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사

Search Result 89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돼지 바이러스성 설사병 발생주의보

  • Korea Swine Associatio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0 no.12 s.232
    • /
    • pp.64-66
    • /
    • 1998
  • 농림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기온의 변화가 심한 환절기와 추운 겨울철에 자돈의 설사병 발생이 증가하여 더욱 많은 피해가 예상되므로 돼지 바이러스성 설사병의 발생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 PDF

Isolation of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in Korea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의 국내 분리주 작성에 관한 연구)

  • Kweon, Chang-hee;Kwon, Byung-joon;Jung, Tae-sung;Kee, Young-jin;Hur, Dong-ho;Hwang, Eui-kyung;Rhee, Jae-chin;An, Soo-hwan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3 no.2
    • /
    • pp.249-254
    • /
    • 1993
  • The etiological survey on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PEDV) by immunofluorescence antibody test(IFA) showed the positive rusult from the intestines of piglet died from acute diarrhea. The viral agent of PED was also isolated from intestine, which showed positive reaction by immunofluorescence test. After passage in Vero cell, the viral agent was further cloned by plaque purification and designated as KPEDV-9. The immunoblotting analysis using hyperimmune sera and porcine sera revealed the presence of several polypetide bands with molecular weight(M.W.) of 88K, 74K, 70K, 58~54, 54~46K, 44~40K and 33~32K, respectively.

  • PDF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EPEC) Outbreak in Seongju-gun, Gyeongbuk, 2004 (2004년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발생한 장병원성대장균의 유행에 관한 역학조사)

  • Baik, Dalh-Yeon;Yeom, Seok-Hyeon;Lee, Kwan;Lim, Hyun-Sul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0 no.1
    • /
    • pp.39-50
    • /
    • 2005
  • Objectives: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source and the mode of transmission of the diarrhea outbreak in Seongju-gun, Gyeongbuk, 2004 Methods: The author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 275 persons (students, staff members and cooks) who ingested the possibly contaminated foods. We also investigated the drinking water and the dining facility, and we reviewed the process of cooking the salad, which was the presumed cause of the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EPEC) diarrhea. The confirmed EPEC diarrheal case was defined as culture positive for EPEC, and the suspicious case was defined as diarrheal case with symptoms more than one of fever, vomiting and tenesmus. Results: The attack rate of EPEC diarrhea was 36.7%, and there were 8 confirmed cases. The possibility of the drinking being a source of the infection was very low, for chlorine was detected in all the drinking water via reviewing the past records and using a portable detector. The food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arrhea were found. The relative risk (RR) for the lunch served Jul 7 was 4.12 (95% CI: 1.39-12.20). Among the non-boiled foods that were finally served, the RR for the salad was 1.66 (95% CI: 1.07-2.57). The cause of this outbreak was presumed to be the contaminated foods that were prepared by cooks using rubber glove with holes, and especially the salad and foods that were served sans boiling on Jul 7. Conclusions: Though this EPEC infection was not so clinically important, if a larger outbreak occurred, it might severely affect the public health.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the more safe methods for cooking foods, and to strengthen the sanitary processing foods.

  • PDF

설사병 예방을 위한 농장 HACCP 프로그램

  • Korea Swine Associatio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0 no.5 s.225
    • /
    • pp.79-83
    • /
    • 1998
  • 농림부는 최근 환절기를 맞아 IMF여파에 따른 사료수급문제 및 첨가제 사용 감소 등 영향에 따라 전국 양돈단지에 설사병 등 돼지질병이 발생하여 일부 양돈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끼치고 있다고 밝히고, 이를 막기 위하여 3월 13일 "설사병 예방을 위한 HACCP 프로그램"을 만들어 중앙공동방역사업단 및 관련업체 해당 사업단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S-R Vari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Mastitic Cows, Diarrheal Pigs and Diarrheal Chickens (젖소유방염, 돼지 및 닭의 설사중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S-R 변이와 항균 요법제의 감수성)

