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당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2초

교회 건축가 알빈 슈미트신부의 성당건축 유형과 디자인 원천에 관한 연구 - 도미니쿠스 뵘과 루돌프 슈바르츠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urch Building Type and Design Source of the church architect P. Alwin Schmid - Focused on the Influence of Dominikus Bohm and Rudolf Schwarz -)

  • 김정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4호
    • /
    • pp.131-148
    • /
    • 2007
  •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the Church Building Type and Design Sources of a German church architect who had designed many churches and other buildings in Korea. P. Alwin Schmid(1904-1978) had designed 188 Catholic buildings in Korea for 20 years from 1958 to 1978. In his works there are many excellent Catholic ritual buildings. It was caused by his conviction on the theology and the principles of Church Architecture. And His remarkable achievement is affected by the works of Dominikus Bom(1880-1955) and Rudolf Schwarz(1897-1961). Alwin's 5 plan type is relevant to Schwarz' iconographic model, and their approach to 'light' is much the same. But the Character of inner space is the middle of Dominikus Bom and Rudolf Schwarz. His works rotted in the Liturgical Movement had been developed in the line of connection with 20th German church architecture. The works of Dominikus Bom and Rudolf Schwarz played the role of the teacher of Alwin Schwarz.

  • PDF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과 사제관 디자인 변형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hange and of the Anglican Church & Rectory in Onsuri, Ganghwa Island)

  • 최정신;한주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11-18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ases of change in the Anglican Church including its rectory in Onsuri, Gangwha island, which was built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style. The materials used for the study were published books, old photos taken before the change, drawings, and field survey.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1) Painting concealed natural wooden grain should be removed as well as carpet on the wooden floor. The way of ceiling finishing is to be restored as traditional way. 2) Refer to the rectory, it needs to be restored totally, since it has been changed many times through partial renovation. It lacks unification of design in entire elevation, windows and door. The practical spaces such as indoor flush toilet and boiler room are desirable not to be revealed or designed in harmony with other spaces. 3) Stript flooring in the rectory are to be restored to frame flooring, room finishing including vinyl flooring, vinyl wall paper and moulding along the cornice to the traditional paper finish. Lattice patterns of windows and doors are recommended to be restor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design.

대두종자의 발아시간에 따른 Monosaccharides와 Oligosaccharides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of Mono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Seeds)

  • 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52-58
    • /
    • 1975
  •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Stachyose를 소화성당으로 변화시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고시킬 목적으로 대두 '평양'품종을 표준발아와 Hypochlorite를 처리한후 발아과정중 종자내에 함유되어있는 Monosaccharides 및 Oligosaccharides의 함량변화를 Thin-Layer Chromatography법으로 실험하였다. 1. Monosaccharides의 함량변화: 표준발아시 전기간중 Fructose가 제일함량이 많았고 Glucose, Galactose순으로 함량이 적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되었다. Hypochlorite처리시 전기간중 Galactose는 전연 나타나지 않았다. 두 처리간에는 144시간을 제외하고 표준발아시켰을때가 Monosaccharide의 함량이 많았다. 2. Oligosaccharides의 함량변화: Sucrose는 표준발아시 함량은 적으나 전기간중 나타났으며96시간까지는 증가되었다가 약간씩 감소됐다.

  • PDF

Bifidobacteria가 이용한 쑥의 올리고당 분석 (Analysis of Mugwort Oligosaccharides Utilized by Bifidobacteria)

  • 이선화;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33
    • /
    • 1996
  • Bifidobacteria 또는 lactobacilli와 같은 유익균에 대해 생육촉진효과를 나타낸 쑥의 물추출물에서 생육촉진성분를 조사하였다. 쑥의 물추출물을 탄소원 생육인자 검색배지인 PYF와 비탄소원 생육인자 검색배지인 $Gy{\ddot{o}}rgy$에서 조사한 결과, 탄소원이 주요한 생육촉진인자로 나타났다. Bifidobacteria는 쑥의 가용성당류 중에서 단당류 및 중합도가 2-5인 올리고당을 잘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ifidobacteria가 이용한 올리고당을 chacoal-celite column chromatography와 Bio-gel $P_2$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한 다음, 가수분해하여 HPLC로 구성당의 조성을 조사한 결과 galactose와 glucose가 주요 구성당으로 밝혀졌다.

