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종자격루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King Sejong′s String Clepsydra: (2) Bay and Night Time Announcing System (세종의 자격루 : (2)자격보시장치)

  • 남문현;서문호;한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702-706
    • /
    • 1996
  • The King Sejong's Striking water-clock was named for its distictive day and night time announcing system. Its time announcing system generates acoustic and visual signals for the twelve double hour, and combinations of two different acoustic signals for the five night watches, The mechanism of this signal generation system is triggered by a copper ball which is mechanically digitized time keeping signal, and is generated from the water clock. The time announcing system consisted four parts: 1) the mechanical amplifier which changes small copper to heavy steel ball, 2) day time announcing system, 3) night time announcing system, 4) sounding mechanism. The time announcing system of King Seong's Striking Clepsidra is remotely related to the Arabic clock system, however, it does have world-widely distictive mechanisms of its era, such as mechanical amplifier, self-weight rachet mechanism, and resetable mechanical computer etc.

  • PDF

세종대 제어계측기술의 현대적 재조명

  • 남문현
    • 전기의세계
    • /
    • v.43 no.5
    • /
    • pp.24-29
    • /
    • 1994
  • 조선조 제 4대 세종(재위 1418-1450)이 재위했던 32년은 조선조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기였다. 특히 천문 관측기와 자격루를 위시한 각종 계시기의 발명, 인쇄기술의 개선, 도량형 통일, 화포를 위시한 무기으 ㅣ개량, 측우기의 발명 등 당시로서는 첨단을 달리는 과학기술의 황금시대를 연출하였다. 소위 첨단기술의 시대라는 오늘 우리는 세종시대의 과학과 기술을 직접 재현하여 이용할 수는 없지만 당시의 과학기술의 실체와 이것의 발달을 가능하게 했던 사회적 분위기와 배경을 알아 봄으로서 그것을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는 있을 것이다.

  • PDF

Horary System of the Early Chosen and the King Sejong′s Striking Clepsydra : (1) Water-Clocks (조선초기의 시제와 세종의 자격루:(1) 물시계)

  • 남문현;한득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697-701
    • /
    • 1996
  • King Sejong's Striking water-clock which brought in use on the first of July in 1434 was mainly composed of timekeeping and time announcing parts signalling twelve double-hours, and five night-watches and night-watch-divisions automatically by means of ball-operating jackworks. The clock was arranged with dual timekeeping system, the one for a full day(twelve double-hours) and the other for five night-watches achieving twelve double-hours and one-hundred interval horary systems. The vessels were arrayed in inflow-type water-clock, a large reservoir on the highest story, a constant-level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measuring vessel evenly in the middle, and the lowest tank to receive water from the above constant-level tank. An indicator-rod on the float was raised upwards depending on the water-level increase to show timing scales and also to release small bronze balls from the ball-rack mechanisms implanted on the measuring vessel to signal timing intervals.

  • PDF

Restoration Model Research and Modern Application of Astronomical Clock, Heum-gyeong-gak-nu in King Sejong Era

  • Kim, Sang Hyuk;Ham, Seon Young;Lee, Yong 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69.2-69.2
    • /
    • 2015
  • 세종시대의 장영실(蔣英實)은 두 가지의 자동 물시계를 제작했다. 이미 잘 알려진 보루각루(報漏閣漏, '자격루'로 불림)는 1434년에 완성되어 국가 표준시계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이어서 만들어진 흠경각루(欽敬閣漏, 1438년 제작)는 세종을 위한 특별한 시계였다. 이 연구는 흠경각(欽敬閣)에 설치한 물시계에 대한 것이다. 당시 흠경각은 세종의 정치적 구상을 위한 장소로 사용됐다. 이는 흠경각루를 이루고 있는 외형 부분인 가산(假山)에 빈풍사시(豳風四時)의 풍경을 그린 점과 의기(倚器)를 설치한 정황에서 알 수 있다. 빈풍사시의 그림은 당시에 유행하던 그림 화법으로 계절에 따른 농사일이 그려져 있어 농사짓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물시계와 함께 작동되는 의기(倚器)는 누수(漏水)에 의해서 그릇에 물이 담겨져 균형을 이루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권력의 모습으로 비유하여 보여주었다. 우리는 흠경각루의 문헌내용을 분석하여 먼저 외형모습, 내부의 구성요소에 대한 것을 연구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확장하여 내부의 작동메커니즘의 기초설계를 실시했다. 흠경각루의 시간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는 물시계, 수차, 천형시스템의 유기적인 운영이다. 물시계의 유량실험을 통해 수압과 유량의 관계를 분석하고, 수차의 회전과 제어를 담당하는 천형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했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자료의 일부를 전통천문학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웹페이지(history.kasi.re.kr)를 한국천문연구원 서버를 통해 구축중에 있다.

