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덕대왕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의 음향 특성

  • 최성영;배명진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110-122
    • /
    • 2004
  • 성덕대왕 신종은 서기 771년(신라 혜공왕 7년)에 완성된 것으로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높이 3.663m, 최대지름 2.227m, 무게 18.900kg, 7.7∼21.5㎝)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중략)

  • PDF

Acoustic Analysis of King Songdok Bell Using Parameter Estimation of Transient Signals (과도기형태 신호의 매개변수 추정기법을 이용한 성덕대왕 신종의 음향분석)

  • 김영수;진용옥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7
    • /
    • pp.91-10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지수함수적 감쇄신호의 매개변수를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신호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맥놀이 주파수 성분을 갖으면서 과도기 형태 신호인 성 덕대왕 신종의 음파(공중음파 및 지중음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선형예측모델 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일반적인 데이터 행렬 대신에 자기상관 유사행렬을 사용하였으며 SVD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한다. 성덕대왕 신종의 스펙트럼 및 감 쇄계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법을 수집한 데이터에 적용하였고 분석결과를 토 대로하여 고유주파수 신호의 감쇄계수 및 움통의 역할도 규명하였다.

  • PDF

A Study on a Problem at Ringing of the Divine Bell of King $S\breve{o}ngd\breve{o}k$ (성덕대왕 신종의 타종시 문제점에 관한 연구)

  • Choi SungYoung;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63-266
    • /
    • 2002
  • 성덕대왕 신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높이 3.663m, 최대지름 2.227m, 무게 18,900kg)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소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응용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웅장하고 신비로운 신금을 울리는 소리가 두드러지게 나오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근래의 낙후된 에밀레 종으로 인해서 변형된 종소리와 예전의 고유한 종소리를 분석하고 우리 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인 에밀레 종소리 복원이 강구되어야 하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어야 한다.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 Kang, Hyungtae;Kim, Jongoh;Kwon, Hyuknam;Yu, Heisun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5
    • /
    • pp.49-57
    • /
    • 2004
  •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as completed in 771 A.D. It is a true masterpiece both grand in its size and style (height 3.66 m, diameter 2.23 m, thickness 20.3 cm, weight 18.9 ton), illustrating the essence of the Korean bronze culture. However, there are no remaining records about its casting: where the raw material came from, how the materials were mixed and how the bell was casted. The absence of such records has limited the understanding of the bell. This article contains analysis of three samples collected from a protruding part inside of the bell during a safety test for the bell by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The main issues are the element composition of the bell, microstructure on the casting time and the source where the raw material came from.

Significance of Three-Dimensional Digital Docum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Monitoring Basic Data for the 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 (성덕대왕신종의 3차원 디지털 기록화 의미와 모니터링 기초자료 구축)

  • Jo, Younghoon;Song, Hyeongrok;Lee, Sungeun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4
    • /
    • pp.55-74
    • /
    • 2020
  • The 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 is required digital precision recording of conservation conditions because of corrosion and partial abrasion of its patterns and inscriptions.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digital documentation of the bell using four types of scanning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photogrammetry technologies, and performed the various shape analyses through image processing. The modeling results of terrestrial laser scanning and UAV photogrammetry were merged and utilized as basic material for monitoring earthquake-induced structural deformation because these techniques can construct mutual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bell and its tower. Additionally, precision scanning at a resolution four to nin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study provided highly valuable information, making it possible to visualize the patterns and inscriptions of the bell. Moreover, they are well-suited as basic data for identifying surface conservation conditions. To actively apply three-dimensional scanning results to the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bell, the time and position of any changes in shape need to be established by further scans in the short-term. If no change in shape is detected by short-term monitoring, the monitoring should continue in medium- and long-term intervals.

On a Study Vibration of the Divine Bell of King $S\v{o}ngd\v{o}k$ by Doppler Effect (도플러 효과에 의한 성덕대왕 신종의 맥놀이 현상에 관한 연구)

  • Ham Myungkyu;Park Won;Jang Keumyoung;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61-64
    • /
    • 1999
  • 에밀레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조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그 원인을 실험을 통해 분명히 밝히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이미 진자(흔들이)의 등시성 원리를 알고 있었으며, 도플러 효과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에밀레 종소리에 응용이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1228년전에 완성한 우리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에밀레 종소리의 맥놀이 현상을 규명하고 재현함으로서 문화민족의 자부심으로 새로운 세대를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고자 한다.

  • PDF

On a Analysis of the Divine Bell of King Songdok with Emotional Sound (성덕대왕 신종의 심금을 울리는 소리 분석에 관한 연구)

  • Ham Myungkyu;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27-230
    • /
    • 2000
  • 에밀레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높이 3.663m, 최대지름 2.227m, 무게 18,900kg)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소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에밀레 종소리가 심금을 울리는 소리 성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히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응용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1228년전에 완성한 우리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에밀레 종소리의 세 가지를 규명하고 재현함으로서 문화민족의 자부심으로 새로운 세대를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고자 한다.

  • PDF

3-Dimensional Vibr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of King Song-Dok Bell (성덕대왕 신종의 3차원 진동신호 측정 및 분석 결과)

  • Kim, Yang-Hann;Park, Yon-Kyu;Kim, Young-Key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6
    • /
    • pp.41-47
    • /
    • 1997
  • Beating phenomenon which is generated by two closely located natural frequencies is one of research tenet for King Song-Dok bell.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vibration shape of these natural frequencies using very extensive experimental data. Vibration signals are sampled at 108 points around the bell using accelerometers. Measured signals are anlayzed in time and frequency domain. Twelve natural shapes under 800Hz are plotted.

  • PDF

On a Study Baby-Boiling Sound Reconstruction of the Divine Bell of King Songdek (성덕대왕 신종의 애끓는 소리 재현에 관한 연구)

  • Choi Seong Young;Ham MyungKyu;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51-154
    • /
    • 2001
  • 에밀레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높이 3.663m, 최대지름 2.227m, 무게 18,900kg)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소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에밀레종이 갖는 애끓는 소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애끓는 소리의 재현을 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응용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1228년 전에 완성한 우리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에밀레 종소리의 세 가지를 규명하고 재현함으로서 문화민족의 자부심으로 새로운 세대를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