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치 기준

Search Result 2,68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oad Safety Judgment Indicators to Establish of Installation Criteria of Safety Facility (안전시설 설치 기준 마련을 위한 도로안전 판단지표 개발연구)

  • Kim, Do Kyeong;Hwang, Jae Seong;Lee, Jae Hyeong;Lee, Cheol K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6
    • /
    • pp.192-202
    • /
    • 2021
  • In the pas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and road safety indice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them to the field, such as using many survey items and variables that are difficult to us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road safety judgment indicators conside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and to prepare criteria for installing safety facilities. As part of the study, data of related systems were reviewed, and the use of variables already in use was figured out. Furthermore, the road safety judgment indicators reflecting traffic, road, and accident factors were developed through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Later, the criteria score for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was derived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analyses suggested, that the installation judgment criterion score at the intersection was lower than that of the single road(crosswalk), and the road risk at the intersection was higher.

Development of An Optimal Lane Assignment Model (방향별 교통량에 따른 적정 차로수 결정모형 개발)

  • 김동재;이의은;강호익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87-94
    • /
    • 2002
  • 2001년 경찰청 $\ulcorner$2001년판 교통사고통계$\lrcorner$ 자료에 의하면 사고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치사율에 있어서 중앙선침범사고가 과속사고와 함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대형 교통사고의 39.5%가 중앙선 침범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00년 한 해 동안 총 사고건수 290,481건 중 중앙선 침범에 의해 18,931건 (6.52%)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사망자 1,472명, 부상자 35,046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14.38%, 부상자의 8.21%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체 교통사고에서 중앙선침범사고가 차지하는 비중 이 높아지고 있어 중앙선침범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중앙분리대, 표지병, 시선 유도봉 등과 같은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을 설치하고 있으나, 해당 시설물에 대한 설치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이렇듯 중앙분리대 설치기준의 부재로 인해 중앙선침범사고 발생과 이에 따르는 경제적인 교통사고 비용손실, 그리고 중앙분리대의 과다설치로 인한 국가 재원의 낭비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기존에 지방부 2차로 도로의 직선부에 대한 중앙선침범사고 예측모델이 개발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그 연장선상에서 지방부 2차로 도로의 곡선부에 대한 중앙선침범사고 예측모델에 대한 중앙선침범사고 예측모델의 개발을 통해 중앙선침범사고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산정하고, 현재 설치하여 운영중인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의 설치비용간의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얻어진 기준으로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 설치의 가부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비용-효율적인 중앙선침범 예방시설물 설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통사고 비용손실을 최소화하고, 중앙분리대의 효율적 설치방안의 도입을 통한 경제적 이익창출을 도모하고자 한다.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에 의한 정도관리 시행

  • 정해조;김희중;김기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51-51
    • /
    • 2003
  • 국민건강보험재정건전화특별법 (제정 2002.1.19 법률 제 6620호)은 건강보험의 재정적자를 조기에 해소하고 재정수지의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건강보험제도의 발전과 국민건강 증진 도모를 그 목적으로 하며, 제14조(특수의료장비의 설치ㆍ운영)에서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특수의료장비를 설치ㆍ운영하고자 하는 때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등록하여야 하며 설치 인정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ㆍ운영하여야 하고 정기적인 품질관리를 받아야한다고 명시하였다. 특수 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제정 2003.1.14 보건복지부령 제235호)은 국민건강보험재정건전화특별법이 제정됨에 따라 특수의료장비의 적정 한 설치와 활용을 위하여 의료기관에서 설치ㆍ운영하는 특수의료장비의 등록절차 설치인정기준 및 품질관리 절차 등을 정하고 특수의료장비에 대한 관리체계를 확립하려는 것이다.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의 주요 골자는 가. 의료기관에서 특수장비를 설치ㆍ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ㆍ도 지사에게 등록하도록 하였는바, 이 등록에 대한 절차와 특수의료장비의 설치인정기준을 정함, 나. 특수의료 장비에 대한 정기적인 품질관리검사를 서류검사와 정밀감사로 구분하여 서류검사는 1 년마다, 정밀검사는 3 년마다 받도록 함, 다. 품질관리검사기관의 장은 특수의료장비품질관리검사성적서를 신청인에게 교부하고, 보건복지부 또는 시ㆍ도지사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위원장에게 검사결과를 통보하도록 함, 라. 특수의료정비를 설치ㆍ운영하는 의료기관의 개설자 또는 관리자 및 품질관리검사기관의 장이 작성ㆍ비치ㆍ보존하여야할 서류를 정함이다. 보건복지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할 특수의료장비는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와 전산화단층촬영 장치이며, 시ㆍ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할 특수의료장비는 유방촬영용장치이다. 본 발표에서는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에 대한 개요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특수의료장비의 정도관리 검사, 팬텀영상검사, 그리고 임상영상검사를 소개하고자한다.

