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미드라이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환경 친화적인 세미드라이 선삭가공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Semi-dry Turning)

  • 이종항;오종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88
    • /
    • 1997
  • As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become stricter, new machining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which takes envi ronmenta 1 aspects into account . Since cut t ing oi I has some impact on environment. many researches are being carried out to minimize the use of cutting oi I. The methods for minimizing cutting oil usage includes the following techniques: I ) Cooling of tools and work piece. 2) Useage of compressed cooling air for the removal of chip. 3) Minimal useage of environment-friendly vegetable cutt:ngoiI for lubrication between chip and tools. Since the turning machine is continuous, tools are under constant thermal load and tool wear increases as the lubricative performance degrades. Also surface roughnesses have a direct influence on turning.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urningmachining, this work investigates experimentally the degree of tool wear and characteristics of surface roughness in relation to machining conditions, supply methods, and cooling methods.

  • PDF

환경 친화적인 세미드라이 선삭가공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Semi-dry Turning)

  • 이종항;이상조;이석우;최헌종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221-226
    • /
    • 2002
  • As environmental restriction has continuously become more strict, machining technology has emphasized on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In cutting technology, it has been well recognized that cutting fluids might have undesirable effects on workers health and working environment and, hence, recently there have been numerous attempts to minimize harmful effects of cutting fluids on environments. To minimize the use of cutting fluids in machining, conventional cutting fluids have been replaced with the technologies of pressurized cold air and minimum quantity lubrication (MQL). Compared with milling, turning is continuous cutting process, where tools are continuously heated up and lack of lubricity could lead to tool wear and deteriorated surface roughness. In this work, it has been investigated how tool wear and surface roughness could be affected by cutting conditions, supply and cooling method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QL technology is able to minimize conventional cutting fluids.

공작물 재질에 따른 세미드라이 절삭가공 특성 (Semidry-cut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orkpiece Materials)

  • 이종항;박철우;이석우;최헌종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68-973
    • /
    • 2003
  • As environmental restrictions have continuously become more strict, it has emphasized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In cutting technology, it has been well recognized that cutting fluids might have undesirable effects on worker's health and working environment and, hence, recently there have been numerous attempts to minimize harmful effects of cutting fluids on environments. To minimize the use of cutting fluids in machining, conventional cutting fluids have been replaced with the technologies of pressurized cold air and minimum quantity lubrication(MQL). Compared with milling, turning is a continuous cutting process, where tools are continuously heated up and lack of lubricity could lead to tool wear and deteriorated surface roughness. In this study, it has been investigated how tool wear and surface roughness could be affected by cutting conditions, supply and cooling method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QL technology is able to minimize harmful effects of conventional cutting fluids.

  • PDF

엔드밀 공구를 이용한 밀링가공시 윤활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Lubrication Methods during Milling by Endmill Tool)

  • 정용운;김주현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70
    • /
    • 2003
  • Recently, environmental conscious machining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 modern manufacturing industry. Especially in metal cutting, cutting fluid often results in many environmental problems. Many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problems of the cutting fluid. But most of the technologies need another devices which sometimes require large space and also are very expensive, such as cooling system. In this paper, air compressor is only used to replace the functions of cutting fluid as semi-dry cutting. Cutting forces, cutting moments, and tool wear were measured to obtain cutting characteristics,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ry cutting and non-dry cutting. I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emi-dry cutting was found to show better cutting performances than dry cutting and non-dry cutting.

  • PDF

윈드서핑 수트의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Image of Windsurfing suits)

  • 김정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13-71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yle of the windsurfing suits and to extract main expressional words for the development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of visual ima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yle of windsurfing su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y a period of activity and its functions of windsurfing suits, they were classified into dry suit, wet suit, semi-dry suit and warm water. 2) Windsurfing suits were assorted into 4 kinds of designs: the design #1 on a suit with long sleeves and long pants, the design #2 on a suit with half sleeves and long pants, the design #3 on a suit with half sleeves and half pants, and the design #4 on sleeveless and half pants. 3) Main expressional words of visual images for windsurfing suits differ greatly depending on the design of windsurfing suits. The visual images for the design #1 are ranked in the order of 'sporty', 'looking like arms that are slim', 'looking like thighs that are slim', 'looking slim', 'neatbbb, 'practical', 'difficult to wear'. The visual images for the design #2 are placed in the order of 'sporty', 'dynamic', 'practical', 'cheerful', 'light'. The visual images for the design #3 are ranked in the order of 'sporty', 'dynamic', 'light', 'cheerful', 'masculine', 'practical'. The visual images for the design #4 are placed in the order of 'sporty', 'dynamic', 'simple', 'light', 'uncomfortable', 'easy to wear', 'looking like arms that are fat'.

객원기자칼럼-전력설비전자계 이해증진 노력 적극 펼친다

  • 변우식
    • 전기저널
    • /
    • 통권360호
    • /
    • pp.46-50
    • /
    • 2006
  • “전자계는 커피 정도의 위험도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전자계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이는 전자계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알려진 Repacholi 박사(WHO International EMF Project 위원장)가 지난 17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전자계 안전성에 관한 세미나’에 초청강사로 참석해 밝힌 말이다. 이처럼 일반인들은 전자레인지, 헤어드라이기 등 전자계를 훨씬 더 많이 발생하는 전자제품은 아무런 의심없이 사용하면서도 발생량이 훨씬 적고, 또 인체 유무해성에 대해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은 전력설비 전자계에 대해서만큼은 매우 인색하다. 그런데 Repacholi 박사가 강조하는 것을 보면 이러한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에서만 국한된 문제는 아닌가 보다. 이러한 전자계 민원이 발생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요인 두 가지를 꼽으라면 바로 보상을 위해 전자계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과 홍보의 부족으로 일반인들이 전력설비에서 발생하는 전자계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동원되고 있지만 설상 현실에서는 쉽게 적용되지 못하는 면도 있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전력설비가 꾸준히 건설되고 운영돼야 한다는 점이다. 즉 이는 전자계 민원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찾아야 함을 의미한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전자계 민원 예방 및 해결을 위한 방안과, 향후 함께 고려해봐야 할 방안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봤다.

