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 중립

Search Result 621, Processing Time 0.205 seconds

Analysis of Potential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hrough Technical Definition and Case Study of Carbon-Neutral Buildings (탄소중립 건물의 기술적 정의와 사례 분석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 잠재성 분석)

  • Min Hee Ch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2
    • /
    • pp.19-28
    • /
    • 2024
  • This study analyzes the potential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hrough the technical definition and case studies of carbon-neutral buildings. In line with the Paris Agreement of December 2015, the global community has committed to limiting the average temperature rise to below 2oC and striving to restrict it to 1.5oC above pre-industrial levels. Achieving this requires reaching a net-zero state by 2050 and necessitates transitions across various sectors including energy, land use, and transport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technological approaches and real-world examples of carbon-neutral buildings, assessing their feasibility and limitations. By examining the definition of carbon-neutral buildings and presenting various technological solutions and case studi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carbon-neutral buildings. The findings offer specific guidelines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carbon-neutral building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aiming to create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Neutral Emotion in terms of EEG (뇌파에 의한 중립 감성의 개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임평규;황민철;임좌상;김혜진;김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56-159
    • /
    • 2002
  • 2차원 감성 모형에서는 중립 감성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지만, 인간이 생활에서 느끼는 감성은 중립 감성이 상당 부분을 자치한다. 따라서 인간의 감성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립 감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5명의 뇌파 출현량을 반복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중립 감성의 개인내 안정성과 개인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theta$파와 $\alpha$파는 개인내 안정성을 반영하였으며, $\delta$파와 $\beta$파는 개인간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CT서비스와 망 중립성

  • Choe, Seong-Ho;An, Ji-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12
    • /
    • pp.24-30
    • /
    • 2010
  • 본 고에서는 스마트폰, 스마트TV를 비롯한 통신서비스의 컨버전스 양상과 여타 과학기술과 IT의 융합현상으로 인한 새로운 산업의 등장 등, 가속적인 ICT의 진화로 말미암아 점차로 불거지고 있는 망 중립성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진화하고 있는 ICT 환경에서 그 동안 정보통신서비스의 혁신적 발전을 견인해왔던 기존의 망 중립성에 대한 개념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을 살펴보고, 향후 소비자들의 망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고, 정보통신서비스는 물론 산업 전반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망 사용에 대한 새로운 원칙의 수립에 대한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본다.

Network Neutrality 현황 및 주요 이슈에 관한 연구

  • Song, Seong-Ho;Baek, Yong-Seon;Kim, Byeong-Ch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3-51
    • /
    • 2007
  • IT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사용자들의 Needs 향상으로 디지털 컨텐츠와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 사용량 역시 늘어나고 있으며, 네트워크 사업자들은 기존 망 사용료 이상의 비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망 중립성이 국내 외에서 중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망 중립성에 대한 개념과 국내외 현황을 분석해 봄으로써, 망 중립성 도입 시 살펴보아야 할 중점 사항과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PDF

해저도시 실증사업 입지선정 및 기후중립성 설계요건 연구

  • 박상욱;이한석;강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94-96
    • /
    • 2021
  • 울산광역시 인근 연근해 해저도시 실증사업 후보지들에 대한 후보시설물의 입지선정 및 설계요건을 확인하고 이들 시설물의 개발, 제작, 시공, 운영, 철거 과정을 포함하는 생애 전주기를 대상으로 하는 기후중립성 설계요건을 제시하였다.

  • PDF

2050 Carbon-neutrality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domestic building sector (2050년 국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연구)

  • Jiwoo Choi;Hakgeun Jeong;Hyu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6-396
    • /
    • 2023
  •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많은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다양한 부문의 배출 절감 계획을 내세웠다. 현재 건물 부문에서는 2050년의 목표배출량을 6.2 백만톤 CO2eq으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적 수단을 검토 중이지만 달성 방안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 부문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가능성을 검토한 통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향후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탄소배출량 산정모델은 연면적 예측 및 사용 에너지의 원단위 환산, 탄소배출계수 등을 고려해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4가지 탄소배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정책 기반 탄소 배출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에 이르지 못하여 더 강화된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제로 에너지화 제도 기반 시나리오는 전체 탄소배출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며, 기존 건물 대상의 그린 리모델링 제도 기반 시나리오에서는 10년 이상 건물에 50% 이상의 높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시행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기화 시나리오에서는 화석연료와 전력의 탄소배출계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에너지 전환 시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건물 부문에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신축 건물의 에너지 자립율 100%, 에너지 전환 계획과 연동한 건물의 전기화, 그리고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효율 개선 기준을 47% 이상 달성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도전적인 온실가스 감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탄소중립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감축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Measurement of Political Polarization in Korean Language Model by Quantitative Indicator (한국어 언어 모델의 정치 편향성 검증 및 정량적 지표 제안)