  • PDF

인삼식물의 종자발육 과정에 있어서의 생리화학적 연구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Seed Development in Ginseng Seed)

  • 양희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15-133
    • /
    • 1974
  • 인삼 종자의 결실과 최아과정중에서 일어나는 물질대사의 기본적 소인을 알고저 화기형성초기로부터 개화기까지, 결실초기부터 홍숙기까지, 그리고 최아과정중 화학성분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1. 화뢰에서는 감수분열기 이전까지 신선중, 건물중, 회수화물, 질소화합물의 변동은 그리 크지 않으며 TCA가용성인, 특히 유기태인의 증가와 현저하였다. 2. 감수분열기로부터 소포자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신선중, 건물중이 급격히 증가되고 전질소량이 증가하는데 불용성 질소구분은 이 시기부터 그 량이 늘어나 단백질이 합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불용성 질소가 전질소의 62∼7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가용성 당분이 급격하게 증가되어 환원당, 비환원당이 모두 증가하나 전분의 증가는 볼 수 없고, 전인에 대한 TCA가용성인이 85.4%, TCA불용성인이 14.6%로 화뢰성장중 각각 최고, 최소치를 나타내고 있다. 3. 화분성숙기 이후와 개화기에서 특히 건물중의 증가가 현저하고 불용성질소도 계속 증가되어 총질소의 67%에 이른다. 또한 두드러진 유기태인의 저하와 갑작스런 조전분의 증가를 볼 수 있고 무기태인량이 유기태 인량을 능가하게 된다. 4. 결실기부터 홍열기까지에 있어서는 신선중량의 90%가 결실 후 3주간에 증가하는데, 1) 전질소량은 7배로 증가되었고 성숙되어 갈수록 전질소에 대한 불용성질소의 량이 커져서 65%에서 80%이상으로 상승되고 한편 가용성질소의 비율은 35%에서 20%이하로 저하되었다. 2) 전인산량도 8배로 증가되는데 홍숙이 시작되는 시기에 최고에 이르고 이때에 전인산에 대한 TCA가용성인의 비율도 가장 커서 90%에 이른다. 유기태인도 홍숙이 시작될 때까지 29배나 증가되며 지질태인, 핵산태인, 단백태인이 모두 증가되고 있다. 3) 회수화물의 증가는 신선중의 증가와 유사한데결실한지 3주 후에 최고량에 달하고 그 후는 사실상 증가하지 않으며 가용성당도 3주 후에 최고에 달했다가 일시 감소하며 홍숙기에 약간 증가하나 먼저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며 조전분은 점차 증가되어 홍숙되기 일주 전에 최고량에 달하나 전 건물량의 2.36% 밖에 되지 못한다. 회수화물중 가용성당이 차지하는 비율이 훨씬 크며 완숙기에서는 가용성당분중 약80% 이상의 비환원당으로 되어 있어 인삼 종자의 주요 회수화물을 이루고 있다. 4) 한편 완숙된 종자의 배란중에는 60%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인삼 종자의 저장물질은 단백질이나 회수화물이기 보다는 주로 지방이다. 5. 최아조작중에는 배가 11월중순의 파종기까지 4.2∼4.7mm로 발육하며 충분히 흡수하여 50∼60%에 이르고, 저장지방, 단백질, 전분이 가수분해하여 가용화되고 당분, 무기태인, 인지질, 핵산태인, 단백태인과 가용성질소의 증가를 보이고 있어 세포내용물의 전이가 일어나 발아에 필요한 물질을 축적하고 있다.

  • PDF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과 Polymine이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시 탄수화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and Polyamines on Carbohydrate Metabolism during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 Soybean cotyledons)

  • 한태진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95-201
    • /
    • 1994
  •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MGBG]과 polyamine이 부정근 형성시 탄수화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대두 자엽 절편을 이용하여 $5{\times}10^{-6}\;M\;NAA와\;5{\times}10^{-7}M$ kinetin으로 조성한 부정근 형성구에 $10^{-3}M$ MGBG와 이 MGBG에 $10^{-5}M$의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을 각각 혼합 처리하여 전분 및 수용성당의 함량 변화와 함께 관련 효소의 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분 및 maltose와 sucrose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MGBG를 포함하는 모든 처리구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Glucose 함량 변화는 시차는 있으나 대조구와 spermine 동시 처리구가 유사하여 증가 후 감소하였으며 MGBG 처리구는 감소 후 증가하였다. Amylase의 활성은 대조구와 MGBG 처리구에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altase의 활성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invertase의 활성은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열풍팽화 및 자숙한 벼와 보리의 알코올 발효성 비교 (Comparison of Alcohol Fermentation from Husked Rice and Barley Cooked by Hot Air Puffing and Steaming)

  • 김동한;백승화;최이섭;김중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297-301
    • /
    • 1995
  • 벼와 보리를 팽화시켜 당화와 알코올 발효 효율을 자숙처리와 비교하였다. 쌀의 경우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당화는 팽화처리가, 보리의 경우 자숙처리가 유리하였다. 당화효율은 찰벼의 팽화미가 91.28%로 메벼에 비하여 높았다. 쌀과 보리의 알코올 발효는 팽화처리가 자숙처리에 비해 알코올 생성량이 약간증가 되었으나 발효기간이 단축되었다. 발효 효율은 팽화처리 쌀이 90.72%, 자숙처리 쌀이 87,77% 이었다. 발효 후 술덧 중의 비발효성당은 보리가 많았고 술덧의 pH는 발효기간 중에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팽화처리구에서 높았다.

