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분

Search Result 26,629,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daptive chroma scanning order decision using correlation of luma with chroma (휘도성분과 색차성분의 유사성을 이용한 색차성분의 적응적 스캐닝 오더 결정 방법)

  • Yoo, Sung-Eun;Sim, D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592-59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휘도성분과 색차성분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하나의 영상을 구성하는 휘도성분과 색차성분은 유사성이 높아 그 유사성을 이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CU(Coding Unit)를 압축할 때 화면 내 예측방법을 사용한다면, 색차성분의 화면 내 예측모드가 휘도성분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 본 논문의 알고르듬을 적용한다. 색차성분이 휘도성분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휘도성분과 색차성분 간 유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휘도성분의 스캔방법을 기본으로 중요한 변환계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색차성분의 스캔 방법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현재 배포된 HEVC의 레퍼런스 소프트웨어인 HM 3.1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색차성분에 대해 0.39%의 부호화 효율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VOICEDIUNVOICED DECOMPOSITION OF SPEECH BASED ON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기반의 음성의 유/무성음 성분 분리)

  • 강명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75-478
    • /
    • 1998
  • 음성에 공존하는 유/무성음 성분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유성음 성분은 주기성을 띤 사인곡선의 형태로 표현되며, 무성음 성분은 자동회기의 결과로 표현된다. 두 성분을 각각 차례대로 추정할 경우 한 성분에 대한 추정치의 정확도가 나머지 성분의 추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제안된 알고리즘은 두 성분을 공동으로 추정한다. 실제 ML 추정치는 구하기 어려워 이에 근접하는 추정치를 선형 방정식들을 interative 방법으로 풀어 구현하였다. 예비 시험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두 성분을 추정함을 알 수 있었고, 합성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실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Prunus mume, Rosa spp. and Rosa rugosa (매화, 장미 및 해당화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 Kanphassorn Wimonmuang;Young-Sang Lee;Seung-Young Oh;Suk-Keun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10-110
    • /
    • 2020
  • 꽃을 우려내어 차로 마시는 꽃차(flower tea)는 꽃이 가진 색과 향, 맛과 모양을 즐길 수 있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화(Prunus mume), 장미(Rosa spp.), 그리고 해당화(Rosa rugosa) 등 3종의 장미과 식물의 꽃차의 향기 성분 특성을 구명코자 꽃차를 headspace vial에 담은 후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성분은 deconvolution 과정을 수행한 후 NIST masss spectral library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매화꽃차에서는 총 58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benzaldehye와 nonane, 그리고 phenylmethanol이 주요 구성 성분으로 검출된 전체 휘발성 성분의 각각 64.7%, 16.1% 및 4.7%를 차지하고 있었다. 장미 꽃차의 경우 검출된 35종 중 주요 구성 성분은 nonane과 2-phenylethanol, 그리고 phenylmethanol로서 각각 전체 성분 중 54.0%, 18.0% 및 4.6%를 구성하고 있었다. 해당화 꽃차의 경우는 장미 꽃차와 동일하게 2-phenylethanol(62.2%)과 nonane(20.1%)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 2 성분의 합이 전체 43개 휘발성 성분의 8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매화, 장미, 해당화 등 장미과 식물 3종의 꽃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휘발성 성분은 앞서 각 꽃차 종류별 주요 성분으로 언급된 4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19종이었으며 매화꽃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29종으로 장미꽃차(6종)와 해당화 꽃차(8종)보다 향기성분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hinese Quince Fruits, Chaenomeles sinensis koehne (모과의 휘발성 Flavor 성분에 관한 연구)

  • Chung, Tae-Young;Cho, Dae-Sun;Song, Jae-Chul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0 no.2
    • /
    • pp.176-187
    • /
    • 1988
  •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Chinese quince fruits were trapp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method, and these were fractionated into the neutral, the basic, the phenolic and the acidic fraction. In the identification of carboxylic acids, the acidic fraction was methylated with diazomethan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se fractions were analyzed by the high-resolution GC and GC-MS equipped with a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The total of one hundred and forty-five compounds from the steam volatile concentrate of the Chinese quince fruits were identified: they were 3 aliphatic hydrocarbons, 1 cyclic hydrocarbon, 4 aromatic hydrocarbons, 9 terpene hydrocarbons, 17 alcohols, 3 terpene alcohols, 6 phenols, 21 aldehydes, 7 ketones, 28 esters, 27 acids, 3 furans, 2 thiazoles, 2 acetals, 3 lactones and 9 miscellaneous ones. The greater part of the components except for carboxylic acids were identified from the neutral fraction. The neutral fraction gave a much higher yield than others and was assumed to be indispensable for the reproduction of the aroma of the Chinese quince fruits in a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GC-sniff evaluation, 1-hexanal, cis-3-hexenal, trans-2-hexenal, 2-methyl-2-hepten-6-one, 1-hexanol, cis-3-hexenol, trans, trans-2, 4-hexadienal and trans-2-hexenol were considered to be the key compounds of grassy odor. On the other hand, esters seemed to be the main constituents of a fruity aroma in the Chinese quince fruits.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FOD Algorithm Using Neighbor Intelligible Components (인접 가해 성분을 이용한 적응적 선형 축소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 Kwak, No-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591-594
    • /
    • 2003
  • 본 논문은 중심 화소의 FOD 성분값과 인접 가해 성분값의 평균으로 축소 성분값을 산출함으로써 FOD에 적응성을 부여한 디지털 영상 축소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안된 방법은, 중심 화소의 우측 및 하측 인접 화소의 기울기의 크기를 이용하여 산출한 각각의 국부 가해 가중치를 우측 및 하측 인접 화소값에 곱한 후에 그 결과를 합산함으로써 인접 가해 성분값을 구하고 FOD 성분값과 이 인접 가해 성분값을 평균하여 축소 성분값을 구하는 과정을 전체 영역에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축소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축소 방법에 따르면, 적은 연산량을 요하면서도 평균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FOD 방식의 장점을 취하면서 인접 화소의 유효 가해 성분을 각각의 국부 가해 가중치에 따라 축소 성분값에 적응적으로 반영함으로써 FOD의 단점인 몽롱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바, 개선된 정보 보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주관적인 성능과 하드웨어 복잡도 측면에서 제안된 방법과 기존의 각 방식에 대한 성능을 분석 평가한다.

