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층효과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Numerical Analysis of Surface Thermal Jets by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3차원(次元) 수치모형(數値模型)에 의한 표면온배수(表面溫排水) 확산(擴散)의 수치해석(數値解析))

  • Jung, Tae Sung;Lee, Kil Se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6
    • /
    • pp.1385-1394
    • /
    • 1994
  •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of surface buoyant jets with variable density was established. The model uses fully nonlinear, time-dependent, three-dimensional, ${\sigma}$-transformed equations of motion and equation of heat transport. A semi-implicit numerical scheme in time has been adopted for computational efficiency. The model was applied for thermal jets discharging into a stagnant water and the simula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a hydraulic experimental data set showing good agreement. Comparative studies of exchange coefficients and stability functions indicated that spatial variation of exchange coeffici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existing stability functions should be modified to simulate surface buoyant jets accurately.

  • PDF

Co-sputtering법으로 제작된 화합물 반도체 박막형 태양전지에서 $CuInSe_2$(CIS) 광흡수층의 열처리 효과

  • Kim, Hae-Jin;Lee, Hye-Ji;Son, Seon-Yeong;Park, Seung-Hwan;Kim, Hwa-Min;Hong, J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69-269
    • /
    • 2010
  • 현재 화석연료의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 수급의 불균형, 자연환경의 파괴로 인해 대체에너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 결정형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교해 화합물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박막형 태양전지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면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반영구적인 수명 및 값싼 기판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Co-sputtering법으로 제작된 $CuInSe_2$(CIS)를 광활성층으로 한 박막형 태양전지에서 실온 ${\sim}550^{\circ}C$의 다양한 온도에서 후열 처리된 CIS 박막들의 전기적, 구조적, 광학적인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박막들 가운데 Hall Effect 측정결과 $550^{\circ}C$에서 후열 처리된 박막이 가장 높은 1.227E+22(/$cm^3$)의 캐리어 농도와 1.581(cm/$V{\cdot}s$)의 홀 이동도를 가지며, 3.092E-4(${\Omega}{\cdot}cm$)의 가장 낮은 비저항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EFM 측정결과 열처리 하지 않은 박막에 비해 후열처리된 CIS 박막의 전도성이 전체적으로 높아졌다. 특히, $550^{\circ}C$에서 후열 처리된 박막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전기 전도성이 높은 결정립들이 골고루 분포하며 가장 높은 표면 포텐셜 에너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막들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EM과 XRD를 측정한 결과, $350^{\circ}C$에서 후열 처리된 박막들은 열처리 되지 않은 박막과 비교해 표면형상 변화가 일어났으며, $550^{\circ}C$에서 후열 처리된 CIS 박막들은 $CuInSe_2$(112) 방향이 향상된 chalcopyrite-like 구조를 가지면서 박막 밀도가 높고 결정립의 크기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박막 성장시 기판온도의 상승으로 CIS 박막 내에서 셀레늄의 확산과 상호작용으로 3원 화합물이 재결정화되어 구조적인 특성향상에 기여하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CIS 광활성층에서 후열 처리의 효과들 뿐만아니라 박막 증착시 co-sputtering법을 이용함으로써 증착시간의 감소 및 대면적화와 대량생산으로도 적용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eteorological effects on high-ozone phenomena in June and modeling of ozone episode (서울지역 6월 고농도 오존 현상의 기상효과와 사레일 모델링)

  • 오인보;김유근;황미경;김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41-142
    • /
    • 2003
  • 서울지역의 고농도 오존 현상은 초여름인 6월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오존 생성에 적절한 기상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강한 일사량과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빈도가 주된 원인임을 기존 여러 연구에서 밝히고 있다. 하지만 6월 고농도 현상의 보다 정확한 원인 해석을 위해서는 오존의 수송 및 도시 내 축적과정과 관련된 기상효과의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종관장 패턴과 국지기상의 상호 유기적인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가능하다. 또한 6월 고농도 현상은 봄철 성층권/상부대류권 오존의 연직수송과 관련한 특정 고농도 사례와는 달리 빈도 높은 서울의 전형적인 오존오염 형태로 볼 수 있으며, 6월 고농도 사례일의 오존 모델링을 통해 이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TMR 시료의 fabrication 전 후의 열처리 효과

