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계도시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3초

Banco do Brasil - Individual Entity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Digital Relationship Model

  • Mattana, Fabiano;Maldaner, Luis Felipe;Vaccaro, Guilherme Luis Roeche;Mattana, Luciano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8권2호
    • /
    • pp.120-134
    • /
    • 201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stomer'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digital relationship model of Banco do Brasil Exclusive Business Offices situated in Rio Grande do Sul. Banco do Brasil is one of the largest Brazilian and glob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conducted a restructuring customer's relationship model since 2015, creating new specific service structures for certain segments, among them exclusive offices. This research had a qualitative step with an internal documentary analysis about the company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manager's offices, in order to check the strategy and the foundations of business model, as well as identify perceptions and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is new structure. The quantitative step held the findings about customer satisfaction level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offices, through an electronic survey based on the Servqual Scale developed by Parasuraman et al. (1988), which measures the difference between customer's expectations and perception in five dimensions: tangibility, reliability, understanding, safety and empathy. The results shown that Banco do Brasil customers' are satisfied with services offered through the digital model and the new business structure, in which is offered a humanized service together with the best technology. It was found, also, that digital probably would not replace the physical world, but they complement one another. Digital offices and physical agencies will coexist, improving value proposition delivery and better customers experience, satisfy them and build their loyalty.

Exploring Governance Models of Science & Research Parks and Related Organizations

  • Kang, Byung-Joo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3권1호
    • /
    • pp.39-54
    • /
    • 2014
  • Recently, investment to basic science has been increased and infrastruc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expanded in developed countries like U.S.A, UK and Japan to foster high-tech industries. Science and research parks are built and under operation to acquire 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to activate regional economy over the world today. It is argued that more synergy effects are generated when science and research parks are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such as firm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s than it is operated by one organiz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governance model of science and research parks. One comprehensive model and three individual governance mode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relations of industry-science/research park-supporting organization interactions. When governance model of science and research parks is established and properly managed, national development capacity would be greatly enhanced through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y transfer, industrial production rise and enhancement of efficiency in the area of R&D and supporting system etc. One of the key factors in building governance system for science and research parks is establishing a control tower that supervises governance system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The Role of Economic Cluster Perspectives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 Haak, Robert;Vora, Gautam;Walsh, Steven T.;White, Craig G.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3권1호
    • /
    • pp.17-29
    • /
    • 2014
  •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root of exceptional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extolled since the time of Schumpeter. Today emerging technologies are signaling the start of a new economic cycle where regions that are effective in technology translation will gain advantage. The will of policymakers to translate technology into regional job and wealth creation seems to be at an all-time high. Yet an improved process for translating technical development into regional prosperity has proved elusive. If there are no processes other than applying techniques that have worked in the past for other regions to a new region then there is cause for concern. Here the authors seek to add to this field of knowledge by applying elements of the varied cluster theories to provide a basis for policy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turning science and technology into commercial innovation. We provide a review of current cluster theories and discuss the positive and negative issues associated with each. We propose a model that allows interested professionals to utilize aspects of each cluster perspective geared to the realities of their specific area.

SWMM LID 자동 보정 tool 개발 (Development of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

  • 류지철;강현우;최재완;공동수;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9-539
    • /
    • 2012
  • 최근 미국 환경부에서는 국가 환경 정책으로써 LID(Low Impact Development)를 대안 책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LID기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LID란 기존의 집중식 BMP처럼 유출 발생 후 처리를 다루는 방식의 기법이 아닌 발생원 단계에서의 처리에 초점을 맞춘 기법이다. 환경적 측면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LID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SWMM 모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SWMM 모형 내 유량 및 수질에 따른 자동 보정 툴이 존재하지 않고 유역에 적합한 최적의 LID 기법 구조물의 설계 기준을 정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유역의 수문 보정 및 LID 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 모의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MM 5.0 버전 내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을 PARASOL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PARASOL 알고리즘 기반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을 이용하여 경기도 경안천 유역에 적용하였고 2011년 일별 실측 수문자료와 비교 분석 하였으며 경기도 경안천 유역에 맞는 최적의 LID기법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SWMM auto-calibration tool은 SWMM 모형의 유량 및 수질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모형의 보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유역에 적합한 최적의 LID 기법 구조물 설계를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LID 기법을 이용한 도시개발 계획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PARASOL 알고리즘 뿐만이 아닌 GLUE, SUFI-2, GA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추가된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 을 개발 중에 있다.