  • PDF

레이저 표면 거칠기 측정에서 가중 함수에 의한 반사광 성분의 블렌딩

  • 서영호;안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1-171
    • /
    • 2004
  • 반사광은 표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반사광 속에서 표면의 거칠기 정보를 알아내 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고, 이를 통해 여러 표면 거칠기 측정법 중에서도 인프로세스 측정에 큰 장 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알려진 바로는 하나의 반사광을 정반사 성분와 난반사 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정반사 성분은 광 강도가, 난반사 성분은 광 분포가 중요하다. 매끈한 면에서는 정반사 성분이 지배적이며, 거친 면에서는 난반사 성분이 지배적이고, 그 중간 단계의 면에서는 두 성분이 합해져서 동시에 나타난다.(중략)

  • PDF

Food Components and Volatile Flavors in Rhodiola sachalinensis Roots (홍경천(Rhodiola sachazinensis) 뿌리의 식품학적 성분 및 휘발성 향기성분)

  • 이은정;임지순;박채규;전병선;김석창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9 no.1
    • /
    • pp.53-57
    • /
    • 2004
  • 홍경천(Rhodiola sachalinensis)의 성분을 분석하여 식품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식품소재로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수 있도록 건조된 홍경천을 분쇄, 분말화한 후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 유리당, 구성아미노산, 유리지방산, 그리고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홍경천 건조분말의 수분은 10.14%, 조단백 3.90%, 조지방 1.33%, 총당 41.17%, 환원당 11.40% 회분은 3.05%로 분석되었고, 무기성분은 Ca, K, Kg이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 등으로 특히 glucose와 fructose가 높게 함유되어있었다. 주된 구성아미노산은 glutmic acid, cystine arginine, proline, aspartic acid, isoleucine, histidine 등의 함량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lutamic acid, cystine, arginine 함량이 각각 176.24, 168.60, 159.90 mg%로 높은 함량 수준을 보였다. 유리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32.46%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가 21.42%, lignoceric acid 14.83%, oleic acid 13.09% behenic acid가 5.80% 순으로 나타났다. 향기성분은 GC-MS로 분석한 결과 2-cinnamic aldehyd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eraniol, myrtenol, octanol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홍경천 뿌리는 다양한 일반성분 조성과, 필수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필수 무기질 등이 균형있게 함유된 식품학적 성분 가치가 충분한 소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홍경천 뿌리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생리활성 및 동물실험을 통해 이들 식품학적 성분들의 유용성을 탐색하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Extraction of Directional Strokes in Handwritten Hangul using Runlength (런 길이를 이용한 필기체 한글 자획의 방향 성분 추출)

  • Jung,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485-488
    • /
    • 2006
  • 본 논문은 수평 런 길이와 수직 런 길이를 이용해 필기체 한글 문자의 자획 두께를 구하고, 그 자획 두께를 이용해 입력 문자의 자소를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 분석은 각도와 관계없이 자획 두께와 수평 런 길이의 변화량만을 이용해 구한다. 분리된 수평 성분 자획과 수직 성분 자획은 오프라인 필기체 한글 인식을 위한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자소 분리를 위한 특징이 된다.

  • PDF

Volatile Components of Pinenut (잣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 Kim, Yong-Kap;Chung, Kyu-Neung;Ishi, Hirosh;Muraki, Shigeru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8 no.2
    • /
    • pp.105-109
    • /
    • 1986
  • Volatile components of pinenut were identified. Pinenut was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after Soxhlet extraction. The odor profile of the extract was very similar to that of pinenut. This extract was then fractionated into four fractions by Preparative TLC. These all fractions were analyzed by a combination of glass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FTD, FID capillary GC) and mass spectrometry. One hundred and nine components, including 26 hydrocarbons,17 esters,16 aldehydes,12 ketones,31 alcohols, 11 bases, 2 acids and 3 miscellaneous components were identified.

  • PDF

A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r the Volatile Componen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추출방법에 의한 아니스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 Kown, Young-Ju;Jang, Hee-Jin;Kwag, Jae-Jin;Kim, Ok-Chan;Choi, Young-Hyun;Lee, Jae-G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0 no.2
    • /
    • pp.144-147
    • /
    • 1997
  • Different isolation methods for the volatile componen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are compar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components obtained with each analytical procedure. These methods include headspace(purge & trap) sampling procedur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Total 43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gas chromatography retention time and mass spectral data. Different isolation techniques result in compositionally different isolates. The headspace(purge & trap) sampling procedure was found to be the best method of choice for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