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과중심 평가

Search Result 1,43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P와 DEA 결합모형을 통한 은행의 성과 평가방법론에 관한 연구

  • 임병학;박철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940-947
    • /
    • 2003
  • 은행의 지점을 하나의 책임중심점 (Responsibility center)으로 볼 때 원가중심점. 수익중심점, 이익중심점 및 투자중심점 등 네 가지 형태중의 하나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행의 지점을 여러가지 투입물을 이용하여 여러가지의 다양한 산출물들을 생산 및 판매하는 이익중심점(Profit Center)으로 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익중심점으로서 은행의 지점을 평가하는 경우 기간이익이라는 종합적인 성과 측정치가 있으나 기간이익은 그 성과가 경쟁가격의 변화에 따른 것인지 업무의 효율에 의만 것인지 구별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효과를 가지는 생산성. 즉 생산과정에 중점을 두고 평가하고자 한다.

  • PDF

제조시스템에서 성과지표 중심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방법론의 개발

  • Mun, Byeong-Geun;Jo, Gyu-Gap;Kim, Jun-Hyo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246-263
    • /
    • 2004
  • 신뢰성 있는 프로젝트 가치평가를 위해서는 프로젝트 투자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계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통적으로 제조시스템에서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는 재무적 방식에 의한 평가에 기초해 왔다. 그러나 제조시스템에서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는 재무적 방식에 의한 평가에 기초해 왔다. 그러나 제조시스템에서 품질, 재고, 리드타임 등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화폐가치로 정량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재무적 성과지표와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모두 고려하는 성과지표 중심의 프로젝트 평가방법의 개발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프로젝트 평가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불확실성을 확률분포로 고려하는 평가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과지표 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프로젝트 투자에 의한 개별 성과지표의 개선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론에 관한 기존연구는 거의 없다. 본 논문은 제조시스템에서의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공리적 설계에서의 정보공리의 정보량 개념을 이용한 프로젝트 평가방법론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 성과지표의 정보량 계산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해 고찰하고, 해석적 분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적용에 대해 서술한다.

  • PDF

민간기업 연구개발활동의 성과지표 개발

  • 배종태;봉선학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1997.12a
    • /
    • pp.45-69
    • /
    • 1997
  • 최근들어 환경변화가 가속화되고 기업의 환경적응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R&D 활동의 평가과정이 학습의 핵심적인 단계로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R&D 활동에서 결과 중심적 접근, 사업부와의 연계 등이 강조되면서 구체적 R&D 성과평가가 연구관리(R&D management)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있다. 그러나 그동안 R&D 성과평가는 R&D 활동 자체가 불확실성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으며 최근에 들어 R&D 성과평가 부문이 연구관리 및 기술경영분야의 도전적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R&D 성과평가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접근방법과 성과 지표의 내용, 성과지표의 선택 및 개발절차, 향후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기업 연구개발활동의 성과평가에 적용가능한 평가의 분석틀(framework) 및 관점(perspective)을 제시하였다. 기존 평가모형에 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종합적, 체계적인 평가분석틀을 도출하고, 측정가능한 성과지표군을 제시하였다. 또한 성과지표들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분류에 따라 적용가능한 성과지표군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 기업별 특성을 고려하고 경영전략과의 연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4단계의 R&D 성과 평가지표 개발절차를 도출하였다. 셋째, 향후연구를 위한 성과평가 연구분야의 주요 연구과제들을 5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 of Subjective Performance and Objective Performance in Voucher Service: Focusing on Organization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Level (바우처 서비스 제공기관의 객관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의 연계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관운영의 효율성과 이용자 만족도 차원을 중심으로-)

  • Shin, Chang-Hwa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3 no.2
    • /
    • pp.5-29
    • /
    • 2012
  • Previous performance evaluation focusing on objective data of service agency has the limitations that did not reflect user-centered evaluation. With the expansion of voucher service, importance of perspective of service user such as satisfaction index is increasing. As voucher service has been delivered by the financial burden of government and user, we ne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both performance indices to meet the accountability of two stake-holders. So this study focuses on deriving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developing systems what mixed objective and subjective performance. Data used in this study is collected form 70 social service agencies that deliver voucher service and 1445 service users. Using General Satisfaction Index and Efficiency Index by DEA, this study analysed the correlation between efficiency and satisfaction index, and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is constructed through portfolio map.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ains the relation of objective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and gives practical guidance in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on and interpretation of performance.

