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계도시지역

Search Result 3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overnance of the Shakespearian Festival of Canada: the Industrial Cluster Approach (캐나다 스트랫포드의 문화산업 클러스터: 셰익스피어 축제를 중심으로)

  • Shin, D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3
    • /
    • pp.263-280
    • /
    • 2007
  • Recently, many cities and regions of the world attempt to promote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in order to vitalize regional economies and strengthen local identity. Some old industrial cities of the advanced economies in particular often introduce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in renovating obsolete urban infra-structure, revitalize urban economy, clean polluted urban environment, and advertise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A small Canadian city, Stratford, Ontario, has shown a spectacular success in such efforts. By hosting Shakespearian festivals every year since 1953, the theatre company, the Shakespearian Festival of Canada in Stratford, sells about 600 thousands tickets, attracting 2 million visitors to the area. With the festivals, the city became able to host a large cultural cluster composed of the theatre company, chef school, summer music festival, and Chicago Associates. The city has also able to maintain one of the most competent theatre companies in the North America.

  • PDF

A Study on the Status and Revitalization of Ocean Education in Busan (부산지역 해양교육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Woo-Lee;Moon, Sung-Bae;Jun, Seung-Hwan;Kim, Tae-Gyun;Choi,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25-126
    • /
    • 2012
  • Busan Metropolitan City is the 3rd Marine City, which has the largest Container port facility and logistic system in the world. However, Busan Citizen's maritime consciousness does not reach that level. This study figures out the problems, and suggests the revitalization of Ocean Education in Busan. This i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reputation as a Marine City Busan, construction the hydrophil culture and propagation of ocean culture.

  • PDF

현장탐방 - (주)성보엔지니어링 경상북도 본청 및 의회청사 기계설비공사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89
    • /
    • pp.64-71
    • /
    • 2014
  • 경상북도는 경상도 개도 700주년인 2014년 완공을 목표로 새로운 도청 청사를 경북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에 건설 중에 있다. 경북도청 이전사업은 지난 1981년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 분리되면서 경북도민의 자긍심을 세우기 위해 신비의 가야문화, 천년의 신라문화, 지조의 유교문화가 융합된 민족문화의 본산지이자 한국의 정신 및 문화수도를 계승하는 한편 새로운 천년을 준비하기 위한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는 지난 2008년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을 도청 이전 예정지로 정하고 기본계획 수립 및 설계 시공을 일괄발주(턴키)하여 2011년 2월 (주)대우건설 컨소시엄[대우건설 지분 50%, 풍림산업, 세원건설(구미), 우석종합건설(경주), 동일건설(문경), 주일건설(경산), (주)진영종합건설(포항) 등 6개 업체의 50% 참여지분]을 실시설계 적격자로 선정, 2011년 10월 첫 삽을 떴다. 경상북도는 오는 2027년까지 경북도청 행정타운을 중심으로 3단계에 걸쳐 주거, 산업, 교육, 레저 및 문화단지 등 10만명의 인구가 거주할 신도시를 건립할 계획이다. 또한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세계문화유산이자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인 안동 하회마을과 가깝고 한국적 우아함을 느낄 수 있는 지역이자 중앙고속도로, 고속국도 및 철도 등이 관통하고 있어 도내 주변도시와의 연계성이 높아서 경북지역의 신성장 거점도시로 성장할 전망이다.

  • PDF

Regional Cooperation by the 1st Asia-Pacific Water Summit and Water Network (아시아.태평양 물정상회의를 통한 지역 협력과 수자원 네트워크)