  • PDF

ht-Watch Time-Annunciating Systems for the King Sejong's Striking Clepsydra (세종 자격루의 경점보시 시스템의 복원)

  • 남문현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38 no.12
    • /
    • pp.1022-1032
    • /
    • 1989
  • King Sejong's Striking Clepsydra was an elaborate timekeeping and annunciating system incorporating biological automata capable of annunciating hours, intervals and night-watches based on Shou-shih calindrical systems automatically. In this paper the author has studied the original manuscripts on the Striking Clepsydra [Sejong sillock, 65: 1a-3b ff` 16th year, 7th month(1434)] from the technical point of view undertaking a close analysis of this monumental clock and aiming to our modern understanding of the full degree of delicate mechanisms and sophisticated controls built into the night-watch and division announcing clockwork(jackwork). Based on the input/output model, timekeeping, ball-rack, ball-relay, and audible time-indicating mechanisms were synthesized reconstructing night-watch annunciating systems. It revealed that the night-watch and division announcing processes were entirely renewed automatically. Historical and philological data concerning the improvements of the proposed model were discussed.

  • PDF

Automatic Clock and Time Signal System of the Astronomical Agency in East Asia Area (동아시아 천문관서의 자동 시보와 타종장치 시스템의 고찰 - 수운의상대, 자격루, 옥루, 송이영 혼천시계 등을 중심으로 -)

  • Lee, Yong-Sam;Kim, Sang-Hyuk;Jeong, Jang-Hae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6 no.3
    • /
    • pp.355-374
    • /
    • 2009
  • We analysed the old automatic clock and time signal system that was used by the national astronomical agency in East Asian Area. Jagyeongnu is a kind of water clock that was operated by the flowing water in Joseon Dynasty. Seowoongwan managed the water clock so as to keep the standard time system in the dynasty from the 16th year (1434) of King Sejong's reign. In 1438 the Okru that was invented in the period. Such kind of clock system already was used in China, which was Shui $y\ddot{u}n$ i hsiang t'ai (水運儀象壹) in 1092. During the period Joseon Dynasty, China and Japan had been kept the time system that one day is divided into 12 shin (12辰) or 100 gak (刻). However detailed part of the system had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three countries. Though the whole system of water clock in Joseon had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Chinese, it had been gradually developed by own method and idea. In this study we show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standard time keeping system in East Asian history. And then we can inform material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al devises for the purpose of new restoration models about the automatic clock and time system.

조선 간의대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 Kim, Sang-Hyeok;Lee, Yong-Sam;Yang, Hong-Jin;Min, Byeong-Hui;An, Yeong-S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24.2-24.2
    • /
    • 2011
  • 13C이후 동아시아에서는 대규모의 천문관측시설들이 건설되었다. 중국 원대(元代) 북경(北京)에는 사천대(司天臺, 1276)라는 천문대가 축조되었다. 이 천문대 위에는 간의, 앙의, 규표를 비롯한 다양한 천문의기가 사용되었다. 명대(明代)에는 사천대의 자리에 관성대(觀星臺, 1442)가 만들어진다. 이후 관성대는 청대(淸代)에 관상대(觀象臺, 현재 古觀象臺로 불림)로 이름이 변화되었다. 관상대 위에는 청대에 제작한 8종의 천문의기가 남아 있다. 원대 등봉(登封)에도 대규모 천문대인 관성대(觀星臺)가 축조되었다. 현재 등봉에는 관성대와 40척 규표(圭表)가 남아있다. 조선에서는 1433년 간의대(簡儀臺)가 건설되었다. 간위대 위에는 간의(簡儀)와 정방안(正方案)을 설치하였다. 간의대 주변에는 보루각(報漏閣, 자격루 운영)과 흠경각(欽敬閣, 옥루 운영)이 위치해 있고, 다양한 천문관측기기가 설치되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간의대 주변의 천문시설들은 대부분 파괴되었다. 이후 일부 관측기기가 새롭게 복원되었지만 조선 초기의 운영 형태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간의대는 조선 후기까지 천문관측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다. 간의대 위에 놓여진 관측기기에 대한 뚜렷한 언급은 없었지만 천상의 이치를 논하거나 세종의 공덕을 기리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우리는 간의대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중국에 남아있는 천문대 유적을 조사하여 간의대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