  • Jun, K-I;Lee, J. H.;Shin, Kyung-Ho;Park, S. Y.;K. Rhie;J. R. Rhee;I. W. Jang;Lee, K. N.;Kim, C. S.
    • Proceedings of the Korean Magnestics Society Conference
    • /
    • 2002.12a
    • /
    • pp.158-159
    • /
    • 2002
  • 스핀 밸브에서는 NiFe, CoFe, Cu등 주요 금속들이 면심입방체(111)로 배향이 용이하지만, 자기 터널 접합 소자에서는 $Al_2$O$_3$ 장벽층이 비정질로서 상부 강자성 전극이 충분히 (111) 배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top bias 방식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며, bottom bias의 경우에도 교환 바이어스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다[1].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 초격자를 이용한 인공 반강자성층(synthetic antiferromagnet - SAF)을 이용하여 높은 교환 바이어스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P3HT 나노구조층을 가진 유기태양전지의 전력 변환 효율 향상 메카니즘

  • Eom, Dae-Seong;Kim, Dae-Hu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446-446
    • /
    • 2013
  • 유기태양전지는 가벼운 무게와 우수한 유연성을 가져 플렉서블 태양전지 및 롤투롤(Roll-to-roll) 인쇄 공정에 대한 적용 가능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종접합 유기태양전지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낮은 전력 변환 효율 (PCE)을 증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용액공정을 통해 poly (3-hexylthiophene) (P3HT) 나노구조층을 사용하여 indium-tin-oxide 양극 전극/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정공수송층/P3HT 나노구조층/P3HT 복합체로 제작한 나노구조층/C60 전자수송층 /lithium quinolate 전자주입층/Al 음극 전극 구조의 유기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전류밀도-전압 곡선 결과는 P3HT 복합체 이용한 나노구조층를 가진 유기태양전지의 구조는 평면층을 가진 유기태양전지에 비해서 PCE가 향상됨이 관찰되었다. 유기태양전지는 짧은 엑시톤의 확산거리가 PCE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된다. P3HT 복합체를 사용한 나노구조층을 가지는 유기태양전지는 광활성층과 전자수송층 사이의 계면이 넓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계면이 넓어지는 효과를 통해 생성된 엑시톤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양의 전하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하의 양이 증가되고 더 높은 전류를 생성하여 PCE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Direct Vessel Injection Design With Pressurized Thermal Shock Analysis (가압 열충격해석에 의한 직접용기주입 설계의 평가)

  • Cha, Jong-Hee;Jun, Hyung-Gi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4 no.1
    • /
    • pp.86-9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direct vessel injection design from a pressurized thermal shock(PTS) viewpoint for the Combustion Engineering System 80+ A break of the main steam line from zero power and a 0.05 ft$^2$small break loss-of-coolant accident (LOCA) from full power were selected as the potential PTS ev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atification effects in the reactor downcomer region, the fluid mixing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MIX-IB code for steam line break and using the REMIX code for 0.05 ft$^2$small break LOCA. The stress distributions within the reactor vessel walls experiencing the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transients were calculated using the OCA-P code for both ev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 small break LOCA without decay heat presented the greatest challenge to the vessel, however, there is no crack initiation through end-of-life of the vessel with consideration of decay heat.

  • PDF

Speciation of Phosphorus Dependent upon pH and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in Overlying Water and Sediment (pH와 산화환원전위에 따른 상등수-퇴적물에서의 인 형태 변화)

  • Jung, Woo-Hyeok;Kim, Geon-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5
    • /
    • pp.472-479
    • /
    • 2006
  • In this research, speciation of phosphorus in sediment and overlying water dependent upon pH and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was studied. Three possible conditions were simulated: open system with circulation, closed system with stratification and closed system with sand capping on the sediment. Phosphorus release rate from sediment was increased for both open system and closed system if pH was less than 6.0. Phosphorus concentration for closed system was increased from 0.9 mg/L to 0.51 mg/L, and stabilized at 0.34 mg/L if anaerobic conditions were maintained in the overlying water. When sand capping was implemented, phosphorus concentrations of overlying water were maintained less than those of closed system.