  • PDF

이슈 & 이슈 - 녹색건축물 효율화 정책 및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63호
    • /
    • pp.50-57
    • /
    • 2012
  • 저탄소 녹색성장은 세계적인 친환경 추이에 발맞추고 소비자들의 인식변화에 부응하는 신성장동력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기업의 경쟁력을 장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수 있다. 녹색성장은 그야말로 기업 성장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것이다. 정부는 향후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건축물을 목표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건축물 에너지 목표관리제 도입,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등이 있다. 내년 2월 23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녹색 건축물 조성 지원법'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법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개선 관련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로써 고효율 설비 등 시설 투자는 물론 에너지 소비를 제어할 수 있는 기계설비의 위상과 역할이 크게 부각될 전망이다. 대한건설협회 및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은 지난 4월 18일 건설회관에서 '건설분야의 녹색정책과 대응방안'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bigtriangleup$저탄소 녹색성장 정책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물 관련법 및 정책 추진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제정에 따른 건설업의 나아갈 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 도시조성을 위한 실천전략 $\bigtriangleup$녹색건축물제도가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 주제발표를 했다. 본지는 '건설분야의 녹색정책과 대응방안'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내용을 바탕으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Rethinking Path Dependency and Regional Innovation - Policy Induced 'Government Dependency': The Case of Daedeok, South Korea

  • Lee, Taek-Ku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2호
    • /
    • pp.92-106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behaviours of high-tech start-up firms in response to the policy interventions undertaken to promote regional innovation in South Korea since 1997. High-tech start-ups and their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re increasingly considered by policy makers and academics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generation of innov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started from a basic concern of why government intervention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an increase of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To explain this concern, we constructed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government dependency' and apply this to 'Daedeok,'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South Korea, to explore the reproduction of path dependency as an impact induced by innovation policy. This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remodeling path dependency approaches through a systemic and interactive lens. An empirical study used qualitative interviews of start-up founders to delineate the emergence of a new development path and the extent to which dependency was reproduced in the Daedeok regional innovation system. Empirical analysis suggested that 'reliance' and 'persistence' were the crucial factors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government dependency. Some firms accepted dependency as reliance, but others regarded it as policy utilization. Thus, a critical juncture could not be clearly identified in actors' behaviour. It was also unclear if dependency had hindered innovation, but it was shown that the region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strongly influenced the reproduction proces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onstruct of government dependency can also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policy learning as well as the success of government interventions.

Two Paths of Korea's Clustering: Centralized De-concentration and Regionalized Concentration

  • Lee, Shi-Chul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2호
    • /
    • pp.129-140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from a broad perspective, the manner in which various types of clusters and op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have evolved in Korea over the past decade, with particular emphasis on who have taken initiative in establishing the clusters. Characterized by not only progress but also setbacks, two distinctive patterns have emerged: centralized de-concentration and regionalized concentration. Both the Korean government and numerous localities have continuously extended efforts to create different clusters, technology parks, special districts, etc. In many cases, local or regional governments have competed intensely for clusters to be located in their jurisdictions; in particular, concerted efforts to convince national governments to set up special districts have been witnessed. On the other hand, major localities have made their own efforts to generate large- and small-scale clustering projects. It remains to be seen how different outcomes or effectiveness these two approaches will make in the future. Following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nd practices, I examine the well-known national campaign and projects in the previous administration in Korea in the context of 'de-concentration' of economic values and resources. Thereafter, other cases initiated mostly by local governments are discussed; some of these clustering efforts and regional projects have fared well thus far, but some haven't. In the case of Daegu, the progress of some critical projects, such as the Daegu Technopolis and a Free Economic Zone, is elaborated.

