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균번식억제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품종을 달리한 고추피클의 숙성기간 중 품질특성 변화

  • 한진희;문혜경;강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06-206
    • /
    • 2003
  • 피클(pickles)은 구미 각국에서 널리 애용되는 침채류이다. 수확한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보관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고, 동양에서는 높은 습도로 인한 곰팡이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소금 절임 방법이 발달되었으며, 건조한 기후의 유럽에서는 세균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식초절임이 발달하였다. 피클이란 채소 또는 과실류를 소금, 식초 또는 여기에 향신료 등을 넣은 것에 절인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주로 오이, 컬리플라워, 양파, 미숙 토마토 등을 원료로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피클의 특징인 아삭아삭함을 유지하면서, 피클의 신맛과 한국 전통식장아찌를 혼용한 염장피클로, 기능적 특성을 가진 허브를 첨가하여 현대인에게 오는 성인병의 예방과 기능성 식품에 부가 가치를 높이고자 하며, 또한 피클 제조를 위한 고추의 품종 선정을 위한 기초 실험을 하고자 함에 있다. 풋고추, 청양고추, 꽈리고추 등 품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고추피클의 숙성기간 중 품질특성을 실험하였다. 염도변화는 모든 품종에서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염도가 낮아졌으며, 숙성이 완료되는 시점인 25일경에는 풋고추 2.95%, 청양고추 2.68%의 염도 변화를 보였다. pH변화는 세 품종간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숙성기간에 따른 차이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분함량은 풋고추와 꽈리고추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청양고추가 다소 높았다. 적정산도의 변화는 세 품종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변화는 꽈리고추가 가장 낮았고, 청양고추가 가장 높았으며, 숙성이 진행될수록 모두 탁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피클의 경도변화는 풋고추는 0일에 45.12g 청양고추는 56.68g, 꽈리 고추 42.12g의 경도를 보였으며, 숙성최종단계인 25일에는 풋고추 20.33g, 청양고추 25.12g, 꽈리고추는 17.81g으로 꽈리고추의 경도가 가장 낮았고, 청양고추는 세 품종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품종 모두 숙성이 진행될수록 경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rowth and Survival on Enrichment of Larvae and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유생과 초기치패의 영양강화제에 따른 성장 및 생존)

  • Kim, Byeong-Hak;Cho, Kee-Chae;Jee, Young-Ju;Byun, Soon-Gyu;Kim, Min-Chul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7 no.4
    • /
    • pp.353-358
    • /
    • 2011
  • This study i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larva and spat when supplied with Enriched live food by adding $B_{12}$, chitosan, PSB, and polysaccharides to microalgae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to raise the survival rate of larva and spat during artificial clam seed production. Microalge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was strengthened for nutrition with $B_{12}$ 0.1 ppm, chitosan 0.2 ppm, PSB 3 ppm and polysaccharides 1 ppm and was daily supplied for $3{\times}10^3-15{\times}10^3Cells/mL$ and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were measured. As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growth of larva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with PSB test section $199{\pm}0.59{\mu}m$, $B_{12}$ test section $198{\pm}0.64{\mu}m$, and chitosan $197{\pm}0.52{\mu}m$, survival rate was highest at PSB test section with 99.3%, followed by $B_{12}$ test section 95.9%, and chitosan 94.5%. Growth of early spat was the highest for PSB test section at $2.74{\pm}0.58mm$, followed by polysaccharides $2.67{\pm}0.55mm$, $B_{12}$ $2.54{\pm}0.48mm$, and chitosan $2.49{\pm}0.51mm$, and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for PSB test group at 32.1%, followed by $B_{12}$ test section 31.6%, chitosan 28.5%, and polysacharrides 21.4%. From such results, PSB is found to be very effective with low-quality improvement when breeding early spat of clams, and especially for floor-type early spat breeding, it had the effect of suppressing protozoan and germs so that detailed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conducted with various chemical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