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인간호학

Search Result 1,43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Meaning of Death Seen by Nursing Students through Collage Art Works (간호학생이 꼴라쥬(Collage) 작품으로 구성한 죽음의 의미)

  • Kim, Yeong-Kyeong;Jo, Kae-Hwa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7 no.5
    • /
    • pp.844-854
    • /
    • 2005
  • Purpos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seen by nursing students through collage art works. Metho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were used. The text were collage and related essays written by 42 senior nursing students about the impressions on death through collage art works. Result: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eventeen themes. The three categories include "definitions of death", "feelings about the death", and "attitudes about the death and the dying patients". Conclusion: It is shown that participants recognize their position as nursing student, although they may not escape the fear of death, will learn to deal with death, and the dying in a suitably professional manner. In this respect, the study is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the students in learn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are needed for hospice nursing care more effectively.

  • PDF

The Influencing Factors associated Cultural Awareness of Immigrants for Marriage, Foreign Workers in Korea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인식 영향요인)

  • Kim, Kyung Sook;Yu, Mi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4 no.5
    • /
    • pp.531-539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associated to students nurses' cultural awareness toward immigrants for marriage and foreign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7 nursing students in C city in Chu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cultural awareness was 3.67. The degree of cultural awaren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experience related multiculture and age. The variables predicting cultural awareness were social distance of foreign workers, emotions of immigrants for marriage and age.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6% of the variance of cultural awareness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education related multiculture should be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to reduce the social distance between students and foreign workers and enhance positive emotions for immigrants.

Factors Influencing on Mental Health of Adults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정신건강 영향요인)

  • Gang, Moonhee;Kim, Sun 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 /
    • v.28 no.2
    • /
    • pp.156-164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the mental health in bereaved adults. Methods: A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160 adults who had experienced bereave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 26.0. Results: The participants' mental healt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licated grief (r=.31,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rief and meaning reconstruction (r=-.30, p<.001). Sex, sleeping time, intimacy with the deceased, grief reaction, and grief and meaning reconstruc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mental health.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1.8%.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ersistent and impairing grief after experiencing bereavement. Our study findings will be fundamental evidence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adult mental health dealing with bereavement and grief.

산업간호교육에 관한 실태조사 - 기본 간호교육을 중심으로 -

  • Kim, Hwa-Jung;Jeon, Gyeong-Ja;Go, Bong-Ry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
    • /
    • pp.5-16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간호사의 역할 확대에 따른 교육과정의 개선 및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기본간호교육과정에서의 산업 간호교육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기본간호교육과정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둘째,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을 파악하였고, 세째, 산업 간호교육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1991년 2월 18일 부터 2월 25일까지 기존 문헌을 토대로 기본 간호교육과정의 일반적 특성과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을 파악하였고, 산업 간호교육 실태에 대해서는 2월 26일부터 3월 15일까지 전국에 있는 간호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작성된 조사표에 의해 전화 또는 서신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대상 산업간호교육 실태조사의 대상은 조사에 응답한 간호교육기관 41개교로서 '90년 현재 전국 간호교육기관의 66.1%를 차지하는 것이다. 교육과정별로는 간호대학 14개교 전문대학 27개교였고, 지역별 분포에 있어서는 대학과정 중 6개교(42.9%)가 서울에 있으며 전문대학의 경우 전남 6개교(22.2%), 경북 5개교(18.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교육과정의 특성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과목 분포 및 주전공 교과목의 내용을 파악하였다. 대학과정의 경우 평균 141.3학점, 전문대학의 경우 평균 120학점이 필수 이수 학점인 것으로 나타났고, 두 경우 모두 전공교육에 관한 학점이 총 이수학점 중 대학 55.5%, 전문대 57.2%를 차지하였다. 주전공 교과목 중에서는 성인간호학 및 실습, 기초간호과학 및 실험, 모아간호 및 실습, 지역사회간호학 및 실습, 정신간호 및 실습의 배당 학점이 특히 많았다. 3) 지역사회간호학의 학습내용 산업간호 교육의 기본 개념틀올 제시하고 있는 지역사회간호학은 체계이론과 Stevens의 간호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는데 이 모형에 따르면 산업간호는 지역사회간호 문제의 하나로 다뤄지고 있다. 4) 산업간호 교육 실태 조사 대상 학교 모두 산업간호에 관한 내용을 강의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6개 학교에서는 실습도 병행된 바 있다. 강의는 주로 전문대의 경우 3학년(22개교), 2학년(5개교)에서, 대학의 경우 모두 4학년에서 이루어졌다. 산업간호 강의의 편성형태는 36개교(87.8%)가 지역사회간호의 일부로 다루고 있었으며, 강의시간수는 5~9시간이 19개교(47.5%)로 가장 많았다. 강의시간에 주로 사용되는 교재로는 교수가 직접 작성한 참고자료나 보건학강좌, 산업보건학 등이 사용되었다. 강의내용 또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전문대학의 경우가 더욱 다양했으며, 전반적으로는 산업간호사업, 산업간호개념, 직업병관리가 가장 많았다. 한편 실습운영에 있어서는 산업체의 비협조 또는 거리상의 문제 등이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었다. 실습대상인 업체로는 종이제조업, 제철업, 신발제조업, 전자업체, 봉제업체, 관공서, 유리제조업체가 있었고, 주로 1주일간 실습지침서를 이용한 현지 교수 중심의 지도와 1,2회의 conference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일 견학하는 정도로 운영하는 학교와 선택 학점으로서 3주동안 실습을 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첫째, 전반적인 전공교육과 특히 지역사회간호학을 통해서 산업간호사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일반적인 능력이 길러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산업간호사의 업무 중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산업간호라는 교과를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사용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 실습현장의 마련, 시간 및 학점의 증가 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eurologic and Orthopaedic Nurses (신경기계와 정형외과 근무간호사의 간호중재에 대한 국제적 비교)

