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치 작업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23초

갱폼 거푸집 시스템 (Gang Form Work System)

  • 박병근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5-20
    • /
    • 2002
  • 갱폼이라 함은 주로 고층 아파트에서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 동일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벽체 거푸집과 거푸집 설치ㆍ해체작업 및 미장ㆍ치장(견출) 작업발판용 케이지(cage)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여기서 케이지는 갱폼에서 외부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거푸집 설치ㆍ해체작업, 후속 미장, 치장(견출) 등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작업발판, 안전난간 등으로 구성되어 갱폼 거푸집에 결합된 부분이며, 상부 케이지는 갱품 케이지의 4단 작업발판 중 거푸집 설치ㆍ해체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상부 2단 작업발판 구성 부분이고, 하부 케이지는 미장ㆍ치장(견출)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하부 2단 작업발판 구성 부분을 말한다.(중략)

시스템비계의 현장적용 확대 연구로 품질 및 안전제고 (Enhanced Quality and Safety by Expanding Field Application of System Scaffolding)

  • 정우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232
    • /
    • 2022
  • 건설 현장이나 일반 제조업 현장은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작업시, 필요한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위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이를 가설비계라고 한다. 이러한 가설비계는 작업자의 안전 통행과 작업을 위한 받침대 역할, 장비나 공구, 자재를 임시 적치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는데 일반 건축물과 중후장대한 조선소 블록 제작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가설설비라는 특성으로 비계와 관련된 연구가 부진하고 사업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주 또한 진출을 가볍게 생각하고 있으며 해당 공사에 임하는 작업자의 산업으로의 진입문턱도 낮은 등으로 시공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설치후에는 품질검사가 어려워 작업자의 숙련도나 진정성 등에 의한 주관적 작업 결과물이 설치된 시설물을 사용하는 주변 작업자에게는 불안전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가설 구조물 설치를 회피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어 왔는데 이것이 시스템비계이다. 이러한 시스템비계에 대한 사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등의 정부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제약과 동시에 장려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적 발주나 일부 대기업그룹 외의 중소 현장에는 그 확산 속도가 높지않은 편이다.

  • PDF

데크 크레인의 리프팅 설치 작업에 대한 안전성 평가 (Safety Assessment for Installation of Deck Crane by Lifting)

  • 유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680-3684
    • /
    • 2015
  • 조선소에서 데크 크레인은 지상에 설치된 타워 크레인이나 해상 크레인을 사용하여 리프팅 설치 방법에 의해 선박에 탑재된다. 데크 크레인의 두 점 리프팅 설치 작업 시에는 임시 고정 지그 등을 사용하는데, 안전한 리프팅 작업을 위해서는 고정 지그의 형상 및 설치 위치를 고려한 리프팅 안전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크 크레인 및 고정 지그에 해당하는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각각 생성하고, 리프팅 반력 및 경계 조건을 적용한 구조 해석을 수행하여 리프팅 설치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안전성 평가 방법은 다양한 데크 크레인의 리프팅 설치 작업 시에 보다 안전한 리프팅 작업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해석적 툴로 활용될 수 있다.

Real-Time 조종 및 작업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해양구조물 설치 작업 시뮬레이션 (Offshore Platform Installation Simulation Using Real-Time Maneuvering and Operation Simulator)

  • 이종현;한소령;박동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동명대학교 조선해양시뮬레이션센터의 Real-time 조종 및 작업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해양구조물 설치 작업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상의 동적 특성 및 물리적 현상을 작업, 조종 사이의 상호 영향과 함께 분석한다. 8개의 계류삭에 의해 계류되는 반잠수식 시추선의 설치 작업 시뮬레이션이 실제 현장에서의 작업과 유사한 시나리오로 수행되었고, 시추선의 위치 제어를 위한 예인선 4척와 계류삭의 Hook-up 작업을 위한 해양플랜트 지원 선박 1척이 운용되었다. 설치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대상들의 운동과 이동 경로, 계류삭 및 예인줄에 가해지는 장력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작업 과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작업과 조종 시뮬레이션이 동시에 수행된 본 연구로부터 특정 환경 외력하에서 설치되는 해양구조물과 이를 위해 운용되는 선박들의 작업 절차에 따른 세부적인 거동 및 작업·조종 간의 상호 영향을 확인하였고, 이는 해상 상태 등을 고려한 해양구조물 설치 작업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강관등표 도장방식 연구

