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관계 경험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1초

청소년의 성관계와 피임

  • 배진솔
    • 레드리본
    • /
    • 통권59호
    • /
    • pp.36-37
    • /
    • 2004
  • 성관계를 경험하는 연령이 점차 어려지고 있다. 사랑한다면 '성관계'도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요즘 청소년들,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로 임신, 성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을 하는 걸까?

  • PDF

대학생의 성태도, 부모의 성태도, 우울이 성관계 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xual Attitude, Sexual Attitude of Parents, and Depression on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 이은미;김가영
    • 스트레스연구
    • /
    • 제25권3호
    • /
    • pp.155-161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태도, 부모의 성태도, 우울이 성관계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성태도, 성경험, 우울과 관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인의 성태도,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태도, 우울, 거주형태, 성별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본인의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어머니의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우울감이 적을수록 성관계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관계 경험은 대학생 시기뿐만 아니라 앞으로 성인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올바른 성태도를 통해 주체적이고 책임감있는 성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과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체계적이고 다양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겠다.

원하지 않은 성관계 요구에 대한 한국 여대생의 반응 유형 및 특성 (Korean Women's Response Type and Characteristics on Unwanted Sexual Request)

  • 조정화;송원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511-518
    • /
    • 2017
  • 본 연구는 원하지 않은 성관계 요구에 대한 여대생들의 반응 유형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지방 소재의 2개 대학 여대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원하지 않은 성관계에 대한 반응척도에서의 점수 분포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주장형'과 '순응형'의 두 집단을 구분하였다. 주장형에 비해 순응형의 성경험, 원하지 않은 성관계 응낙 경험이 많았고, 성관계 응낙의 동기가 높았다. 또한 순응형은 애착이 불안정하고, 거부민감성이 높고 외로움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원하지 않은 성관계의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기 위한 보건, 교육 및 심리적 시사점과 개입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쿠바, 아바나 청소년의 성행동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Sexual Behavior of School Teenagers in Havana, Cuba)

  • 마이빈 에레라 산체스;이가람;에디스 콘트레라스 디에고;루벤 데 아르마스 몰리나;남은우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60
    • /
    • 2020
  • 서론: 청소년기는 여러 생물학적 변화 및 사고방식의 발전과 함께 성행위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인간성장의 단계이다. 쿠바를 포함한 많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청소년들의 성관계 조기 시작과 같은 위험한 성행동을 보고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인구 통계학적 요소, 정보 수단 및 쿠바의 십대 학생의 성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 요소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쿠바 십대들의 생식 및 성적 행동 경향 파악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260명 중 성경험 여부에 응답한 232명에 대해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파악과 성 관련 정보수집수단, 행동적 요인과 성행동 사이의 연관성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6.9세이고 대다수는 여성(64.2%)이었다. 232명 중에 45.3%는 무신론자, 31.2%는 유신론자이었다. 종교의 중요도에 대한 생각은 39.2%가 종교가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했고 34.0%는 중요하다고, 14.0%는 종교가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232명 중 80.5%의 십대들이 성관계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첫 성관계 평균 연령은 14.65세였다. 피임약을 사용한 비율은 63.8%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 성별은 성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남성은 여성보다 성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3.8 배 더 높았다. 또한, 종교는 성관계와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나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가 한 살 많아질수록 성관계 가능성은 2.29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성 관련 정보수집수단과 관련하여 친구와 학교의 성교육 커리큘럼이 청소년들의 성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결론: 쿠바 십대들의 연령과 성별은 성행동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쿠바의 십대들은 친구와 학교로부터 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므로 학교에서 보다 종합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의 십대들의 성행동 문제를 다룰 때 영향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성관계 경험이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ual Intercourse on Suicida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 김현식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3-191
    • /
    • 2015
  • Purpose: For the current article an examination was done as to whether engaging in sexual intercourse before or during adolescenc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suicidal behaviors of suicide ideation, suicide attempt, and suicide lethality and whether the impact varie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sexual intercourse and/or gender. Methods: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asual sex and romantic sex were compared to adolescents who retained their virginity. Data was from samples drawn from the three waves (2010~2012)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Logistic models were used to adjust for a wide array of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Any type of sexual intercourse increases risk of all suicidal behaviors. Sexual intercourse in a romantic relationship exhibits enhanced risk of suicidal behaviors compared to casual sex. Adjusting for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however, decreases risk of romantic sex substantially, turning some estimate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addition, risks for suicide lethality are greater for girls than boys. Conclusion: Romantic sex put adolescents at higher risk for suicidal behaviors than casual sex owing to prevalent sexual violence in the relationships. Girls suffer more substantively adverse outcomes than bo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will benefit from comprehensive education on sexuality and sexual behaviors regarding how to form and maintain a romantic relationship that is characterized by personal integrity and mutual respect. It is also important to help victims of sexual violence recover from traumatic events by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nd effective counseling.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 분석: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 이용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 손예동;최혜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73-8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다문화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로,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은 8.2%로 피임 방법은 콘돔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청소년은 학교에서 성교육을 들은 경험이 있었다. 이들의 성관계 경험은 학년, 학업성적, 경제상태, 거주형태, 스트레스, 평생 음주 및 흡연 경험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의 성행태에 관련이 있는 요인을 반영하여 성교육을 하는 것이 이들의 성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다.