  • Lee, Eunjoo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3 no.4
    • /
    • pp.517-528
    • /
    • 200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개발된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을 사용하여 신경기계 병동과 정형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가장 빈번히 수행하는 간호중재를 파악함으로서 이러한 부서의 간호중재 리스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그리고 확인된 간호중재의 리스트를 미국 간호협회의 핵심 간호중재 목록과 비교함으로써 양국간의 간호중재의 유사성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간호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방법: 8개의3차병원 및 종합병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NIC을 번역하여 소개한 뒤 가장 자주 수행하는 간호중재 30개를 선택하게 하였다. 선택된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미국의 핵심간호 중재목록과 영역(domain)별, 분류군 (class)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신경기계 병동은 30개의 간호중재를 정형외과 병동은 34개를 핵심간호중재로 확인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간호중재를 비교해본 결과 신경기계 병동의 간호중재와 미국Americ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AANN) 의 핵심간호중재 목록과는 단지 5개의 간호중재가 일치하였지만 정형외과 병동의 간호중재목록은 미국의 National Association of orthopaedic Nurses (NAON) 의 핵심중재목록과 27개의 간호중재가 일치되어 더 많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두 나라의 간호중재를 영역(domain)별로 비교해보면 한국 간호사의 간호중재는 미국간호단체의 핵심간호 중재 목록보다 신체적 간호에 보다 많은 편중을 보였다. 결론: 한국간호사의 간호중재가 신체적 간호중재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환자간호에 보다 전인적인 간호중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핵심 간호중재 목록은 병원의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호지식의 확장이나 staffing, 간호 수가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간호의 효과성 연구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ifferences of Upgrading Nurse Staffing in Nursing Care Activity, Work Performance Outcomes, and Job Satisfaction (간호등급 상향에 따른 직접간호활동, 간호업무성과와 직무만족 비교)

  • Kim, Ju Yeun;Lee, Young Whee;Chung, Mi Kyoung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8 no.3
    • /
    • pp.256-26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nursing care activity, work performance outcomes, and job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upgrading nurse staffing of a nurse-to-patients ratio. Methods: Descriptive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In total, 148 medical and surgical nurses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Three instrument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Scale of Nursing Care Activity, Nurses' Work Performance Outcome Measurement Scale and Nurses' Job Satisfac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care activity (t=-5.06, p<.001), in work performance outcomes (t=-5.46, p<.001) and in job satisfaction (t=4.61, p<.001) when the grading for the nursing staff was changed from three to two indicating increasing number of nurses.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more nursing care activities, better work performance outcomes, and higher job satisfaction when numbers of nurses were increased. The changes in the scale to evaluate nursing staff influence nursing activities,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dent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Outcome-Intervention (NANDA-NOC-NIC) Linkages in Surgical Nursing Unit (일반외과 입원 환자에 적용되는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 확인)

