전독성 시험에서는 시료 200${\mu}\ell$/kg에서 72.4%의 비교적 높은 유전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사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pplication of Neutral Red Uptake Assay Using EPC Cells as an Alternative to the Fish Acute Toxicity Test for Pesticide (어류급성독성시험 대체법으로서 잉어표피세포를 이용한 Neutral Red Uptake 분석법 적용)

  • Seo, Ji-Hyun;Park, June-Woo;Lee, Sung-Kyu;Kim, Woo-Keu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8 no.1
    • /
    • pp.8-13
    • /
    • 2014
  • This study evaluated in vitro cytotoxicity of 5 pesticides, including 2 herbicides, 2 germicides, and an insecticide, as an alternative to the fish acute toxicity test. The in vitro cytotoxicity was tested using a neutral red uptake (NRU) assay with epithelioma papulosum cyprini (EPC) cells that originated from the epidermal tissue of Cyprinus carpio (common carp). An in vivo fish acute toxicity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OECD Test Guideline No. 203 using Aphyocypris chinensis (Chinese bleak), Oryzias latipes (Japanese medaka), and C. carpi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nsitivity of the cell viability assay for the pesticides was similar to the fish acute test in ranking order despite having approximately 10 times less absolute sensitivity. The $r^2$ correlation values were calculated as 0.38 (p = 0.26), 0.76 (p = 0.05) and 0.90 (p = 0.01) for A. chinensis, O. latipes, and C. carpio,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tential of EPC cell viability assay as an alternative to the fish acute toxicity test due to their good correlation and NRU assay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tool for predicting acute fish lethality for pesticides if further studies with a large set of pesticides are conducted.

Cobra (Ophiphagus hannah) 독으로부터 세포 독성 단백질의 분리

  • 김영식;이병무;안미영;박재갑;현진원;임경화;박호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05-205
    • /
    • 1994
  • 동물, 곤충, 해조류 등으로 부터 얻어진 독소는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의학적으로 유용한 화합물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독사, 또는 곤충의 독 30여종을 대상으로 위암 세포인 SNU-1에 대해서 MTT assay에 의한 세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중 세포 독성 활성이 가장 놓은 코브라 계통인 Ophiphagus hannah의 독으로 부터 세포 독성 물질의 정제를 시도하였다. HPLC-GPC와 HPLC-lEX 또는 RP-H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각 분획들을 암세포주에 대해서 시험하였다. TSK-2000SW로 부터 2개의 분획을 얻어 분획 I에서 $IC_{50}$/ 의 값이 0.5 - 3 $\mu\textrm{g}$/ml의 범위 내에서 확인되었다. 분자량이 작은 분획 II에서는 세포독성이 작게 나타났지만 농축하여 성분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획 I을 RP-HPLC를 이용하여 TFA와 acetonitrile의 linear gradient에 의해 더욱 분리를 하였고, phopholipase $A_2$ 활성의 가능성도 측정하였다. 분획 II는 Mono S 칼람을 이용하여 ammonium acetate농도에 따른 pH gradient에 의한 분리를 시도하여 순도를 SDS-PAGE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각각의 크로마토그리피로 부터 얻은 분획에 대해서 세포 독성을 실시중에 있으며 성질도 동정중에 있다.

  • PDF

간장질환 치료제 G009의 개발 - 급성 및 유전독성 연구

  • 문병우;하광원;이송득;조순현;이승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03-203
    • /
    • 1994
  • 3) 결과 및 고찰 : 급성독성시험 : 대조군 및 G009투여군(최저 312.5mg/kg, 최고 5000mg/kg) 5용량에서 모두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대조군과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육안적 소견은 생존동물 모두에 약물에 기인한 내부장기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전독성시험 :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약물 투여에 의한 어떠한 독성의 징후도 관찰되지 않았다. 포유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에서 모든 농도에서 염색체 이상을 가진 세포의 출현빈도가 3% 이하로서 G009는 CHL세포에 대하여 염색체 이상유발성이 없었다. 살모넬라균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 투여군은 음성대조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하의 복귀변이 집락수를 나타내었다.

  • PDF

In vivo and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Test of Gentamicin as a Verterinary Drug (식품에 잔류하는 Gentamicin의 유전독성평가에 관한 연구)

  • Ha, Kwang-Won;Oh, Hye-Young;Kang, Chun;Son, Soo-Jung;Park, Jang-Hwan;Heo, Ok-Soon;Han, Eui-Sik;Kim, So-Hee;Kim, Myung-Hee;Moon, Hwa-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249-249
    • /
    • 1996
  • Gentamicin은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aminoglycoside계 항생물질로서 세균의 세포막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최근 Gentamicin이 동물사료에 포함되거나 동물약품으로 많이 사용되어, 이를 복용한 식용가축에서의 잔류 량에 대한 인체유해성이 WHO/FAO 식품첨가물 전문가 협의회에서 논의되고 있다. Gentamicin의 육가공류의 잔류허용량 기준설정을 위한 독성 재평가의 일환으로 in vivo. in vitro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외 염색체이상시험에서는 포유동물 배양세포인 chinese hamster lung cell을 배양하여 gentamicin sulfate 및 gentamicin을 최고 처리농도 5mg/$m\ell$부터 세포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는 5mg/$m\ell$를 최고농도로 2.5, 1.25mg/$m\ell$의 3농도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으로 각 농도당 2매의 플레이트씩 슬라이드를 제작, 결과를 판독한 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 모두에서 전 농도 군에서 음성대조군과 같은 정도의 염색체이상을 유발하여 유전독성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2. 체내 염색체 이상시험에서는 ddY마우스를 이용하여 gentamicin sulfate의 LD$_{50}$의 1/2에 해당하는 200mg/kg을 최고농도로 gentamicin 과 gentamicin sulfate를 암수 각각 3마리씩 공비 2의 3농도로 투여한 후, 24시간째 골수세포의 염색체 표본을 제작하여 관찰한 결과, 세포독성 및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또한 동물약품으로 사용되는 치료용량 및 투약방법에 근거하여 10mg/kg 및 5, 2.5mg/kg을 1일 1회씩 4회 투여한 군에서도 암수에 상관없이 전 농도 군에서 염색체이상을 나타내지 않아 유전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 PDF

