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문하부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개 후두 점막에서 분비세포의 분포와 점액 당단백질의 조성

  • 유우정;박영학;김민식;조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6.04a
    • /
    • pp.87-87
    • /
    • 1996
  • 상기도 점막의 분비세포와 이로부터 분비되는 점액은 각 부위에 따라 형태학적, 기능적 특성이 다르다. 특히 후두의 성대부위는 발성시 고속의 마찰진동이 있게 되어 성대상피를 보호하기 위한 윤활제 역할의 점액이 필요하다. 점탄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점액당단백질 분비세포의 조성비율과 밀도를 알기 위해서 개 10마리의 후두, 기관, 상악동, 비강점막을 채취하여 periodic acid-Schiff, alcian blue 1.0, alcian blue 2.5, high iron diamine-alcin blue염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후두점막에서 선포의 밀도는 성문부의 후두실 상부에서 가장 높았다. 2. 후두점막에서 점액세포의 조성은 성문상부에서 가장 높았고, 장액세포의 조성은 성문부에서 가장 높았다. 3. 황화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가 성문상부,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후두의 세 부위와 기관에서 상악동과 비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타액점액의 조성비는 성문부에서 성문하부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성문부는 성문상부에 비해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5. 상기도의 각 부위에서 당단백질의 조성비는 모든 부위에서 중성점액이 가장 높았고 산성점액중 성문부에서는 황화점액이 타액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문하부, 상악동, 비강에서는 타액점액이 황화점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문부에서 나타나는 높은 장액세포의 비율과 점액당단백질 조성의 특징이 성문부 점액의 성대운동에 대한 윤활작용에 적합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REATMENT OF TRACHEAL LESION BY $CO_2$ LASER - REPORT OF 4 CASES ($CO_2$ 레이저를 이용한 기관지경술 4례)

  • Kim, Kwang-Moon;Choi, Hong-Sik;Lee, Jung-Kwon;Kim, Ki-Ryung;Jang, Kyun;Jeon, Young-Myung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8.1-18
    • /
    • 1987
  • 1972년 Jako와 Strong이 후두질환에 $CO_2$레이저 사용을 발표한 이래 최근 이비인후과영역에서 $CO_2$레이저를 이용한 수술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후두 및 기관지 협착증에서의 $CO_2$레이저 이용은 현재까지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로 소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레이저를 이용한 기관지경술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기관 및 기관지의 여러 질환중에서 유두종등의 양성종양의 제거, 기관 및 기관지 협착증의 치료, 그리고 원발 혹은 전이에 의한 기관내 악성종양의 고식수술(姑息手術)등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저자들은 성문하부 및 기관내에 발생한 후두 및 기관유두종 2례와 육아조직에 의한 성문하부 및 기관협착증 2례에서 coherent $CO_2$레이저 기관지경을 이용한 기관지경술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Case of Subglottic Granular cell myoblastoma (성문하부에 발생한 Granular Cell Myoblastoma 1례)

  • 고건성;우훈영;전병훈;장선길;김광현;노관택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8.06a
    • /
    • pp.6.2-6
    • /
    • 1978
  • Granular cell myoblastoma is a rare muscular origined benign tumor which was first decribed on the vocal cord by Abrikossoff in 1931. Although this lesion is found frequently in the tongue, it has been known to occur in other parts of the oral cavity as well as in the larynx and trachea. It is of considerble clinical importance that this lesion is frequently accompanied by pseundoe-pitheliomatous hyperplasia of the overling mucosa which may easily be confused with carcinoma. We experienced a case of granular cell myoblastoma and report with the consideration of literatures concerning the same disease.

  • PDF

Benign Masses Arising in the Subglottis and Trachea (성문하부 및 기관에 원발한 양성 종괴)

  • 성명훈;권성근;이강진;최병윤;원태빈;노종렬;박범정;성원진;김광현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7 no.2
    • /
    • pp.146-151
    • /
    • 2001
  • Background and Objectives: Primary benign masses in subglottis and trachea are rare. Symptoms of tracheal obstruction are similar to those of bronchial asthma, chronic bronchitis, as well as malignant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with benign tracheal masses from April 1992 through June 2001, at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by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Results : They were 3 females and 5 males aged from 0 to 57 years. The pathologies of the intratracheal masses were lipoma. tuberculosis, pleomorphic adenoma, hemangioma(two case), reparative giant cell granuloma, epithelial inclusion cyst and nonspecific lymphadenopathy, respectively. The most characteristic symptoms were dyspnea and stridor, both inspiratory and expiratory. Five of them had been treated as bronchial asthma. Conclusion: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the subglottis and tracheal mass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ecure airway. regardless of pathology of the masses. The diagnosis should be considered in any patient with asthma-like manifestation, especially who fails to respond to medical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irway thoroughly, and chest and simple cervical X-ray may contribute to the diagnosis of possible intratracheal mass.