  • PDF

유근피(楡根皮)로부터 단백다당체의 분리 및 항암 면역활성 연구 (Separation of Glycoprotein and its Anticancer Immunostimulating Activity from Dried Barks of Slippery Elm [Ulmus parvifolia])

  • 양영렬;김영주;김경화;오유진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47-55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민방이나 한방에서 천연 약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유근피)로부터 수용액 추출물을 분리하여 이 중 단백다당체를 분리하여 성분분석 및 단백다당체가 갖고 있는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느릅나무 추출물 당단백질의 화학적 조성을 보면 총당함량은 55.8∼72.1%였고, 총산성당 함량은 30.0∼30.5%, 총단백질 함량은 5.0∼6.1%으로 수용성 고분자이며, 50 내지 500 kDa 범위의 분자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단백다당체를 구성하는 주요 당성분으로는 글루크론산, 람노스아라비노스, 글루코스, 갈락토스 등이었다. 단백다당체의 면역활성 검정에 따르면 면역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mitogen 역할을 하며, 특히 T세포에 의한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 흑색종 이식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조사한 결과 유의성 있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느릅나무 추출물인 단백다당체가 3mg/kg 군에서 가장 강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어 용매대조군에 대해 약 140% 생존연장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느릅나무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P]이 생산하는 당화합물의 항암 면역활성 연구 (Immunostimulating Exopolysaccharide with Anticancer Activity from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 Screened from Ulmus parvifolia)

  • 양영렬;김영주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54-5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에서 분리한 신규 균주인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을 사용하여 세포밖 당화합물(exopolysaccharide, EPS)을 생산하여, EPS의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EPS는 총당함량이 43.0% 내지 70.8%였으며, 총산성당 함량은 7.1% 내지 11.4%, 총단백질 함량은 19.3% 내지 20.6%로, 분자량은 100,000에서 1,000,000 Da의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EPS의 당구성성분을 보면 glucuronic acid (46.7%), fucose(10.8%), fructose (0.2%), glucose(29.9%), galactose(11.0%)이었고, 이외 미지의 성분이 1.3% 정도였다. EPS의 면역활성 검정에 따르면 EPS는 면역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mitogen역할을 하며, 특히 T 세포에 의한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내었다. B16 흑색종 이식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관찰한 결과 유의성 있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인 유근피 추출 단백다당체의 결과(3 mg/kg에서 약 140%의 생존연장효과를 보임)와 비교해 볼 때 1/10의 농도인 0.3mg/kg에서 약 138.1%의 비슷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San Francisco의 두 현대 미술관, SFMOMA와 De Young Museum (Two Modern Museums in San Francisco: SFMOMA and De Young Museum)

  • 정진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4호
    • /
    • pp.7-22
    • /
    • 2007
  • In San Francisco, two new museums were recently built in 1995 and 2005. The one is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designed by Mario Botta and the other is De Young Museum designed by Jacques Herzog & Pierre de Meuron. The urban settings for the museum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ories of the architects are evolved on different branches in the modernist trends. The theories and settings are followed by the representation in the forms, facades, interior spaces and towers. SFMOMA is located on the SoMa area, which was recently developed into a cultural urban core with Moscone Center and Buena Yerba Garden. De Young Museum was rebuilt in the old museum site in the Golden Gate Park. The one is on the context of urban artefacts and the other on the context of natural artefacts. To Botta, the museum in today's city plays a role analogous to that of the cathedral of yesterday. It is a place of common encounter and confrontation. The volume of SFMOMA which is geometrical and symmetric with double pylons. The frontality on the street and public green open space and the axiality of SFMOMA runs through the Buena Yerba Garden over Buena Yerba Center for the Arts are reminded us of an urban core with a religious monument and a city square. The staircase with grandiose design in the atrium seems to work as an altar with lighting from skylight above enhancing the liturgical ambiance. De Young Museum is shaped in a rectangle with long narrow courtyards. Three bands of volumes are juxtaposed and the nature flows into the museum corridors and galleries. The tower is distorted so as to be aligned to the street grids of the surrounding area. The copper panel of De Young Museum and natural context evoke modern concept of "machine in the garden". The two museums from different pedigrees of Modern Architecture are now major landmarks of SF and urban expressions for the 21st centu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