  • PDF

Analysis of RSET According to Exit Installation Standards for the Exterior of a Food Manufacturing Plant Building (식품공장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설치기준에 따른 RSET 분석)

  • Park, Ha-Soung;Lee, Jae-Wook;Kong, Ha-S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2
    • /
    • pp.201-208
    • /
    • 202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the exit installation standards specified in the building code during a food factory fire is compatible with the evacuation time based on the performance-based design specified by the fire department, in order to determine if evacuation safety is ensured. We used the Pathfinder program to confirm the evacuation time, and experimented with three scenarios for exit installation standards toward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60m, 80m, and 100m. The target building in the experiment corresponded to the building code's exit installation standard of 100m from each dwell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t in the cases of 80m and 100m, ASET exceeded RSET, indicating tt evacuation safety was not ensured, while in the case of 60m, evacuation safety was maintain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t even when the exit installation standards toward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re met, evacuation safety may not be guaranteed.

Analysis on Installation Criteria for Scrambled Crosswalks Considering Vehicle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교통량과 보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기준 정립 방안 연구)

  • NAM, Chanwoo;KHO, Seung-Young;CHO, Shin-H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6
    • /
    • pp.60-75
    • /
    • 2019
  • Nowadays, interest in safety of pedestrians who are relatively weak when compared with vehicles increases. Also, concern for pedestrian accidents on crosswalks increases. For these reasons, scrambled crosswalks which are considered to contribute pedestrian safety by reducing conflicts between vehicles and pedestrians are actively discussed and there are also a few intersections where they are actually installed. However, scrambled crosswalks must include all-red phase for all vehicle traffic flows, which inevitably leads to increase of lost time per cycle. Therefore, evaluation in terms of efficiency should be done before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This research suggests installation criteria for scrambled crosswalks so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is appropriate only by surveying vehicle traffic volume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This research derives optimum cycle length from signal optimization models which considers both vehicle traffic volume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From this optimum cycle length, this research compares total delay time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From an analysis, two research results are derived. Firstly, there is critical traffic volume above which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can not efficient. Secondly, appropriate areas for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are different by each signal intersection or by each signal system and those difference vary. From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installation criteria for scrambled crosswalks which consists of two steps. The delay time of the pedestrians may be increased after the diagonal crosswalk is installed, but it may be desirable to install in consideration of the appropriate traffic level to ensure safety.