In vitro biocompatibility study of zirconia/alumina composites (지르코니아/알루미나 복합 세라믹의 시험관내 생체적합성에 관한 연구)

  • Kim, Kyu-Jin;Kim, Hyun-Man;Ko, Jea Seung;Kim, Dae-Joon;Han, Jung-Suk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18 no.2
    • /
    • pp.73-80
    • /
    • 2002
  • 치과용 임플란트의 세라믹 지대주를 위해 개발된 지르코니아 함유 세라믹 시편의 생체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관내 세포 독성을 검사를 시행하였다. L929 섬유모세포를 $37^{\circ}C$, 90% 습도, 5% CO2 및 95% 공기의 조건을 유지하는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양 2일, 4일, 6일 마다 시편을 넣은 배양 접시 내의 전체 세포 수와 생존 세포 수를 세어 세포 증식과 세포 생존율 검사를 시행하였다. millipore filter test를 이용하여 succinate dehydrogenase 효소 활성을 검사하였으며,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agar overlay test를 시행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시편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양성 대조군은 시편과 같은 크기의 구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포 증식과 세포 생존율 검사에서는 지르코니아 함유 세라믹을 넣은 실험군과 음성 대조군 모두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가 증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세포 생존율 검사에서도 실험군과 음성 대조군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millipore filter test에서는 실험 시편 모두에서 염색 정도의 변화가 없이 음성 대조군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구리 시편을 넣은 양성 대조군에서는 중등도의 세포 독성을 나타냈다. 3. agar overlay test에서도 시편을 넣지 않은 음성 대조군에서는 세포 성장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험군에서도 시편 주위로 탈색이 관찰되지 않아서 음성대조군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양성 대조군에서는 심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4. 실험결과, 치과용 임플란트의 세라믹 지대주를 위해 개발된 지르코니아 함유 세라믹 시편은 시험관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Mechanical Properties and cytotoxicity of nitrided 630 Stainless by ion nitriding (플라즈마 이온질화에 따른 STS 630의 기계적 특성과 세포독성에 관한 융합적 연구)

  • Hwang, Gab-W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241-246
    • /
    • 2019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materi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of the 630 stainless steel for the application of medical instruments. The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of the 630 stainless steel were studied by aging, nitriding, SEM measurement, Vicker's hardness, tensile strength and MTT cytotoxicity using IGF cell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Vicker's hardness of 630 stainless steel was increased with aging and ion nitriding time. The cytotoxicities of the 630 stainles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420 stainless on MTT cytotoxicity using IGF cells. Ion nitriding of 630 stainless led to an enhanced application of medical instruments and biocompat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enetic Toxicity of Synthetic Chemicals (Ⅸ) a Synthetic Selective Herbicide, Pretilachlor- (합성화학물질들의 유전독성평가(Ⅸ) -합성 제초제 Pretilachlor -)

  • Ryu Jae-Chun;Kim Youn-Jung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9 no.1
    • /
    • pp.93-100
    • /
    • 2004
  • Pretilachlor [2-chloro-N -(2, 6-diethylphenyl)-N-(2-propoxyethyl) acetamide, $C_{17}$H$_{26}$ClNo$_2$, M.W.=311.9, CAS No.51218-49-6]는 제초제의 일종으로 본 연구에서는 박테리아 복귀 돌연변이 시험과 포유동물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 및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소핵 시험을 수행하여 pretilachlor의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박테리아 복귀 돌연변이 시험에서 pretilachlor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 100, TA1535, TA1537 균주의 대사 활성계 존재 및 부재시 313-5,000$\mu\textrm{g}$/plate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인 돌연변이 율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포유동물 세포인 Chinese hamster lung (CHL) fibroblast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에서 pretilachlor는 대사 활성계 존재 및 부재시 1.56-6.24$\mu\textrm{g}$/mL의 농도에서 clastogenicity를 보이지 않았고, 137.5-550.1 mg/kg의 pretilachlor를 복강 주사한 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한 in vivo소핵 시험의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핵 유발능을 관찰할 수 없었다었다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and EGCG on Ethanol-induced Cytotoxicity and DNA Damage in NIH/3T3 and HepG2 Cells

  • Kim, Nam Yee;Kim, Hyun Pyo;Heo, Moon You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1 no.1
    • /
    • pp.1-7
    • /
    • 2016
  • In the present study, our aim was to determine whether green tea extract (GTE) and its major constituent,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have a protective effect on ethanol-induced cytotoxicity and DNA damage in NIH/3T3 and HepG2 cells. The cell viability and DNA single strand breaks were examined by MTT assay and alkalin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respectively. Ethanol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and also increased DNA single strand break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On the other hand, GTE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of cytotoxicity and DNA damage induced by ethanol in both cell lines. GTE and EGCG, were found to possess the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ies by evaluation with DPPH test, LDL oxidation assay, oxidative DNA damage assay and 8OH-2'dG generation test. These results were also verifi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ing the lower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of commercial green tea liqueur compared to pure ethanol in same concentration.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GTE or EGCG may mitigate the ethanol-induced cytotoxicity and DNA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