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ffects of Bioturbation of the Amphipod Monocorophium uenoi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lphides and Oxygen within Sulphides-Rich Sediments of Lake Sihwa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단각류)의 생물교란이 시화호 퇴적물 내 황화합물과 산소 농도의 수직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

  • Koo, Bon Joo;Kwon, Kae Kyeong;Shin, Sang-Ho;Je, Jong-Gee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3
    • /
    • pp.79-89
    • /
    • 2006
  • The survival rate and tube number of Monocorophium uenoi, one of the dominant species in Lake Sihwa, was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condition with salinity gradients (1, 5, 10, 15, 20, 25, 30, 35, 40‰). Another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of Monocorophium uenoi in sulphide-rich sediment with oxic overlying water, and the effect of amphipod bioturbation on sulphide and oxygen profiles. The survival rate and tube-forming number of the amphipod were high in salinity range of 20 to 30‰. The amphipod survival rate was also high in sulphidic sediment when the water column was oxic. The amphipod bioturbation affected the oxygen and sulphide content in the sediment; oxygen conditions in the upper sediment layers were improved, and simultaneously the concentrations of sulphide were reduced. And their depth was clearly dependent on amphipod density. In Lake Sihwa, previously anoxic bottoms with sulphidic sediment during summer turn oxic with pycnocline disappearance during autumn. Amphipods seem to have the capability to quickly invade such areas, and their tubing of the sedimen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paring the sediment for further recolonisation of other macrobenthos.

  • PDF

Estimation of Benthos Distribution Using Optic Satellite Data (광학위성자료를 이용한 저서생물 분포 추정)

  • Ryu, Joo-Hyung;Kim, Kye-Lim;Shin, Sang-Ho;Koo, Bon-J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14-317
    • /
    • 2009
  •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다양한 퇴적환경을 공간자료화하거나 표층 생물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졌다. 그러나 갯벌 속에 존재하는 저서생물에 대한 양을 추정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안 근소만에 대하여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DEM과 퇴적상 등의 분포를 공간자료화하고 이들로부터 생물상과 관련이 있는 노출시간 등의 2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현장조사에 의해 얻어진 갯벌 생물 종/개체수와 갯벌의 퇴적환경 공간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갯벌 저서생물의 공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노출시간은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퇴적상 현장조사와 연계하여 우점종을 분석한 결과, 노출시간이 가장 긴 노출시간 I 등급 지역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와, 칠게와 가재붙이가 대표종으로 분석되었다. II 지역의 모래 우세지역에는 쏙이 그리고 펄 우세지역에는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III과 IV 지역은 조하대쪽으로 모래 성분이 전체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펄털콩게와 바지락이 우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