Flow Propagtion Characteristics from Weir Discharge Conditions by Applying 2-D Hydraulic Model (2차원 모형 이용한 보 방류조건에 따른 흐름전달특성)

  • Kim, Hyeon Il;Han, Kun Yeun;Lee, Jae Yeong;Kim, Beom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7-477
    • /
    • 2017
  • 국내 4대강사업 이후의 하천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보 구간 별 도달시간 재산정이 필요하며, 더욱이 다기능 보의 영향을 고려한 도달시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4대강사업 이후 설치된 다기능 보의 기존 방류를 이용한 보 운영은 관리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유입된 수량만을 방류시켜 수온차가 있는 성층파괴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펄스 방류는 수질개선을 위하여 제시된 인위적 반복적 방법으로 하천의 유량 및 유속을 증대시켜 하천 상 하층을 혼합하여 성층을 파괴함으로써 조류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 하천에 적용하기에 앞서 보 방류조건에 따른 흐름전달특성의 분석과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대강사업 이후의 하도에 대한 지형자료와 상세한 보주변의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수리학적 모형을 위한 하도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보 운영을 고려하여 2차원 수리해석을 실시하였다. 보 방류조건에 따른 흐름전달특성 분석에 앞서 각 보 구간별 거리를 산정하였다. 또한 일정 방류 시나리오 유량조건을 이용하여 각 보 구간별 도달시간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도달시간은 HEC-RAS를 통해 모의된 계산결과와 비교 및 한국수문조사연보 유량편의 평균유속과의 비교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펄스 방류에 따른 흐름의 전달특성을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와 보 하류 주요지점에서의 수위 관측결과를 2차원 수리모형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2차원 수리모형 내에서 입자를 적용하여 입자추적을 통한 보 하류부의 흐름전달 양상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량 규모 및 등급별 방류량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간편 도달시간을 제안 및 산정하여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사용가능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하천 유지 및 관리에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펄스 방류에 따른 흐름의 전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방류량에 따른 흐름특성을 이해하고 후에 수질개선 효과 분석 및 다양한 방류시나리오에 따른 보의 운영 지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ariation of Inflow Density Currents with Different Flood Magnitude in Daecheong Reservoir (홍수 규모별 대청호에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특성 변화)

  • Yoon, Sung-Wan;Chung, Se-Woong;Choi, Jung-K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219-1230
    • /
    • 2008
  • Stream inflows induced by flood runoffs have a higher density than the ambient reservoir water because of a lower water temperature and elevated suspended sediment(SS) concentration. As the propagation of density currents that formed by density difference between inflow and ambient water affects reservoir water quality and ecosystem, an understanding of reservoir density current is essential for an optimization of filed monitoring, analysis and forecast of SS and nutrient transport, and their proper management and control. This study was aimed to qua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flow density current including plunge depth($d_p$) and distance($X_p$), separation depth($d_s$), interflow thickness($h_i$), arrival time to dam($t_a$), reduction ratio(${\beta}$) of SS contained stream inflow for different flood magnitude in Daecheong Reservoir with a validated two-dimensional(2D) numerical model. 10 different flood scenarios corresponding to inflow densimetric Froude number($Fr_i$) range from 0.920 to 9.205 were set up based on the hydrograph obtained from June 13 to July 3, 2004. A fully developed stratification condition was assumed as an initial water temperature profile. Higher $Fr_i$(inertia-to-buoyancy ratio) resulted in a greater $d_p,\;X_p,\;d_s,\;h_i$, and faster propagation of interflow, while the effect of reservoir geometry on these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The Hebbert equation that estimates $d_p$ assuming steady-state flow condition with triangular cross section substantially over-estimated the $d_p$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spatial variation of reservoir geometry and water surface changes during flood events. The ${\beta}$ values between inflow and dam sites were decreased as $Fr_i$ increased, but reversed after $Fr_i$>9.0 because of turbulent mixing effect. The results provides a practical and effective prediction measures for reservoir operators to first capture the behavior of turbidity inflow.

Wind and Bathymetry Effects on the Fresh Water Plume Structures (담수 확산에 미치는 바람과 해저 지형의 영향)

  • Lee, Jungwoo;Yun, Sang-Leen;Oh, Hye-C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0
    • /
    • pp.698-703
    • /
    • 2014
  • The structures of fresh water plume depending on estuarine geometries and wind directions (upwelling, onshore, downwelling, and offshore winds) were studied using the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ROMS). Four idealized estuaries, which are different in bathymetry, we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sh water plume was restricted close to the shore line where a river was connected to the sloping shelf rather than the flat shelf due to the fast momentum exchanges from x, y to z momentums on the sloping shelf. Mild upwelling and offshore winds (${\mid}{\tau}_{\omega}{\mid}=0.01Pa$) enhanced stratification on the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that winds destroyed stratification by enhanced vertical mixing. However, downwelling and onshore winds had similar effects on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fresh water plume as in previous studies enhancing vertical mixing. The plume was confined above the underneath submarine channel, thus the plume path was directly affected by the direction of the submarine channel on the sh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