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종기지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특집 - 남극 기지 건설 현황 및 전망 - 혹독한 자연환경을 극복한 세종기지, 국내 건설사(史)에 한 획 그어 - (제2남극기지 건설 올 하반기 가시화)

  • Lee, Jong-Su
    • 월간 기계설비
    • /
    • s.234
    • /
    • pp.45-53
    • /
    • 2010
  • 지난 1988년 2월 남극반도 남쉐틀랜드 군도의 킹조지섬과 넬슨섬으로 둘러싸인 맥스웰만 연안에 건설된 남극세종과학기지. 우리나라는 지구상의 유일한 비오염 지역인 극지 연구를 위해 세종기지를 건설하고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다. 세종기지 건설은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이 수행했다. 세종기지는 과학사적 의미와 함께 혹독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 건설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국내 건설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시설물이다. 이제 제2남극대륙기지 건설이 추진 중이다. 현재 건설 후보지 정밀 조사 중으로 정밀조사가 끝나면 건설사 선정 등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제2남극대륙기지 건설에 어떤 건설사 및 설비건설업체가 참여할지 주목된다. 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가 제공한 자료와 건설사 취재 등을 토대로 세종과학기지 건설과정을 살펴보고 제2남극대륙기지 건설계획을 전망해본다.

  • PDF

남극과 우리 '세종기지'

  • Jang, Sun-Ge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6 s.361
    • /
    • pp.32-34
    • /
    • 1999
  • 서울에서 1만7천km 떨어진 남극대륙. 우리나라의 60배가 넘는 이 대륙의 연 평균기온은 영하 23℃로 인간생활에는 부적합하다. 이 곳의 최저기온은 영하 89.6℃이며 연 평균풍속은 22.2m/s이다. 또 이 대륙은 4개월이 낮이나 밤인 곳도 있다. 우리나라는 1978년 남방양에서 시험조업을 했고 1985년 해양소년담 탐험대가 현장을 탐험했으며 1988년 킹조지섬에 세종기지를 세웠다. 세종기지가 준공된 후 해양연구소는 남극의 자연환경과 자원탐사를 계속하고 있다.

  • PDF

나의 장관시절-남극세종과학기지 준공,국제위상 높여보람

  • Park, Geung-Si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3 s.310
    • /
    • pp.32-34
    • /
    • 1995
  • 과기처 탄생때부터 몸담아온 전문관료로 정치적 격변기에 9대 장관으로 취임, 남극기지 건설에 참여하여 88년 세종과학기지를 준공했고 한국과학상을 제정하여 과학기술자들의 긍지를 높였다.

  • PDF

남극 세종기지 부근 해수면 자료분석

  • 서승남;이흥재;강시환;김상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5-9
    • /
    • 1992
  • 세종기지 주변해역의 해수면 자료는 남극 해양환경을 연구하고 환경변화를 예측하는데 필수적이므로 자료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목적으로 기지주변 수심 37.7 미터에 수압식 조위계를 설치하여 1991년 1월 24일 부터 자료를 수신하였으며 1991년 10월 14일 계기 유실전인 9월 30일까지 자료를 분석하였고 92년 1월 3일부터 1월 26일까지의 자료를 정리하였다.(중략)

  • PDF

남극세종기지($62^{\circ}S$, $57^{\circ}W$) 유성 레이더로 관측한 중간권계면에서의 중량파 특성

  • Lee, Chang-Seop;Kim, Yong-Ha;Kim, Jeong-Han;Choe, Jong-Min;Ji, Geon-Hwa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9.3-29.3
    • /
    • 2010
  • 남극세종기지 상공 중간권계면에서의 중량파(gravity wave)를 연구하기 위해 세종기지 유성 레이더로 관측한 유성 에코를 분석하였다. 2007년 이후 유성 에코의 공간적 이동으로부터 유성 관측 고도에서의 수평 바람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해왔다. 80-100 km 고도에서의 바람 프로파일에서 지구 규모의 성분인 평균 바람(Mean wind), 대기 조석 효과(Tides)를 제거하여 국지적인 규모의 중량파에 의한 바람 변화폭(wind variance)을 결정하였다. 월 단위로 평균한 결과로부터 중량파가 계절과 고도에 대한 뚜렷한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남극 지역에서의 중량파는 동서방향의 바람(zonal wind)와 저층 대기의 남극 소용돌이(vortex)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남극 반도에 위치한 Rothera 기지에서의 관측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남극 반도에서 발생하는 중량파가 중간권과 저층 대기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Transport of Microplastic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of the King Sejong Station according to the Wave Effect (파랑 효과에 따른 세종과학기지 방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이송에 관한 연구)