  • PDF

A Case of Pediatric Subglottic Stenosis caused by Subglottic Cyst (성문하부 낭종으로 인한 소아 성문하부 협착 1예)

  • Oh, Hyeon Seok;Lee, Hye Ran;Lee, Jae Yong;Kim, Jae Wo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4 no.2
    • /
    • pp.77-80
    • /
    • 2018
  • Subglottic cysts have been reported as a relatively rare problem of pediatrics who have a history of premature birth and period of intubation. They may cause significant upper airway obstruction and many cases require tracheostomy to airway management. Endoscopic marsupialization by microinstruments or laser has been standard primary treatment but a high recurrence rate has been reported. A 19-month-old child presented with stridor who has history of ventilation via an endotracheal intubation in the newborn period for 7 days. Radiolog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for aggravated dyspnea symptom and subglottic cystic mass was found, then it was marsupialized at operation room and tracheostomy was done at the same time. After decannulation of tracheostomy tube, there is no recurrence of cyst nor upper airway obstruction for 29 months.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고양이 후두상피내 neuroendocrine cell 의 형태학적 연구

  • 유영채;조재식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6.04a
    • /
    • pp.86-86
    • /
    • 1996
  • amine 전구물질을 흡수하며 신경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neuroendocrine cell의 후두상피 내에서의 구조와 분포를 알기 위하여 고양이 후두 상피조직을 이용,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neuroendocrine cell은 방추체 모양이었으며 후두강쪽의 첨부돌기는 미세돌기를 갖고 있었으며 기저막에 접하고 있는 세포질돌기에는 많은 수의 농심과립을 함유하고 있었다. neuroendocrine cell은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substance P, 5-hydroxytryptamine들 함유하고 있었으며 protein gene product 9.5, neuron-specific enolase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성문하부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이로 미루어 neuroendocrine cell은 고양이 성대에서 어떤 자극을 받으면 다양한 펩티드를 분비하여 내분비 혹은 paracrine 경로를 통하여 후두 기능 조절에 관여한다고 사료된다.

  • PDF

The Heterogeneity of T2NO Glottic Carcinoma Treated by Irradiation (T2NO 병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예후인자 분석)

  • Lee Hyung Sik;Moon Sun Rock;Ahn Ki Jung;Chung Eun Ji;Suh Chang Ok;Kim Gwi Eon;Loh John J 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8 no.2
    • /
    • pp.199-205
    • /
    • 1990
  • During a ten-year period from 1978 through 1987, 44 patients with T2NOMO glottic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cal radiation therapy at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orty-two patients had a minimum follow-up of 3 years, and $81\%$ had at least five years of follow-up. Patients were staged according to the AJCC system. Forty-two patients have been analyz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wo variables: the status of vocal cord mobility and the degree of local extension of the disease. Five-year local recurrence free survival rates were as follows: All 42 patients, $53.3\%$ patients with normal vocal cord mobility (n =18), $69.1\%$ versus patients with impaired vocal cord mobility (n=24), $43.4\%$(p<0.05); patients with subglottic extension (n=15), $36.7$ versus patients without subglottic extension (n=29), $61.9\%$ (p<0.05). The most favorable Prognostic group included the patients with normal mobility without subglottic extension (n=14), $83.1\%$.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confirmed the presence of heterogeneity in T2NOMO glottic cancer This study indicates that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warranted to evaluate.

  • PDF

Reconstruction of a Large Cricotracheal Defect Using a Sternocleidomastoid Myoperiosteal Flap : A Case of Locally Aggressiv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Tracheal Invasion (갑상선 수술 후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큰 기도 결손부 재건 1예)

  • Kim, Sang Min;Kim, Mi Ra;Kim, Yong-Wan;Baek, Moo Jin;Park, Jun-O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1
    • /
    • pp.18-21
    • /
    • 2015
  • 기관을 침범한 갑상선 악성종양을 제거한 후에 성문하부에 비교적 큰 기관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단단문합술은 넓은 부위의 결손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문합부 파열, 반회후두신경마비, 재협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암종을 제거한 후 윤상연골과 기관연골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재건한 사례이다. 55세 남자 환자가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내원하였으며 기도침범은 윤상연골(둘레의 약 30%)과 4개의 기관연골(둘레의 약 50%)을 해당하는 넓은 부위였다. 수술 전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주위 기관연골의 상태가 좋지 않아 단단문합술 시행 후 문합부 파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기로 계획하였다. 갑상선 절제술, 경부림프절 절제술,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2일째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현재 22개월 간 기도 협착 등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지내고 있다.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은 성문하부나 기관지 전외측벽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재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