오염방지 시설을 이용한 지하수 환경성 복원 연구

  • 이병대;조병욱;성익환;함세영;정상용;윤성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155-158
    • /
    • 2002
  • 질산성질소 및 탁도로 오염된 지하수공에 대하여 환경성 복원을 위한 오염방지 시설을 시범 설치하였다. 지하수공에 대한 오염 정도를 조사한 결과 PS-1, CW-1, 그리고 CW-2 공이 질산성질소로 오염되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였고, CW-3 공은 탁도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였다. 오염원은 지하수공 개발시 수량 확보를 위하여 그라우팅을 제대로 하지 않은 불량시공으로 인한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으로 기인되었다. 금번 연구는 오염된 지하수의 환경성 복원을 위한 것으로, 오염원과 지하수를 격리시켜 오염물질의 지하수 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커 그라우팅을 완벽하게 다시 실시하였으며,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대수층의 분포 및 특성팍악, 지하수공내 지표수의 유입구간 규명, 지하수 오염원, 오염실태, 오염경로 등을 파악하였다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후, 설치 전,후의 질산성질소와 탁도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PS-1의 경우, 오염방지시설 설치전의 질산성질소 함량은 16.1 mg/L 이었으나, 설치후에는 8.1 mg/L, 7.9 mg/L로써 설치전에 비하여 51% 감소되었으며, CW-1은 10.3 mg/L에서 6.3mg/L으로 39%, 그리고 CW-2는 14.9 mg/L에서 9.0 mg/L 으로 40% 감소되었다. CW-3 공의 탁도는 157 NTU에서 0.97 NTU로 완벽하게 복원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Warrant for Scrambled Pedestrian Crossing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손규홍;장명순;김영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2
    • /
    • pp.105-122
    • /
    • 1997
  • 본 연구는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조건에서의 교차로 각현시별 임계차선 교통량의 합($\sum_i$ CVi)을 600~1,800대로 변화를 주어 실험적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였다. TRANSTY-7F 모형을 이용한 교차로 평균차량 지체도와 본 연구에서 정립한 보행지체모형을 이용한 교차로 평균 보행지체도와의 관계를 변수로 하여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을 각 조건별로 산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동시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1일 경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1,050~1,15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둘째, 동시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2일 경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1,150~1,20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선행 좌회전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1일 경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600~75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넷째, 선행 좌회전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2일 겨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750~90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scape Measures and Fire Protection System Improvement in Discount Stores (대형할인점의 피난대책 및 소방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홍성우;이영재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6 no.4
    • /
    • pp.20-27
    • /
    • 2002
  • This study in focused on propos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refuge and fire-fighting facilities in large shopping malls that are radically spreading. The main subjects are as follows. - The refuge measure for large shopping malls - Problems of installing the refuge facilities in stores and the solutions - Problems of installing the incendiary facilities in stores and the solutions - Problems of installing the indoor fire plug in stores and the solutions As result of the study, it has turned out that escape stairs which are set up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size in the process of design plan, have to be decided for their amount, position, specification, etc,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residents. It is also required to tighten a standard of installing a sprinkler instead of lightening the fire-fighting section in stores, considering obstacles due to facilities installed and procurement of the escape path. In addition, it needs to lighten a standard of installing the indoor fire plug, which is voluntarily set up at the store section incase of installing a sprinkler to make a practical fire-fighting facility available.

Accuracy Analysis of Triangulation Result for the Stable Decision Making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 -Focusing on Changwon city in Gyeongnam- (GPS에 의한 삼각점 성과의 정확도 분석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

  • Leem, Hyun-Seok;Hong, Sung-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32-735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삼각점의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차수준 및 지역적인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지적세부측량을 위한 지적기준점측량 수행 시 보다 정확한 성과가 산출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토지조사사업 당시 설치된 삼각점의 경우 삼각점 자체의 자연적 인위적 이동이 없을 경우 대부분 삼각점의 성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나므로 지적기준점 성과결정시 기지점으로 사용할 삼각점은 토지조사 당시 설치된 삼각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안정적인 성과로 제시된 삼각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적기준점의 성과를 결정할 경우 향후 지적기준점이 망실되어 재설치 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측량성과를 유지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이슈&이슈 - 도시가스 매립(매몰)배관, '특정가스시설'에서 제외 및 코드기준 일부 폐지 건의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85
    • /
    • pp.100-102
    • /
    • 2014
  •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지난해 7월 개정된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제20조의2 '특정가스사용시설' 규정과 관련 코드기준(KGS FU551 등) 등 세부기준이 건설업계와 설비시공업계에 규제 강화로 적용됨에 따라 민원이 속출하고 있어, 이를 제외 및 폐지하여 줄 것을 지난 3월 14일 산업자원통상부와 한국가스안전공사에 건의했다. 현재까지 단 한건의 가스누출사고도 없었던 매립(매몰) 배관에 대해 안전성을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고가의 다기능가스안전계량기를 설치토록 하고, 추가로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완성검사 및 기술검토까지 받도록 하는 것은 이중규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점검구의 경우 천정높이와 현장여건에 따라 설치 개수도 달라지며, 설치 후 실질적인 수리 보수를 할 수 없는데다 미관상 많은 민원을 초래할 수 있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고 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이에따라 대한설비건설협회는 ${\triangle}$건축물 내 도시가스 매립(매몰)배관 특정가스사용시설 제외 ${\triangle}$가스용 금속플렉시블배관용호스 은폐(천정) 설치 시 점검구 또는 다기능가스안전계량기 설치 의무화 Code기준의 개선을 촉구했다. 또한 지난 3월 13일 제도 홍보를 위해 개최된 '건축물내 매립배관 제도개선 현황과 과제' 세미나에서도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완책 마련을 건의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