  • PDF

독일의 포도 재배와 와인산업

  • 방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10
    • /
    • 2012
  • 독일의 와인 생산지는 라인 강과 그의 지류를 따라 대개 서남쪽에 산재해 있다. 독일은 102,000 헥타르(2005년, 전 세계 포도밭의 1.3%)의 포도밭을 가지고 있으며, 매년 약 915만 3천 헥토리터(2005년, 전 세계 생산량의 3.24%)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이는 독일이 포도 재배면적으로는 세계 13번째 국가이며, 와인 생산량으로는 세계 8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독일은 원래 화이트와인의 나라였으나, 레드와인의 생산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급속히 증가하였다. 현재(2011년) 독일 포도밭의 64%가 화이트와인을 위해 경작되고 있으며, 36%가 레드와인을 위해 경작되고 있다. 화이트와인을 위한 주요품종이 리슬링(Riesling, 22%), 레드와인을 위한 주요품종은 쉬페트부르군더(Sp$\ddot{a}$tburgunder, Pinot Noir, 11.5%)로 알려져 있다. 독일은 다양한 형태의 와인을 생산한다. 드라이(dry), 세미스위트(semi-sweet)와 스위트한 화이트와인들(sweet white wines), 로제와인, 레드와인과 발포성 와인인 젝트(Sekt, 독일형 샴페인)이다. 독일 포도밭의 위치가 북쪽이므로, 독일은 유럽의 다른 나라와는 전혀 다른 다수의 훌륭한 품질의 와인을 생산한다. 오늘날 독일의 포도재배는 1세기에서 4세기쯤의 고대 로마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롤루스 대제(Carolus Magnus, 747/748-814)의 시대 전에 독일의 포도재배는 비록 독점적이지는 않았으나 라인의 서부지역에서 주로 경작되었다. 카롤루스 대제는 포도재배를 라인가우에 보급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1787년에 아우스레제(Auslese)로 시작한 수확된 성숙도에 기반을 둔 와인의 후속 분류는 품질보증 고급와인 체계의 초석을 놓았다. 대부분의 현재 독일 와인법은 1971년에 도입되었으며, 그 이후 사용되어온 바와 같이 품질보증 고급와인의 이름이 정의되었다. 독일와인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북쪽인 북위 $50^{\circ}$도 부근에 위치한다. 북쪽의 기후이기 때문에 적합한 포도 품종에 대한 연구가 되어왔으며, 가이젠하임 포도 육종 연구소에서 뮐러-투르가우와 같은 많은 교배종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 지역 및 국제 수요가 높은 품질의 와인을 요구함으로서 리슬링의 재배가 증가해 왔다. 와인은 모두 자주 산맥으로 보호된 주로 라인 강과 그 지류인 강 주변에서 생산된다. 강들은 온도를 조절하는 충분한 미기후 효과를 갖는다. 토양은 태양의 열을 흡수해서 그것을 밤에 보존하는 점판암이다. 독일 와인산업은 다수의 작은 포도밭 소유자로 이루어져 있다. 1989/90년에 서부독일에 76,683개의 크고 작은 기업이 있었으나, 1999년에는 68,598로 줄어들었으며, 2010년도의 조사에 의하면 48,009개의 기업이 조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 자신의 와인을 팔지 않거나 상업화할 수 없는 더 작은 포도 재배자는 여러 가지 선택이 가능하다. 즉 포도를 팔거나, 와인-생산 조합의 기본 와인으로서 그것을 사용하는 와인제조 회사에게 대량으로 와인을 판다. 정말로 좋은 장소에 포도밭을 가진 사람들도 포도밭을 전체적으로 경작하기를 원하는 대량 생산자들에게 빌려주는 선택을 할 수 있다. 2010년에 각각 5ha 이상을 지닌 5,974개의 포도밭 소유자가 독일 전 포도밭 면적의 70.3%를 소유하며, 생업 와인생산자와 기업이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그들 자신의 포도밭을 지닌 진정으로 큰 와인 양조장은 독일에서는 희귀하다. 2007년의 고에 묘 와인가이드(Gault & Millau Weinguide)에 의한 독일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생각되는 10개의 와인 양조장 중에 10개가 10.2-19ha의 포도밭, 하나(Weingut Robert Weil, 산토리 소유)가 75ha의 포도밭을 소유하였다. 이것은 대부분의 높은 순위의 독일 와인 양조장 각각 매년 약 100,000병의 와인을 생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큰 포도밭 소유자는 헤센의 주 와인 양조장(Hessische Staatsweing$\ddot{u}$ter)으로 헤센의 연방주에 의한 소유이며, 200ha의 포도밭을 지니고, 3개의 별도 와인 양조장에서 제조된다. 가장 큰 개인이 소유한 와인 양조장은 팔츠에 있는 85.5ha를 지닌 독토르 뷔르클린-볼프(Weingut Dr. B$\ddot{u}$rklin-Wolf)이다. 2009년도의 독일에서 총 와인 생산량은 910만 헥토리터였으며, 그중에 206만 8천 헥토리터를 수출하였다. 그러나 그해에 총 수입와인 양은 1,266만2천 헥토리터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