  • Kim, Bo-Kyung;Hwang, Jin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45-245
    • /
    • 2021
  • 해양으로 유출된 5 mm 이하의 크기로 분해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환경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자리잡았다. 최근에는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남극해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남극해에 잔류하는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파랑의 효과를 고려한 남극해의 해수 순환 구조와 미세플라스틱의 고유 특성을 반영한 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공간적 분포에 대한 복합적 이해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남극해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은 과학기지들의 방류수나, 조사선 등과 같은 인위적인 활동으로 인해 집적될 수 있으며, 특히 영구적으로 거주하는 과학기지에서 흘려보내는 방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은 과학기지 주변 해수 오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랑 효과에 따른 남극 킹조지 섬(King George Island)에 위치한 세종과학기지의 방류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이송에 대해 모의하였다. 세종과학기지가 위치한 킹조지 섬과 넬슨 섬(Nelson Island) 사이의 멕스웰 만(Maxwell Bay)의 해수 흐름을 재현하기 위하여 해수 유동 모델(Delft3D-FLOW)이 사용되었다. 또한, 해수 유동 모델에 파랑 모델(Delft3D-WAVE)을 결합하여 파랑의 효과가 미세플라스틱의 이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종과학기지의 방류수가 흘러나가는 마리안 소만(Marian Cove)의 유속장을 바탕으로 이송, 확산, 입자의 침강 속도를 고려하여서, 세종과학기지에서 밀물 시 방출한 입자를 라그랑지안 입자 추적(Lagrangian Particle Tracking) 방법을 이용해 추적하였다. 해수의 밀도보다 가벼운 플라스틱의 경우 해수 표층의 흐름을 따라 소만 내부로 이송되어 해안선에 도달하고, 해수의 밀도보다 무거운 플라스틱의 경우 소만 내부로 이송되나 입자의 침강 속도로 인해 방출 위치 근처에서 집적된다. 파랑의 효과를 고려하게 되면, 고려하기 전보다 두 종류의 미세플라스틱 모두 소만 내부로 더 멀리 이송되는데, 이는 파랑으로 인한 힘(wave-induced force)이 해수 유동 모델의 운동방정식에 추가되며 파랑 에너지 분산으로 인해 해수 흐름에 변화를 준 것으로 보인다.

  • PDF

Radiative Properties of K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with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Climate Change using Radiative Convective Equilibrium Model (대기 복사 모형에 의한 세종기지에서의 복사학적 특징: 복사 대류 평형 모형을 이용한 기후 변화 연구)

  • Lee, Gyu-Tae;Lee, Bang-Yong;Jee, Joon-Bum;Yoon, Young-Jun;Lee, Won-Hak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9 no.1
    • /
    • pp.27-36
    • /
    • 2006
  • The radiative convective equilibrium (RCE) temperature was calculated for the climate change study at K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As a result of RCE model sensitivity test, the increases of surface albedo, solar zenith angle, and cloud optical thickness decrease surface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s of carbon dioxide and cirrus cloud amount are caused by surface warming due to the greenhouse effect. According to the model calculation result, annual mean surface temperature shows a upward trend of 0.012oC/year during the period of 1958-2001. During the period of 1989∼2001, the trend of monthly mean surface temperature by model calculation is 0.01oC/month and the observation trend is 0.005oC/month.

  • PDF

Construc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s on King Sejong Station in Antarctica Using Lightweight Aerial Photogrammetry System (경량 항공사진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수치지형도 제작과 활용에 관한연구)

  • Yun, Bu Yeol;Lee, Jae One;Shon, Ho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D
    • /
    • pp.121-128
    • /
    • 2009
  • The King George Island, where the King Sejong Station is located, represents one of the gateways to the Antarctica from the point of its geographical aspect. It also serves as an advanced pos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tending for Korea's Antarctic research activities. The existence of maps is not only a basic element for the constructing geographic informations supporting these activities, but also an implied way of announcing the sovereignty over the KingSejong Station in global world. However, the precise surveying for the geographic inform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and thus topographical maps as well as geographic information assuring enough accuracy are still missed in this area. This fact had forced Korea to rely on using maps produced by foreig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generate digital topographical maps of 1: 5,000 scale for the constructing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lightweight aerial photogrammetry system first. And further, it will contribute to offer practical base data for the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e Antarctic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glacier retreat and change using this new digital map comparing with existing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