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평등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생의 성의식, 성평등 의식과 성희롱 인식 수준 (Sexual Consciousness, Gender Egalitarianism and Awareness Levels of Sexual Harassment among College Students)

  • 정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79-4688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의식 및 성평등 의식과 성희롱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위해 시도하였다. 2015년 4월 23일부터 4월30일까지 전남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4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성의식은 평균 $3.00{\pm}0.29$점, 성평등 의식은 평균 $1.97{\pm}0.39$점, 성희롱 인식 수준은 평균 $4.09{\pm}0.54$점으로 나타났다. 성희롱인식수준은 성별, 전공, 주거형태 및 성평등 의식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성의식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성희롱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전공, 주거형태, 성의식, 성평등 의식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대학생들의 성희롱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별, 전공, 주거형태. 성의식, 성평등 의식 차이에 따라 세분화하여 올바른 성의식과 건전한 성평등 의식을 확립하고 건전한 대학문화 확립을 위한 성희롱의 예방대책과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화로 하는 융복합 양성평등교육 효율성 연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gender equality education with film -Focused on Elementary-)

  • 김덕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249-254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양성평등교육 수업에서 영화의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천안성환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영화로 하는 양성평등교육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처음과 마지막 수업에 같은 설문지를 갖고 학생들의 양성평등 의식변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영화를 이용한 양성평등교육이 초등학생들에게 매우 효과적임을 타나내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다음의 내용들을 나누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영화를 통한 양성평등교육의 교수법을 제시할 것이며, 둘째, 영화를 이용한 양성평등교육 수업을 실제로 초등학교에서 실행하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셋째, 양성평등교육 수업의 효율성이 입증되도록 영화를 사용하는 양성평등 교육과정 교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평등을 위한 수학 교수법: 저소득층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대한 다양성 수용 수업의 효과와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 분석 (Teaching mathematics for equity: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diversity-inclusive instru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with a low economic status)

  • 조승아;주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71-86
    • /
    • 2023
  • 팬데믹 이후 '평등'이 사회적 화두로 다시금 제기되면서 교육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육평등 실행 방안의 탐색을 위해 PISA2012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성 수용수업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양성 수용 수업은 저소득층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다양성 수용 수업이 교사-학생 관계를 매개로 하여 저소득층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학생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교사가 학생과 지속적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며 학생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교수법이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적 취약성을 보완하여 수학성취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성 수용 수업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다양한 취약 집단 학생의 수학성취도 분석으로 확장함으로써 다양성 수용 수업이 교육 평등 실행 방안으로서 갖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교육평등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중 사용자 MIMO 전송을 위한 섹터 간 협력적 스케쥴링 방식 (Collaborative Inter-Sector Scheduling Methods for Multi-User MIMO Transmission)

  • 이지원;성원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71-472
    • /
    • 2009
  • 여러 개의 섹터에 존재하는 안테나들로부터 협력적으로 신호를 전송 받는 다수의 사용자를 시간축에서 선택하는 스케쥴러의 성능을 시스템 전체 성능과 평등성 지표의 관점에서 개선하기 위하여 섹터 간의 협력을 고려할 수 있다. 기존 스케쥴러는 단일 셀에서의 사용자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평등성 지표의 향상만을 고려하였으나 제안하는 섹터 간 협력 비례적 평등 스케쥴러는 동시 전송 사용자들 간의 채널의 직교성을 고려함으로써 시스템 전체 성능과 하위 사용자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총 3 개의 인접한 섹터로 이루어진 분산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스케쥴러를 적용하고 그 성능을 분석한다. 섹터 간 협력 비례적 평등 스케쥴러는 각 섹터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채널 직교성을 활용하는 동시에 채널 변화 속도가 빨라짐에 따른 다이버시티 효과를 이용하여 시스템 전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이 방식은 하위 사용자 성능이 우수한 수정된 협력 최대-최소 평등 스케쥴러의 하위 사용자 성능의 최고 99%의 성능을 달성한다.

성 주류화 전략의 관점에서 바라본 성평등 영화정책 (Gender Equality Film Policy with the Perspective of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 김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88-299
    • /
    • 2020
  • 성 주류화 전략은 1995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4차 UN 세계여성회의에서 공식화되었으며 빠르게 지구적으로 확산된 새로운 성평등 전략이다. 한국영화산업은 핵심창작인력인 감독, 작가, 프로듀서의 남녀 성비가 매우 불균형하다. 스태프도 여성직군과 남성직군으로 나뉘어 있으며 남녀 임금 격차도 나타난다. 한국영화산업에서 성평등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의제설정과 핵심성과지표가 수반되는 성 주류화 전략의 수용이 필요하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 OECD 국가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Family Policies, and Gender Equality on Fertility Rate : Focused on OECD Countries)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2호
    • /
    • pp.41-5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가족정책변수, 양성평등가치변수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19년까지 30년 간 OECD회원국의 출산율 자료와 UNDP 자료, World Value Survey 자료를 시계열로 결합한 패널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1단계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통제변수를 투입하였고, 가족정책변수, 양성 평등가치변수 순으로 변수를 추가하면서 각 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첫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각 모형에서 출산율에 양의 영향을 보였다. 즉,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로 인해 출산율이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족정책변수인 부성 출산휴가기간이 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모성 출산휴가기간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상반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양성평등가치변수인 성불평등지수가 높은 국가에서 출산율이 높았다. 또한 성평등 가치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출산율이 낮았으며, 성평등 가치관을 3개 하위지표로 분리하여 분석했을 때 대학교육의 중요성에 양성 평등한 가치를 보일수록 출산율이 낮았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는 경제활동이 저출산의 원인이 아니며, 경제활동참여와 출산율이 동시에 상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남녀의 출산휴가와 같은 정책적 지원, 그리고 남녀의 성평등 가치가 출산율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출산율은 가족의 시간, 소득 등 자원에 대한 배분과 관리, 자녀양육분담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이나 이를 지원하는 가족정책과 성평등 가치가 통용되는 사회적 기반 위에서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공무원 양성평등의식 교육의 경험 및 태도 조사 - 대전시공무원을 대상으로 - (Research on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 the Gender Egalitarianism Education of Public Service Workers in Daejeon City)