  • Park, Ji-Se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65-1569
    • /
    • 2008
  • 지난 수십 년 동안,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각국은 수자원 접근성 및 인프라의 확충을 포함한 물관리의 다양한 측면에서 현저히 발전하였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인구 증가 및 경제 성장, 도시화, 기존 수자원의 고갈 등은 아태 지역의 물 수요가 여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원인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적 변화를 고려하여 모든 수자원정책의 입안 및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경제적 성장률은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빈곤 문제는 역시 도시나 농촌을 구분할 것 없이 만성적인 문제로 남아 있으며, 아태 지역 개도국 인구의 16%가 영양실조 상태이며, 2015년까지 그 수를 반감하자는 밀레니엄 개발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 달성은 아직 갈 길이 멀다. 또한 아태 지역은 물 관련 재해에 대해 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이며 그로 인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지체되고 있다. 1960년부터 2006년까지 물 관련 재해로 인한 전 세계 사상자의 80%에 달하는 60만 명의 사상이 아태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8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있었다. 홍수, 가뭄, 쓰나미, 폭풍, 해일 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는 최근 들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급속한 인구 증가로 많은 인구가 범람지대 및 기타 재해 취약 지역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이는 물 인프라 확충을 위한 많은 투자를 요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물포럼의 지역별 추진과정에서 아태 지역은 생태계, 인구, 정치적 제도 및 사회경제적 환경 등 각국의 다양성이 이와 같은 공통된 물문제 해결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요소임에 공감하고 지속적인 수자원 확보와 올바른 수자원관리에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구성을 통해 아태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촉구하기로 하였다. 이에 아시아 태평양 물포럼(Asia-Pacific Water Forum)이라는 새로운 이니셔티브가 구성되었고 물 관련 재원 조달 및 인프라 확보를 통해 국경을 초월하는 협력을 증진하고 재해 관리와 조화로운 수자원 개발과 생태 보호등을 위한 일관된 수자원정책 수립과 프로그램 개발 등을 목표로 설정하여 활동을 시작하였다. 아시아 태평양 물정상회의(이하 아태 물정상회의, Asia-Pacific Water Summit(APWS))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각국의 지도자 및 정책입안자에 밀레니엄 개발목표(MDGs) 달성을 위해 물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부각시키고 실질적인 정책 결정에 기여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제1차 아태 물정상회의가 2007년 12월 3-4일 양일에 걸쳐 일본 벳부에서 개최되었고, 2008년 G8 정상회담이나 2009년 제5차 세계물포럼에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지역 협력을 주도한 가운데 아태 지역 뿐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인류 및 사회 발전을 위한 이정표로 새로운 수자원 네트워크 발돋움의 계기가 되었다.

  • PDF

Spatial Structure Change of Triangle-Cities in Gwangyang Bay Region: From Central Place Structure to Network City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 Lee, Jeong-Roc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1
    • /
    • pp.93-10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Gwangyang Bay Region on the change of urban system and spatial structure between triangle-cities located in Gwangyang Bay, Yeosu City, Suncheon City, and Gwangyang City, one of the famous industrial zones in Korea.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carried out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Gwangyang Bay Region such as construction of the Second Oil Refinery in the mid-1960s, completion of the POSCO Gwangyang Steelworks in the mid-1980s, construction of the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in 1987 and designation of the Gwangyang Bay Area Free Economic Zone in 2003, and EXPO 2012 Yeosu Korea, affected to changes of the urban system and spatial structure between triangle-cities in Gwangyang Bay Region. The above four-development projects transformed the urban and spatial structures between the three cities in the Gwangyang Bay Region from a mononuclear urban system centered on Suncheon to a network city system. Historically, Suncheon has served as an exclusive center in the eastern region of Jeonnam, including the Gwangyang Bay Region. However, the hosting of the 2012 Yeosu Expo Korea is reorganizing the three cities into a network-type spatial structure with the strengthening of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in the region.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intensify in the future.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국토관측센서 기반 수재해 정보 플랫폼 개발현황 및 전망)

