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단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23초

구상성단 M15에서 점근거성계열성에 의한 화학적 진화의 영향

  • 장소희;주석주;노동구;한상일;김용철;김도균;이영욱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1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0권1호
    • /
    • pp.20.4-21
    • /
    • 2011
  •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점근거성계열 단계에서 방출된 질소, 탄소, 산소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원소들이 헬륨과 함께 구상성단의 화학적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Ventura & D'Anatona(2009)에 의하면 M15와 같이 중원소 함량이 낮은 구상성단일 경우 이 영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우리는 이 효과가 구상성단 M15의 특이 수평계열 형태 및 Sandage 주기 천이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질소 및 헬륨 함량이 대폭 증가된 항성진화트랙 및 종족합성모델을 구현하였다.

  • PDF

원시 구상성단과 은하 빌딩블럭의 새로운 화학적 진화모델 (New insights on the chemical evolution in proto-globular clusters and galaxy building blocks)

  • 이영욱;김재연
    • 천문학회보
    • /
    • 제42권1호
    • /
    • pp.29.2-29.2
    • /
    • 2017
  • 초기 우주의 구상성단과 같은 소규모 은하 빌딩블럭이 은하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화학적 진화모형을 구축하였다. 최근의 이론적 진보를 바탕으로 우리의 모델에서는 이전 모델과 달리 초신성의 폭발과 분출물이 원시 구상성단 내 잔존 가스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대부분 빠져나간다. 이 경우 화학적 진화는 질량이 큰 별의 윈드와 점근거성계열성의 분출물에 의해 좌우된다. 놀랍게도 우리의 모델은 오랜 난제인 구상성단 내 Na-Oxygen anticorrelation 및 다중항성종족의 기원을 자연스럽게 설명하면서 동시에 Lee, Joo, & Chung (2015) 이 최근 주장한 것처럼 은하벌지에 헬륨 함량이 매우 높은 항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 결과는 은하의 헤일로와 벌지 형성에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PDF

우리 은하의 초기 Building Block으로부터 유입된 subdwarf B 항성의 개수 추정

  • 나종삼;이재현;손상모;한상일;이영욱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46.1-146.1
    • /
    • 2011
  • 최근의 관측에 의하면 우리 은하의 헤일로내 field에 위치한 subdwarf B 항성이 헬륨이 증가된 구상성단의 푸른 수평계열성 ( Extreme Blue Horizontal Branch ) 과 동일한 기원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초기 우주 환경과 비슷한 헬륨 함량을 보이는 환경에서는 Building Block 내부 이외에는 헬륨이 충분히 증가된 가스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기원을 가지는 sdB 항성의 개수를 예측함으로써 우리 은하의 초기 Building Block으로 부터 얼마나 많은 수의 항성이 헤일로에 뿌려졌는지 예측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은하내 나이가 많은 항성들로 이루어진 헤일로와 Bulge 내에 이러한 기원을 가지는 sdB 항성의 개수를 예측한 결과, 초기 Building Block으로 부터 유입된 sdB 항성이 최소 8만 여개 이상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개수는 우리 은하 구상 성단 중 은하 Building Block의 잔재로 생각되는 성단에 존재하는 헬륨이 증가된 수평계열성의 총 합의 10배 이상의 규모에 해당한다. 이는 이들 성단이 은하 생성 초기에는 현재의 질량 규모보다 최소 10배 이상 무거웠을 것이라는 가정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 PDF

저온에 의한 수도의 Discoloration 발생에 관한 연구-온도에 의한 가용성단백질구성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leaf discoloration caused by low temperature-Change of soluble protein components by temperature -)

  • 박경배;전중효행;원전이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
    • /
    • 1978
  • 단백질구성 변화를 여러가지 온도조건에서 Japonica형인 진흥, Indica$\times$Japonica교잡품종인 통일, 밀양 2003, 영남조생, 유신등을 공시하여 'Growth Cabinet'를 사용하여 검토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온하에서 엽록소함양감소는 Japonica형 품종보다 Indica형 품종에서 심하였다. 2. 단백질구성비(저분자가용성단백질에 대한 고분자가용성단백질의 비)는 고온하에서 높았고, 저온하에서 낮았다. 3. 품종간 단백질구성비는 저온하에서 Japonica형 품종보다 Indica형 품종이 낮았다. 4. 엽신의 엽록소함양과 가용성단백질구성비와는 정의 유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연두금파리의 난세포성숙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난특이성단백질의 특성 (Protein Contents During Oocyte Development and Some Characteristics of Egg-Specific Protein in Lucilia illustris)

  • Lee, Jong-Jin;Man-Young Choi;Hee-Kwon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0-146
    • /
    • 1995
  • 연두금파리의 난세포성숙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난특이성단백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gel filtration, 전기영동 및 분자량측정, 아미노산과 지방산함량을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같다. 연두금파리 암컷성충의 난소단백질은 단백질원을 섭식시킨 후 72시간 이후 빠르게 증가하였고, 완전한 성숙이 일어나는 96시간에 최고의 함량을 나타냈다. DEAE-cellulose와 Sephacryl 5-200으로 gel filtration하고 7.5% native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결과 난소에서 분리된 특이단백질은 ${R}_{f}$ 0.4에서 혈림프 및 난소와 다른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분자량은 110,000 dalton이였다. 분리된 난특이성단백질내 아미노산 조성은 asparagine 외 모두 13종이 검출되었으며, asparagine, glutamic acid와 함께 tyrosine이 특이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은 난소와 함께 난특이성단백질에서 palmitic acid의 4종이 분리되었다. 따라서, 연두금파리의 난에는 지방체에서 합성, 분비된 난황단백질이외에 난소에만 존재하는 특이단백질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g, r, i 필터에 대한 Yonsei-Yale Isochrones의 분석과 적용