  • Lee, Eun-Ju;Choi, Soon-Hee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3 no.2
    • /
    • pp.180-188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diagnosis-outcome-intervention (NANDA- NOC-NIC: NNN) linkages applied to inpatients in general surgical nursing units. Methods: We developed the NNN linkage computerized nursing process program, which consisted of the 107 nursing outcomes and the 190 nursing interventions linked to the 39 nursing diagnoses.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24 patients who admitted to those nursing units from July, 2004 to February, 2005. Results: First, nursing outcomes of each nursing diagnosis were identified as follows: for 'acute pain', pain control, pain level, and comfort level; for 'risk for infection',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wound healing: secondary intention, and infection status; for 'nausea', nutritional status: food & fluid intake, comfort level, symptom severity and hydration. Second, major nursing interventions for each nursing outcome were analyzed as follows: for pain control or comfort level, pain management and medication management; for pain level, pain management and analgesic administration; for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incision site care and wound care; for Wound healing: secondary intention or infection status, infection control; for nutritional status: food & fluid intake, fluid monitoring; for comfort level, nausea management; for symptom severity, nausea management and vomiting management; for hydration, fluid/electrolyte management. Conclusion: This identified NNN linkages will facilitate the use of nursing process in surgical nursing practice and documentation systems.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n Non-face-to-face mixed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 상황에서 성인간호학 비대면 혼합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 Park, Seur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5
    • /
    • pp.401-41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after applying non-face-to-face mixed classes consisted of both real-time and non-real time distance educations. The participants were 109 nursing students who attended in a university and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ing flow was 3.41,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3.75,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3.98.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r=.42, p<.001)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75, p<.001). 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𝛽=.662) followed by 60.6% (F=25.63, p<.001). Therefore,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to develop and apply training program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in the post-COVID-19 era.

Patine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in Korea (일 종합병원의 간호행위에 대한 입원환자의 지각도와 만족도의 관계연구)

  • Eom, Ae-Yong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3 no.4
    • /
    • pp.581-590
    • /
    • 2001
  • 목적: 의료수준의 발전과 더불어 대중들의 건강요구와 건강증진에 대한 기대 수준도 점점 높아지므로 간호사는 대상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환자가 인지한 간호에 대한 경험과 대상자가 경험한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환자 간호의 질향상과 간호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의 127명의 입원 환자가 간호 경험정도와 제공받은 간호에 대한 환자 만족도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입원환자의 간호 행위에 대한 간호 지각도의 정도는 각 항목별 비교 분석한 결과 신체적 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가 평균평점은 2.74로 가장 높았으며, 또한 환자가 지각한 간호행위에 대한 만족도는 기술-전문적 간호행위(M= 3.55)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일반적 제특성과 전체 간호행위의 지각도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p< 0.1)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행위에 대 한 지각도의 하부영역 분류중 신체적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는 입원과(p< 0.05)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일반적 제특성과 전체 간호행위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입원과(p< 0.05)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었다. 일반외과 환자가 내과 환자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원환자의 간호 행위에 대한 환자의 지각도와 만족도간의 관계(r= 0.39, p= 0.00)는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대상은 1개 종합병원에 국한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할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듯이 정신적 간호행위가 가장낮은 지각도로 나타났듯이 간호사는 환자들의 정신적 지지의 간호가 잘 이루어 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또한 교육적 간호행위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보다 더 환자와 간호사간의 정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 진료과 병동으로 확대 반복 연구를 제언하며, 환자의 간호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적 지식 및 긍정적 의사표현등을 포괄하여 간호사의 적극적 간호행위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Identification of Major Nursing Diagnosis, Nursing Outcomes, and Nursing Interventions (NNN) Linkage for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항암화학요법 환자에게 적용된 주요 간호진단, 간호결과 및 간호중재의 연계성 확인)

  • Song, Su Mi;So, Hyangsook;An, Minjeong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6 no.4
    • /
    • pp.413-423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NANDA-NOC-NIC linkag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in three steps. First, nursing diagnoses were identified from the electronic nursing records. Second, content validity of nursing diagnoses and outcomes were evaluated. Third, major nursing interventions associated with expected nursing outcomes were collected from 97 nurses who worked in the oncology uni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Four major nursing diagnoses were identified: acute pain, knowledge deficit, health seeking behaviors, and ineffective protection. Associated with each respective diagnosis, 3 major outcomes (pain level, pain control, and comfort state) for acute pain, 8 major nursing outcomes (diet, disease process, treatment regimen, illness, ostomy care, prescribed activity, health behavior, and infection management) for knowledge deficit, 4 major outcomes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promotion, health belief, and knowledge: health resource) for health seeking behaviors, and 3 major outcomes (fatigue level, immune status, and nutritional status) for ineffective protection were identified. In addition, nursing interventions frequ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for each major nursing outcome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e identified NANDA-NOC-NIC linkag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pplications of nursing process and care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