  • 이갑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42-351
    • /
    • 2010
  •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은 태도와 행동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정책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므로 그들이 자신의 업무를 성 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획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무 능력이 함양되도록 양성평등의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전시 공무원(남성 699명, 여성 4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양성평등의식 교육의 경험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양성평등의식 교육의 바람직한 변화를 유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 양성평등의식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남성이 여성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양성평등의식 교육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교육 참여의 동기부여 및 법제화와 함께 성, 연령, 직급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제지표로 살펴 본 성평등지수 (A Study and Review of Gender Inequality Index)

  • 성문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3-49
    • /
    • 2016
  • 본 논문은 다양한 국제지수로 우리나라의 성평등 현주소를 살펴본다. 성평등지수의 장점은 이 지표들을 활용하여 성평등을 위한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국제비교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대표적으로 UNDP에서 개발한 GDI, GEM, GII와 WEF에서 개발한 GGI가 있다. 네 가지 지수들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성평등지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각 지수의 내용과 측정지표들을 소개하고, 각 지수에 따른 우리나라 순위를 살펴본다. 이 지표를 기준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GDI는 상위권, GII는 중상위권, GEM GGI는 최하위권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제지수 순위를 통해 우리나라의 경우 포괄적이고 실제적인 성평등을 이루기 위해서 정치참여와 경제영역에서 성평등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의 양성 평등 의식 고양과 집안일 참여를 돕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 (The Application of a Practical Problem - Based Lesson Plan for the "Understanding Myself and MY Family" Unit to Heighten Awareness of Gender - role Equity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 김은숙;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7-94
    • /
    • 2010
  • 본 연구는 기술 가정 교과의 2007년 교육과정의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과 또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이해' 단원과 중학교 2학년 '가족의 이해'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성역할과 양성평등'에 대한 실천 문제 중심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수업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5차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양생평등 의식 함양과 관련하여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로 1, 2, 3차시를, '양성평등 의식 실천을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로 4, 5차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 남녀합반의 4개 학급, 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적용 기간은 2009년 9월 14일~9월 30일까지 3주 동안이며, 수업 적용 전에 사전 설문을 하고 개발한 양성평등 수업을 적용한 후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성역할과 양성평등' 단원의 하위 요소인 개인의 성역할 발달과 진로 직업역할과 양성평등, 우리 사회와 양성평등. 가족역할과 양성평등, 양성평등 실천 전략 세우기라는 주제로 나누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학습자의 양성평등 의식에 대한 고양을 가져오는지와 집안일 참여도의 효과에 대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성역할과 양성평등' 단원을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 적용 결과 양성성 집단이 증가하고 학습자들의 양성평등적 의식 변화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집안일 참여도라는 학습자의 실천적 행동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실천적 문제 중심의 교수 학습 과정안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와 참여, 이해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높았다. 앞으로 학년과 단원을 넓혀서 양성평등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지속성을 검증할 것과 양성평등 실천과 관련된 척도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대학생의 성매매 여성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Prostitutes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선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48호
    • /
    • pp.207-233
    • /
    • 2016
  • 본 연구는 성매매 방지법을 집행함에 있어서 주된 방해요인 중의 하나로 제기되고 있는 성매매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향후 사회를 이끌어나갈 대학생들의 성매매 여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나이, 성별, 학년, 전공, 종교, 종교적 신념, 가정형편, 공감능력, 성 평등 의식, 음란물 시청 횟수, 성매매 경험 여부, 성매매 성폭력 인권교육 여부 등이 영향요인으로 조사되었다. 50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결과 성별, 사회복지 및 신학전공, 가정형편, 공감능력, 성평등 의식이 성매매 여성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성평등 의식이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즉 남학생, 사회복지 및 신학 전공자, 가정의 경제적 지위가 낮은 응답자, 공감능력과 성평등 의식이 높은 응답자가 성매매 여성에 대해 긍정적/지지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성매매 여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공감능력과 성평등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양과목의 개발과 포괄적인 인성교육의 실시, 효과적인 성매매 성폭력 예방교육의 개발 등이 정책제언으로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