  • 임동욱;한상일;천상현;정미영;장초롱;한미화;김묘진;손영종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53.1-53.1
    • /
    • 2010
  • $Y^2$(Yonsei-Yale) Isochrones은 Yale의 항성 진화 계산을 이용한 정밀한 등연령곡선으로 구상성단의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Y^2$-Isochrones를 Kurucz 모형을 이용한 색변환을 통해서 SDSS로 널리 알려진 ugriz 필터 체계에 대해 적용하고 실제 관측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우선 ugriz 필터의 등연령곡선을 제공하는 BaSTI와 DSEP, Padova 모델간의 비교를 통해 $Y^2$-Isochorones이 MSTO에서 g-r값이 다른 모델에 비해 0.05정도 큼을 확인하였다. 또한 CFHT 3.6m 망원경의 가시광 카메라 MegaCam으로부터 얻은 중원소 함량이 낮은 다섯 개의 구상성단 M15, M30, M53, NGC 5053, NGC 5466에 대한 g, r, i 필터의 색등급도에 각각의 등연령곡선을 적용하여 모델에 따른 구상성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Y^2$-isochrones를 이용한 (g-r, r) CMD의 분석 결과, BaSTI와 DSEP 모델에 비해 0.1~0.3만큼 거리지수가 크고, 성단의 나이는 1~3Gyr 정도 어리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SDSS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구상성단에 대한 색등급도와 비교 분석과정을 수행하여, 다른 망원경에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각 모델에 따른 등연령곡선의 차이를 확인하고, 현재 여러 망원경에서 사용되고, 앞으로 여러 대형망원경에서 사용될 ugriz 필터 체계에 $Y^2$-Isochrones를 적용할 수 있는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늙은 산개성단 NGC 2420의 헤일로 구조 (Halo structure of old open cluster NGC 2420)

  • 이상현;강용우
    • 천문학회보
    • /
    • 제39권2호
    • /
    • pp.87.1-87.1
    • /
    • 2014
  • 우리는 늙은 산개성단 NGC 2420의 외곽 헤일로 구조를 연구하였다.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의 DR10 자료에 공개된 g, i의 영상을 이용하여 psf측광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측광 자료로부터 g vs (g-i) 색-등급도, 별들의 공간분포 및 측광학적인 비 구성원별들의 공간분포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4차원 구성원 확률을 얻었다. 구성원 확률을 고려한 유효 밀도 분포를 조사하여 밝은 별과 어두운 별의 반경에 따른 분포특징을 통해 질량 분리의 증거를 살펴보았으며, 성단 외곽 헤일로의 구조에 대해 고찰한다.

  • PDF

산개성단 NGC 1245와 NGC 2506의 측광 연구

  • 이상현;강용우;안홍배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60.1-60.1
    • /
    • 2012
  • 구경 3.6m의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Canada-France-Hawaii Telescope, CFHT)의 주 초점에 설치된 CFH12K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늙은 산개성단 NGC 1245와 NGC 2506에 대한 V와 I필터를 이용한 CCD측광을 수행하였다. 관측된 영역은 NGC 1245는 84'${\times}$82', NGC 2506은 42'${\times}$81'이고, 한계등급 V ${\approx}$ 23등급까지 관측하였다. 이론적인 등연령곡선을 사용하여 NGC 1245와 NGC 2506에 대해 각각 물리량 E(B-V) = 0.2, 0.03, (V-M_V)_0 = 12.5, 12.5, log(age) = 9.0, 9.3으로 구하였다. 이로부터 MV ${\approx}$ 10등급까지의 광도함수와 질량함수를 구하였다. NGC 1245와 NGC 2506의 질량함수의 기울기를 각각 ${\Gamma}$ = -1.26${\pm}$0.04, ${\Gamma}$ = -1.27${\pm}$0.07로 얻었고, 이들의 기울기는 태양부근의 낱별의 질량함수의 기울기에 비해 완만하다. 이는 성단에서 질량이 작은 별들의 질량 증발에 의한 역학적 진화의 효과로 보인다. 본 발표에서는 관측 내용과 그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Photometric Parameters and Morphology of the Proplyds in the Orion Nebula Cluster

  • 김슬기;성환경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86.1-86.1
    • /
    • 2017
  • 오리온 성운은 지구와 매우 가까이에 있고, 무거운 별이 포함된 성단과 성운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오리온 성운 성단은 가장 많이 연구된 천체 중 하나이다. 1993년 HST를 이용한 오리온 성운 성단의 관측으로 나이가 어린별을 둘러싼 물질의 실루엣을 처음으로 보았다. 이후 이러한 천체를 원시행성계원반(protoplanetary disk, Proplyd)이라 불렀으며, 그 형태와 구조, 물리적 과정에 대해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상관측에서 얻은 UBVI 및 Ha 측광 자료와 원시행성계원반을 상호 동정하고, 원시행성계원반의 형태학적 특징과 측광인자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Spitzer 중적외선 자료와 Natta et al.(2004)의 근적외선 자료를 통합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초과와 근적외선 방출선을 이용한 질량 강착률 등의 해석에서 주의해야 할 천체들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