  • Yu, Wansik;Park, Gwangha;Lee, Yonghyeon;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3-383
    • /
    • 2020
  • 한반도를 비롯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가뭄과 홍수 등 물관련 재해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정부부처 및 민간에서도 제공 가능한 국가 차원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수재해 대응 및 관리 위하여 현재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이 2014년 7월 1일 출범하여 수행중에 있다.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은 국토관측센서(위성, 레이더, 지상관측자료) 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재해 정보 허브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로 행복한 안심국토 및 물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연구비전 아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기술, 가뭄/하천건천화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홍수재해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빅데이터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자원정보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이라는 4대 연구성과 목표로 X-Net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획득된 자료를 기반으로 수재해 감시·평가·예측 등에 필요한 관련 수문정보를 생성하고 있으며, 생성된 위성영상 및 수문레이더 등의 수문정보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수자원 변동 감시 및 가뭄과 하천 건천화를 효율적으로 평가·예측함으로써 물안보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광역 및 국지 홍수 피해 범위와 규모 등을 평가·산정하고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홍수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광역 및 지역 수문자료와 수재해 관련 분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맞춤형 수재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재해정보플랫폼 및 포털시스템을 개발 글로벌 물 정보 허브로써 기반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이에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에서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는 수재해 정보플랫폼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시스템, 위성기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미계측 지역 수문정보 및 수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형 지표 수문정보 생성 시스템 개발현황 등 그간의 노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resent Conditions of Mental Health Care in Rural Areas: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농촌지역 정신보건관리실태: 보건소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 Lee, Weon-Young;Kim, Dong-M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8 no.2
    • /
    • pp.1-14
    • /
    • 2003
  • Objectives: This paper introduces need and supply level of rural mental health care service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evaluation for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PHCs) in rural areas as the facilities for primary mental health care. Methods: We defined the need as prevalance rate and service utilization rate, for which reviewed the results of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mental disorders using Korean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surveyed on a nationwide scale in 2001. Supply was appraised in terms of psychiatric beds and primary mental heath care facilities such as private psychiatric clinics, facilities for social rehabilitation, PHCs running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For this, we reveiwed a variety of annual reports related mental health publish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evaluate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of PHCs in rural areas, we selected. randomly samples out of the 3rd community health plans including the conten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which submitted by 89 rural counties and 44 cities mixed with rural areas, and used the program's guideline esta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as a standard. Results: Prevalence rates of major psychiatric diseases such as schizophrenia, alcoholism, major depression, anxiety disorder were higher in rural area than in urban area and 8.9% of psychiatric patients in both areas stayed at homes contacted with mental health manpower more than one time during the last year. Psychiatric beds were sufficiently supplied, but urban area had less beds than rural area contrary to general health care service. Psychiatric clinics were supplied very insufficiently in rural areas and PHCs bridged the gap instead. However rural PHCs got less financial support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from higher positioned agencies than urban PHCs. Rural community health programs not supported hardly worked out. Conclusions: Central government should consider a special policy for rural primary mental health care, because private psychiatric clinics can't be introduced in rural areas due to demand-deficiency and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rural counties was very vulnerable.

  • PDF

Observation of Yellow sand using lidar, in Seoul (일부 서울지역에서 라이다를 이용한 황사 현상 관측)

  • 김윤신;정경훈;권성안;박주현;조용성;김현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67-68
    • /
    • 2001
  • 우리 나라가 위치한 동북아 지역은 급속한 산업 및 경제활동 증가로 세계의 주요 오염 지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중위도 편서풍대 위치한 우리 나라는 주로 3월과 4월 황사의 영향을 받고 있다. 사막에서 발생한 모래먼지는 시정을 악화시키며 이들 중 미세한 입자(0.1~10$\mu\textrm{m}$)는 산란과 흡수를 통하여 대기의 복사평형과 기후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lson, 1980; Duce,1980; Shaw,1980). 이러한 현상은 주로 대기 중의 미세 입자의 광산란에 기인되는 것으로 도시 지역의 에어로졸의 분포 및 화학적인 성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Space Renewal Guidelines of Rural Disaster Villages Using Space Syntax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마을 재난대비 공간정비 방안)

  • Lim, Chang-Su;Yu, Yeong-Ji;Lee, Seung-Chul;Oh, Yun-Kyung;Kim, Eun-J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22-125
    • /
    • 2016
  •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풍수해 증가 추세와 금년 잦은 지진발생으로 인해 재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재난대비는 도시지역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농촌마을의 재난대비책을 마련하는 것 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공간구조분석을 통하여 농촌지역 특성을 도출하였고, 농촌지역 특성에 따른 자연재해현황을 조사하여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한 농촌마을 재난대비 공간정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 PDF

Model Development of Coastal Area Inundation due to Sea-level Rising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지역 침수모의기법 개발)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92-292
    • /
    • 2018
  •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한 부산과 울산지역의 침수 및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한 마산창원지역의 침수사례는 우리나라 해안도시유역이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약 1.7 m 상승하였으며, 1961~2003년 사이 해수면 상승률은 연평균 3.1 mm에 이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남해안은 연평균 3.4 mm씩 상승하고 있어 전 세계 해수면 평균 상승속도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전보다 이후 기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수가 많으며 평균적으로 태풍의 강도 및 해일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태풍해일고 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유역의 침수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래 발생 가능한 수퍼태풍에 의한 급격한 해일고의 상승은 해안유역에 침수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피해 특성은 홍수유출에 의한 내륙 침수피해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법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대한 침수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침수모의기법을 개발하고 효율적 대응방안을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부정류 특성을 지닌 해수면 상승 경계조건 및 건물 간 도로를 통해 흐름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지역의 시공적 침수규모 및 유속 등을 예측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발생 기간 동안 관측된 실제 해일고를 적용하여 창원 등 해안도시유역에 범람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침수흔적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해안 경계선을 따라 월파방지벽을 설치하는 경계조건을 도입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해안도시유역 침수규모를 산정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를 분석함으로써 월파방지벽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해안지역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다른 대피경로 제공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