  • 곽인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1
    • /
    • 2018
  • 국내 연안에 설치된 항로표지(등부표,등대 등) 대부분이 철근 콘크리트 형식으로 제작 설치 되어 있다. 초기 구조물 제작시 파손 및 전단, 염해에의 한 콘크리트의 부식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일반적인 색상표시 도장방식으로 마감처리 하여 설치 하였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파손, 도장부의 탈락으로 인하여 매년 유지보수비용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식진행 후 현장여건상 보수도장이 취약하고 보수 후에도 내구성 부족(방오수명 2년~3년)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항로표지의 신규 설치시 강관조 형식의 설계적용이 요구되며 강관조의 가장 큰 취약점인 부식(녹)에 대한 방오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 설치된 해상 금속구조물의 경우 보수작업시 장비반입, 작업시간, 작업여건 등이 비말대, 간만대에 따라 변동 하므로 원칙적인 보수가 불가능한 상황에 있다. 그러므로 초기 제작시 부식에 대한 방오도장이 시행 되어야 한다. 기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 등표는 원칙적인 구조보강 검토 후 염해, 중성화 방지 도장을 시행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환경개선사례-타워크레인의 설치.해체 작업 안전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환경기술인
    • /
    • 제25권통권261호
    • /
    • pp.26-30
    • /
    • 2008
  • 최근, 뉴스 등에서 타워크레인 붕괴사고로 인한 사망사고를 심심치 않게 듣게 되는데 타워크레인은 건축공사 현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설비임에 틀림없다. 타워크레인을 많이 설치하고 또 많이 사용하는 만큼 안전이 무엇보디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번 호에는 타워크레인이 어떻게 설치되고 또 어떻게 해야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 PDF

SPM 설치에 따른 해상교통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윤귀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9-541
    • /
    • 2013
  • 울산 신항 남항지구에 설치되는 SPM은 설치 위치와 공사의 특성상 제4항로 전면을 일정 기간 잠식함과 더불어 상당히 광범위한 공사구간이 요구됨으로써 제4항로 통항 선박 및 공사구간을 통항하는 선박들의 통항 안전 및 작업선들의 작업 안전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바 이 연구에서는 제4항로의 임시항로 설정과 임시항로의 통항안전성 평가가 더불어 통항 선박 및 작업선의 해상교통 안전대책을 수립하였다.

  • PDF

청평발전소 제3호 발전기 설치장소 폭파작업에 관한 기본조사

  • 우형주
    • 전기의세계
    • /
    • 제15권5호
    • /
    • pp.46-49
    • /
    • 1966
  • 본 조사연구는 한국전력주식회사의 위탁에 의하여 1967년 1월 초순에서 중순에 걸쳐, 서울대학교공과대학 응용과학연구소의 염영하, 현병구, 김동기 제교수와 같이 실시한 것이다. 즉 청평발전소 제3호 발전기(40,000KW) 설치장소의 굴착작업이 이전시설 특히 제1호와 제2호 발전기 및 그 부대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굴착의 최적작업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 PDF

765kV 점퍼V련에서 활선작업 유형별 개폐섬락 특성실험 및 분석 (Switching Flashover Characteristic Tests and Analysis for Jumper V String in 765kV T/L Live Line Works)

  • 김대식;김효진;이형권;한상옥;김주한;구경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20-23
    • /
    • 2007
  • 활선작업시 개폐섬락전압은 철탑형태와 작업유형에 따라 개폐섬락전압이 달리 나타나게 된다. 즉, 활선작업자의 위치, 철탑 종류 및 애자장치 종류 등에 따라 개폐섬락전압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적용하고자 하는 활선공법이 있다면, 이에 대한 개폐섬락전압의 특성을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점퍼V련은 일반적으로 선로의 수평각이 중각도 지역에 설치된다. 즉, 수평각이 너무 커서 조립식 점퍼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철탑에 점퍼V련 장치를 설치한다. 765kV 송전선로에서 실제 점퍼V련 장치가 많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이 경우에도 유지보수 사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활선작업을 위한 실규모급 개폐섬락특성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