A IT 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Model Based on Val IT for IT Governance (IT 거버넌스를 위한 Val IT 기반의 IT 서비스 관리 성과지표 모델)

  • Choi, Y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724-1727
    • /
    • 2012
  • 기업들은 ITIL 기반의 IT 서비스 관리체계 도입으로 IT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인 가치 평가를 기대하고 도입한다. 하지만 기업들의 IT 서비스 관리체계의 성과지표들은 관리 중심적인 성과모델로써 가치 평가보다는 IT 운영 관리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IT 거버넌스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한 가치 연계와 책임 추적성, 성과 측정 및 위험 관리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가치 중심의 성과지표 모델을 통해 IT 거버넌스를 지원하고, 기업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투자관리를 통해 기업 가치 향상과 투명한 IT 투자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e Effects of Performance-based HR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In the Case of a Public Corporation (성과주의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공기업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 Lee, Eui-Joo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7 no.3
    • /
    • pp.137-14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positive impacts of PB(performance-based) HRM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public corpor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PB staffing', 'PB appraisal', 'PB compens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are 'JS(job satisfaction)', 'OC(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PB staffing' shows positive impact on both 'JS' and 'OC', but 'PB compensation' doesn't show positive impact on both 'JS' and 'OC'. Also, it is found that both 'PB appraisal' and 'PB compensation' do not show positive impact on 'OC'. 'PB appraisal' shows positive impact on 'JS', though. From the empirical analysi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B-HRM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partially verified. It is thought that these mixed results are originated from the particular situation in which the surveyed corporation is placed. After the merger of the corporation in 2009, even though it has introduced various PB-HRM systems, it has been through a harsh time such as wage freeze and return as measures of business normalization. This organizational situation may influence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normal PB-HRM.

The Effectiv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Focus Daedeok Innopolis Research Institutes (공공 R&D 기관의 효과적인 기술사업화에 관한 연구 - 대덕특구 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

  • Yang, Young-Seok;Choi, Jong-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232-236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대덕특구내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06년부터 도입한 연구소기업 제도가 연구소기업의 성과창출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은, 첫째 현 단계 연구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현재 지정된 16개 연구소 기업중 일부인 5개 표본 연구소기업의 경영성과를 재무요인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연구소기업의 설립 및 운영제도에 대해 기술사업화 성과제고 측면에서 그 효과성을 평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구소기업의 설립과 운영과정이 실질적인 기업성과를 창출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양적성과 중심의 제도개선 보다는 효과적인 연구소 기업 기술사업화 모델이라는 소프트웨어적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소기업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대덕특구 내 설립된 연구소기업이 당초 의도했던 기술사업화 성과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더 나아가 향후 창출될 연구소 기업의 선정, 평가, 지원 등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평가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Each Stage of Public Informatization Projects Implementation (공공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항목 개발)

  • Jung, Hae-Yong;Kim, Sang-Ho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323-33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사업의 성과는 직접적으로 하나의 효과만을 발생시키지 않고 다양한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성과로 발생된다는 점에서 정보화사업의 추진단계를 사업추진 전(前) 단계(사전평가), 사업추진 진행단계(진행평가), 사업추진 완료 후 운영단계(사후평가)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정보화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추진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개발은 정보화사업 평가항목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외 공공부문에서 실제 적용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도출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의 중점연구대상 정보화사업인 문화정보화사업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각 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으로는 사전평가에서는 사업추진 계획영역의 비용산정적정도, 사업적 타당도, 전략적 타당도, 위험도분석, 추진계획적정도의 5개의 평가항목으로, 진행평가에서는 사업추진 실행영역의 사업추진효율성, 자원관리적정도, 아웃소싱관리적정도 등 3개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후평가에서는 정보시스템 구축성과 영역의 경우 시스템품질, 정본품질, IS 서비스 품질을, 정보시스템 운영성과 영역은 시스템의 활용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조직 및 경영성과 영역은 사업적 기여도와 전략적 기여도를 각각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각 평가항목별 세부 평가항목을 함께 제안하였다.

  • PDF

신기술 사업화를 위한 기술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기술성 및 사업성을 중심으로)

  • Park, Jin-Seop;Choe, Jong-Hwa;Im, Chun-Seong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649-662
    • /
    • 2009
  • 일반적으로 기술평가는 무형의 기술을 대상으로 그 기술의 기술성, 사업성, 시장성을 검토하여 기술을 금액, 등급, 점수, 의견 등으로 표시하는 평가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Cordon, 1994), 평가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술평가유형이 존재한다. 최근 기술의 사업화가 선진경제구현의 핵심 매커니즘으로 부상함(박종복, 2008)에 따라 성공적인 신기술 사업화의 선행절차로서 기술평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의 사업화 관련 선행연구 및 그것을 추진하는 기관들은 기술의 기술성과 사업성을 중심으로 신기술을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신기술 사업화 목적의 기술평가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기술성과 사업성의 균형 있게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기술의 평가를 위해 기술의 기술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기술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