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7초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시술을 받는 환자에서 연성자극요법과 성선자극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의 효과 비교 (Effectiveness of Soft Stimulation Protocol, Compared with Conventional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in Patients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

  • 김정훈;강혁재;김소라;전균호;이향아;김성훈;채희동;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35-142
    • /
    • 2010
  • 목 적: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시술을 받는 불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성자극요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평가하고자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불임 환자 80명을 연성자극요법군 (n=40)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군 (n=40)으로 무작위로 1:1로 배정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질식초음파상 평균 직경이 18 mm에 도달한 난포가 1개, 또는 17 mm에 도달한 난포가 2개 이상 관찰될 때, 재조합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250 ${\mu}g$을 1회 투여했으며, 이 후 36~40시간째에 자궁강내 인공수정이 시행되었다. 결 과: 과배란유도를 위해 사용된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의 총용량과 투여일수는 연성자극요법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p<0.001, p<0.001). 두 군 모두에서 조기 황체화호르몬 급상승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술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 자연유산율, 다태임신율,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의 발생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연성자극요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에 비하여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을 적은 용량, 짧은 기간 사용하면서도 유사한 임신율을 나타내므로,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는 환자를 위한 환자 친화적이고 효과적인 과배란유도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백서 난소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한 RGS-2의 발현 조절 (Gonadotropin Regulation of Regulator of G Protein Signaling 2 (RGS-2) Expression in the Rat Ovary)

  • 이여일;이은숙;김선애;김미영;조문경;전상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111-118
    • /
    • 2008
  • 연구방법: 미성숙 백서 난소의 과배란 유도를 위해 PMSG를 주사하고, 배란을 위해서 hCG를 주입하였다. RGS-2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미성숙 백서에 성선자극호르몬인 PMSG를 복강내 주사했을 때 RGS-2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Northern blot analysis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hCG를 주입했을 때는 1시간에서 3시간 내에 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살펴본 RGS-2 mRNA의 발현세포는 난포의 크기에 관계없이 난자였으나, hCG로 처리한 후에는 배란 전 난포와 성장중인 난포의 과립막 세포이었다. 그러나, RGS-2 단백의 발현은 hCG 처치와 관계없이 난포막 세포이었다. 상기 생체 실험과 마찬가지로 시험관에서도 배란 전 난포의 과립막 세포에 대한 LH 처리는 RGS-2 유전자 발현을 1시간 내에 촉진하였다. 또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2 길항제도 이러한 LH의 촉진작용을 증진시켰다. 결 론: 본 연구로 배란 전 과립막 세포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인 LH/hCG와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에 의해 RGS-2의 발현이 증진되는 양상으로 보아 RGS-2가 배란과정 동안에 Gq protein 신호전달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전자 재조합 난포자극호르몬과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를 이용한 임신 1례 (A Case of Pregnancy Using Recombinant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

  • 남윤성;김남근;김은경;정형민;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73-77
    • /
    • 2001
  • Objective: To report the pregnancy which was made by in vitro fertilization using recombinant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 Material and Method: Case report. Results: Six oocytes were retrieved and all were fertilized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Six embryos were transferred and the pregnancy was confirmed. Conclusion: It is envisaged that the availability of recombinant gonadotropins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will ultimately lead to shorter, cheaper and safer treatments, using reduced dosages.

  • PDF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Minimal Stimulation using rhFSH and GnRH Antagonist for IVF Treated Patients of Advanced Age)

  • 김소라;김정훈;이진경;전균호;김성훈;채희동;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1호
    • /
    • pp.63-70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전향적 무작위 배정법 연구로 40세 이상의 불임여성의 자연주기에서 소량의 재조합난포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불임크리닉을 방문하였던 환자들 중 나이가 40세 이상인 75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군은 최소자극법으로 37명, 대조군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으로 38명의 환자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았다. 주기 취소율, 난포자극호르몬 종 사용량과 일수, 성숙난자의 수, 이식된 배아의 수,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 착상율 등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방법은 평균값의 비교를 위하여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분율의 비교를 위하여 ${\chi}^2$ 검정,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대상 환자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rhFSH의 투여기간과 총용량에서 연구군의 경우 4.5${\pm}$1.2일, 632.2${\pm}$123.7 IU로 대조군에서의 11.3${\pm}$2.7일, 3124.6${\pm}$452.1 IU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주기 취소율은 연구군에서 16.2%, 대조군에서 5.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회수된 난자의 수, 성숙한 제 2감수분열 중기 상태의 난자의 수 및 수정된 난자의 수, 양질의 배아수, 배아이식된 배아의 수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서 연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배란유도를 시작한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과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임신율은 연구군의 경우 각각 10.8%와 13.4%로 대조군에서 13.2%와 13.9%에 비하여 다소 낮긴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착상율, 자연유산율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40세 이상의 고령 여성에서 체외수정술을 시행하고자 할 때 배란유도의 방법으로 GnRH antagonist와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하여 임신율이 감소하지 않으며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불량반응군에서 GnRH Antagonist와 Agonist Long Protocol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GnRH Antagonist and Agonist Long Protocols in Poor Responders)

  • 최지영;구승엽;김훈;지병철;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39-244
    • /
    • 2010
  • 목 적: 본 후향적 연구는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와 길항제 (GnRH antagonist) 치료를 받은 불량반응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172회의 체외수정시술 주기에서 GnRH agonist 또는 antagonist protocol로 과배란유도를 시행받고 채취된 난자의 수가 5개 이하인 불량반응군을 대상군으로 하였다. 난포 및 채취된 난자의 수, 수정률 등의 결과를 두 군 간에 비교하였다. 결 과: GnRH agonist long protocol과 antagonist protocol 두 군 간에 난포 및 난자의 수와 수정률은 차이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반면, 과배란유도 제7/8일의 혈중 $E_2$ 농도는 GnRH antagonist군에서 더 높았던 반면, 사용한 평균 성선자극호르몬의 용량은 유의하게 적고 과배란유도 기간은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 p<0.01). 결 론: 불량 반응군에서 GnRH agonist long protocol에 비하여 GnRH antagonist protocol의 경우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필요한 반면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고려할 때, GnRH antagonist protocol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