중학생의 성관계 경험 영향요인: 제8차(2012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를 이용하여 (Factors that Influence Sexual Intercour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8^{th}$ (2012)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권석현;이정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6-8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sexual intercour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Using statistics from the 8th (2012)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sample comprised 37,297 middle school students aged primarily 12 to 15. Result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xual intercourse were grade, ever smoking, ever drinking, habitual or purposeful drug use, economic status, weekly allowance, cohabitation with family, and type of school.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nsified sex education is needed not only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but also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exual health interventions for high-risk groups may be needed, given the factors predicting sexual intercourse.

한국 청소년의 성 행태와 성 경험 (Sexual Behaviors and Sexual Experience of Adolescents in Korea)

  • 이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1-8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성 행태와 성 경험을 파악하고,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향후 성 건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2년 제8차 청소년 온라인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중 고등학생 74,186명이며, 기술통계, $X^2-test$,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관계를 경험한 학생은 중 고등학교 청소년 중 4.3%였으며, 이중 남학생은 5.9%, 여학생은 2.6%로 남학생들의 성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남학생이 학교급, 아버지 학력, 사회경제적 상태, 아르바이트경험, 학교 성교육경험, 거주형태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여학생은 학교급, 학교유형(공학여부), 사회경제적 상태, 아르바이트 경험, 학교성교육경험, 거주형태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남녀모두에서 성 경험에 승산비가 가장 컸던 변수는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른들에 의한 물리적 성폭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거절기술이나 의사소통기술과 같은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학교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남녀 청소년들이 학교 성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에 비해 성관계 경험이 유의하게 적었던 만큼 학교에서의 성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아르바이트경험이 중 어른이나 혹은 물리적 힘에 의한 성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지에 대한 지표를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반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거절기술이나 의사결정 기술 등 생활기술을 반영한 학교성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생들의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탐색이유와 사이버섹스에 대한 인식: 성별과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이용량을 중심으로 (Motivations for Internet Pornography Search and Perception on Cybersex: Focusing on Gender and Internet Pornography Use)

  • 심재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48-157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탐색 이유와 사이버섹스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성별과 기존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이용량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이용경험이 있는 남녀대학생 203명의 응답을 이용했다. 인터넷 포르노그래피 탐색이유는 파트너와의 성관계, 자위행위, 성적호기심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남성들은 직접적 성관계와 자위행위를 위한 도구적 차원에서 탐색하고 있었지만, 여성들은 성에 대한 궁금증 및 무료함을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탐색하고 있었다. 사이버섹스는 대안적 섹스와 실제 섹스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남녀 모두 온라인에서 파트너와 성적인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성적행위를 하는 것에 대해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성관련 건강에 대한 함의가 함께 논의되었다.

남성노인 성생활 실태 및 만족도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Male Elderly's Sexual Life and It's Satisfaction in Daegu Area)

  • 김한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14-32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성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성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에 걸쳐 직접면담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 가운데 259개가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약 29%는 성생활을 지속하고 있으며 성생활에 만족하는 응답자는 약 55%이었다. 연령, 배우자유무 그리고 가구형태 등의 변수들이 남성노인의 성생활지속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성관계횟수, 질병수, 그리고 성병경험여부 등의 변수들이 응답자들의 성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