  • Jeongwook Kim;Gyeongmin Kim;Imatitikua Danielle Aiyanyo;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6-21
    • /
    • 2022
  • 사전학습 말뭉치는 위키백과 문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 커뮤니티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는 언어적 관념 및 사회적 편향된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전학습된 언어 모델과 파인튜닝한 언어 모델은 편향성을 내포한다. 이에 따라 언어 모델의 중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아직까지 언어 인공지능 모델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모델의 정치적 편향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한국어 언어 모델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 위키피디아로 학습된 언어 모델이 가장 정치 중립적인 경향성을 나타내었고, 뉴스 댓글과 소셜 리뷰 데이터로 학습된 언어 모델의 경우 정치 보수적, 그리고 뉴스 기사를 기반으로 학습된 언어 모델에서 정치 진보적인 경향성을 나타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평가 방법의 안정성 검증은 각 언어 모델의 정치적 편향 평가 결과가 일관됨을 입증한다.

  • PDF

Analysis of Regional Implementation Conditions and Industrial Strategies for Carbon Neutrality in China (중국 탄소중립 지역별 이행여건 및 산업전략 분석)

  • Yu-jeong Jeon;Su-han Kim
    • Analyses & Alternatives
    • /
    • v.7 no.2
    • /
    • pp.179-207
    • /
    • 2023
  • Carbon neutral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ractical challeng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s becoming a key industrial strateg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nations. Despite concerns that China, as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G2, may face challenges leading global climate change efforts due to its high-carbon-emitting industrial structure, it is leveraging carbon neutrality to enhance its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Chinese government has formulated national policie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nd detailed sector-specific plans to implement them. In particular, it aims to leverage carbon neutrality industrial strategies as a lever for adjusting the domestic industrial structure and fostering new industries, at the same time responding to international climate norms and external pressur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arbon-neutral industrial strategies is expected to vary based on regional conditions such as economic and industrial levels. This article analyzes the regional conditions for implementing carbon neutrality in China, as well a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industrial policies. Due to differing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 structures, significant variations in carbon emissions, size, emission sources, and efficiency are inevitable across regions. These disparities introduce diverse initial conditions and endogenous factors in pursuing carbon-neutral goals, limiting th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of carbon-neutral industrial strategies favoring certain regions. In particular, the extent of policy autonomy granted to local governments regarding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will influence the regional dynamics of central-loc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nsequently, it is crucial to emphasize regional monitoring alongside comprehensive national research to accurately navigate the path towards carbon neutrality in China. In summary, the articl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regional varia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industrial structure, and policy autonomy for successful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in China. It highlights the need for regional monitoring and comprehensive national research to determine a more precise direction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 Study on the Validity of Net Neutrality Regulation in Respect of Zero-Rating (제로레이팅에 대한 망 중립성 규제의 정당성 연구)

  • Cho, Dae-Keun;Song, In-Ku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8 no.5
    • /
    • pp.133-141
    • /
    • 2017
  • Recently, the regulation issues for the zero-rating began to be proliferated. The corresponding regulators in charge of Internet services of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illustrated the various spectrums, rather than the similar policy line. In contrast, the oversee regulators not only recognized that zero-rating might be somethings to do with the net neutrality regulation, and but also actively debated regarding the validity for the regulation. However, any domestic study examining the issue has not endeavored y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validity of net neutrality regulation of zero-rating. Specifically, the study provided the features of zero-rating, the relationship with this new regulation and traditional regulations, and the various arguments and policies in major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utilized as a reference in planning the regulation and countermeasure, from the corresponding policy makers and business oper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