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대진동시작시간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Videokymographic Findings of Benign Vocal Fold Lesions (성대양성질환에서 Videokymography 소견)

  • 안철민;윤선영;정덕희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83-183
    • /
    • 1998
  • 음성이 성대진동에 의해서 생성된다는 것이 밝혀진 이래로 이것을 확인해 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특히 성대의 빠른 진동을 느린 움직임으로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 후두스트로보스코프같은 기구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실제 시간에 따른 성대움직임을 보는 것이 아니고, 또 불규칙한 진동이 나타날 경우에는 성대점막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저자들은 초 당 8000 개의 연속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videokymography를 이용하여 성대점막의 실제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관찰해보고, 후두질환에서 나타나는 영상을 확인해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중략)

  • PDF

Voice onset time in children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양측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Jeon, Yesol;Lee, Youngmee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4 no.2
    • /
    • pp.77-86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oice onset time (VOT) of plosives in the VCV syllables by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type spoken by children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CIs) in comparison with children with typical hearing (TH). In all, 15 children with bilateral CIs and 15 children with TH participated in this study, aged between 5 to 10 years. All children produced 9 VCV syllables and their VOT were analyzed by the Praat softwa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VOT between children with bilateral CIs and children with TH.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VOT by the place of articulation, such that the VOT for velars were longer than those for bilabials and alveolars.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VOT by the phonation type, such that the VOT of aspirated consonants were longer than those of lenis and fortis conson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bilateral CIs can distinguish the acoustic properties of plosive consonants and control the speech timing between the structures of the larynx and the oral cavity at a similar level as children with TH.

An Acoustic Analysis on the Plosives of Korean and Japanese

  • Lee Seungmie
    • MALSORI
    • /
    • no.21_24
    • /
    • pp.111-122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 있어서 세 가지 유형의 파열음과 일본어에 있어서 두 가지 유형의 파열음과 일본어에 있어서 두 가지 유형의 파열음이 보여주는 시간적 특성을 어두 위치 및 모음간 위치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한국어에 있어서 세 가지 유형의 파열음은 어두 위치에서 모두 무성음으로 실현되므로 성의 대립으로는 이들을 유형화 할 수 없고, 그보다는 조음의 힘과 기식의 유무에 따라 연음, 무기 경음, 유기 경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비해 일본어 파열음은 유성음인 연음과 무성음인 경음의 두가지 유형으로 대립된다. 유성음과 무성음, 그리고 유기음과 무기음의 구분에는 파열음의 개방에서부터 성대 진동까지의 시간인 성 시작 시간(VOT)과 기식의 길이가 변수가 된다. 경음과 연음의 구분에는 선행 모음의 길이, 폐쇄 지속 시간, Vl/(Vl+CL)의 비율이 유용한 정보가 된다. 양국어 어두 파열음의 VOT를 비교해 볼 때, 일본어 유성음은 음수의 VOT를 가지며, 한국어 무기 경음에서는 VOT가 10msec정도로 짧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한국어 연음. 일본어 무성음, 한국어 유기 경음의 순서로 길어진다. $\frac{선행 모음의 길이}{(선행 모음의 길이+폐쇄 지속 시간)}$의 비율은 언어의 특성도 반영해 주는데, 한국어의 경우 연음: 무기 경음: 유기 경음의 비는 0.63: 0.30:0.35, 일본어의 경우 유성음:무성음의 비는 0.69: 0.45로 나타났다. 청취 실험을 통해 한국인의 자음 인식 경향을 살펴본 결과, 성대 진동의 유무를 변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국인 화자는 일본어 유성음은 연음으로, 무성음은 경음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