굴패각과 천연광물질을 이용한 수목여과용 비점오염시설 장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Non-point Pollution Facility for Forest Filtration Using Oyster Shell and Natural Mineral)

  • 김정호;구현우;이영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57
    • /
    • 2018
  • 고도의 산업화에 따라 도시의 성장과 인구의 밀집으로 인하여 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각종 오염원의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서 적절한 수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산업이 다양화됨에 따라 배출되는 하 폐수의 특성도 다양해져 기존의 수질처리장은 효율적인 처리를 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굴 패각은 하수처리의 담체로 이용할 경우 살수여상의 문제점 중 하나로 나타나는 막힘 현상을 다소 감소시킬 수 있고, 다공질체로서 표면적이 불규칙하고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반응기내에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중금속 이온과 유기물에 대한 흡착 효율이 뛰어나 미생물이 쉽게 부착, 성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천연광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어 활용된 역사가 짧지만, 그 특징은 산소결핍보충, 유해원소 흡착 성능, 반도체 작용, 인체 면역력 강화, 바이러스성 질병의 예방, 중금속 해독 등의 다양한 특징으로 환경호르몬 제고, 음이온 원적외선 발생으로 세포의 노화방지, 인체 노폐물 제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매우 유용한 자원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수질정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촌폐기물인 굴 패각과 수질정화에 탁월한 천연 광물질을 혼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성이 높은 다공성 수질개선 담체를 개발하고, 수목여과용 비점오염시설 장치에 적용하여 혼합 담체가 수처리 시설의 담체로서 사용이 가능한지, 수목여과용 비점오염시설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2017년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에서 연구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

  • PDF

북한지역 댐 개발 가능유역에 대한 장기유출 모의를 통한 연간발생전력량 추정 (Estimation of Annual Power Generation by Long-Term Runoff Simulation for Potential Dam Development Site in North Korea)

  • 권민성;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6-196
    • /
    • 2018
  • 북한의 에너지 공급은 석탄과 수력 위주로 구성되어 있지만, 수력이 북한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다. 북한은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북한 수자원 개발 사업에 진출하거나, 통일을 대비하기 위해 댐 개발 가능지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댐 개발이 가능한 북한지역의 33개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활용하여 장기유출 모의를 수행하였다. 북한지역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 획득이 어려운 현실에서 장기유출 모의를 위해 수치표고자료는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에서 제공하는 30 m DEM을 활용하였으며, 기상자료는 북한이 세계기상기구(WMO)에 제공한 자료를 이용하였고, 토지이용 및 토양 자료는 WaterBase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1988년부터 2017년 까지 30년간의 일 유출량을 모의하였으며, 연간발전가능량 계산을 위한 사용수량은 해당 유역의 풍수량을 사용하였으며, 수차효율과 발전기효율의 합성효율은 댐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계획단계의 85%를 적용하였다. 유효낙차와 발전능률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92%와 66%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북한 지역의 개발 가능한 댐의 연간발생전력량은 향후 수자원분야의 북한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발전산업 연계 스마트워터그리드 물순환 시스템의 적용방안 (Application of Smart Water Grid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Power Generation Industry)

  • 장동우;최계운;박효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3-373
    • /
    • 2018
  • 화력발전소, 석유화학공단 등 대규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탄소자원화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자원화 기술은 아직 상용화 단계이지만 최근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로 인하여 탄소자원화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응축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수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응축된 물의 최적 활용과 사용처 지향적 효율적 물순환을 위한 시설 내 스마트 워터 그리드(SWG) 개념의 물분배 시스템은 발전 산업 내에 탄소자원화의 핵심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SWG는 시설 내 용수공급 관리에서의 관망 운영, 물 수요 관리 등 ICT를 활용한 종합적인 물 분배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SWG 물순환 시스템의 국내외 기술조사를 통해 발전 산업 시설 내에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물의 재이용 시스템을 포함한 SWG 기술, 지능형 관망 운영 기법 기술, 실시간 수질 감시 체계 기술 연구를 기반으로, ICT 기반 용수공급 정보 관리 기술과 수운영 모니터링 기술을 통하여 SWG가 발전 산업 연계 기술로써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SWG 시스템을 적용한 산업 인프라를 통하여 산업적 파급 효과를 높이고, 이를 활용한 인력과 비용 절감이 기대되며, 저에너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력과 글로벌 물 시장진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