  • 정희곤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3 no.3
    • /
    • pp.50-55
    • /
    • 1997
  •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약 4개년 동안 전남 지역에서 사육하고 있는 가축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유방염으로 의심이 되는 젖소 970두 중에서 180두(18.6%)가 유방염에 이환되었으며, 돼지 2,400두 중에서 84두(3.5%)가 설사증에 이환되었고, 닭 1,010수중에서 9수(0.9%)가 설사증에 이환되었다. 대장균의 분리율을 조사한결과, 유방염에 이환되어 있는 젖소 180두중 37두(20.6%)에서 대장균이 분리되었으며, 설사증에 이환되어 있는 돼지 84두중 51두(60.7%)에서 대장균이 분리되었고, 설사증에 이환되어 있는 닭 9수중 5수(55.6%)에서 대장균이 분리되었다. Acriflavine을 이용하여 대장균의 S-R변이를 조사한 결과, S-R변이는 mercuric chloride, cysteine, caffeine, glucose, nicotine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중 mercuric chloride가 가장 감수성이 높았다. 대장균의 항균요법제에 대한 감수성은 naxcel, linsmycin, cephalexin, gentamycin등이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는데, S-R변이 후에는 감수성이 일반적으로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 PDF

Genetic Characterization of Bovine Viral Diarrhea Virus from Korean Indigenous Calves in Gyeongbuk Province (경북지방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우에서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의 유전적 특징)

  • Song, Moo-Chan;Choi, Kyoung-Seo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7 no.3
    • /
    • pp.220-224
    • /
    • 2010
  •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is an important worldwide disease in the livestock industry. To characterize BVDV circulating in Gyeongbuk province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s the highest cattle population density, 365 rectal swabs from clinically BVDV Korean indigenous calves were collected. Fifty cases were identified as positive for BVDV. A phylogenetic analysis of 5'- untranslated regions (UTR) revealed that most of our cases belonged to BVDV-2a (n = 48), while only two cases were classified as BVDV-1a (n = 1) and 1b (n = 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VDV-2a is the most prevalent subgroup in Korean indigenous calves of Gyeongbuk province.

The Effect of Diet Therapy on the Course of Acute Diarrheal Disease (급성 설사 질환에서의 식이요법에 따른 치료 효과)

  • Yang, Hyeon-Jong;Jeong, Pil-Ju;Ban, Seong-Hwan;Min, Yong-Sik;Park, Jae-Ock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4 no.1
    • /
    • pp.41-46
    • /
    • 2001
  • Purpose: We studied to know the effect of early feeding on the course and the recovery of acute diarrheal diseas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76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or acute diarrhea. We divided 76 patients into 3 dietary groups (whole milk group (WMG): 35, diluted milk group (DMG): 29, breast milk group (BMG): 12). We compared three groups by numbers of diarrhea, numbers of vomiting, calory intake, weight increments, and duration of diarrhea. Results: 1) The mean age was $16.45{\pm}18.20$, $11.53{\pm}9.80$, $5.38{\pm}5.01$ months for WMG, DMG, and BMG, respectively. The mean weight was 9 kg and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was 2.29 days. 2) The numbers of diarrhea during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hree groups. 3) The calory intake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ly low in DMG. 4) The weight increments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ly low in DMG. 5) The duration of diarrhea during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hree gourps. Conclusion: Early refeeding with whole milk or breast milk did not prolong or worsen the course or symptoms of diarrhea compared with gradual reintroduction with diluted milk. But there were advantages of improved nutrition and weight increments. Futher study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diet according to the causative organisms.

  • PDF

Norovirus Food Poisoning and Laboratory Surveillance for Viral Gastroenteritis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특성 및 예방법)

  • Jee, Young-Mee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1 no.3
    • /
    • pp.6-11
    • /
    • 2006
  •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해 흔히 발생하며 이외에도 아스트로바이러스나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집단 설사 사례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과 관련하여 특히 오염된 식수와 굴 등 어패류의 생식을 통한 감염 사례가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사람 간 전파도 흔히 일어나는 전염력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이다. 국내에서는 1999년 이후 보고가 되고 있으며 최근 집단 급식과 관련된 대형 식중독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학교급식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2000년 이후 질병관리본부는 바이러스성 설사의 국내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17개 시도보건환경 연구원과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4종의 바이러스성 장염원인 병원체에 대한 전국적인 실험실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바이러스성 병원체가 확인된 사례의 약 18%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집단설사 사례에서는 대부분 노로바이러스가 원인병원체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로바이러스의 조기 검출을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2004년 중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kit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이를 전국의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을 연계한 감시체계에서 적극 활용함으로써 노로바이러스 집단설사사례의 조기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고 지역내 노로바이러스 검출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03년과 2006년에 발생한 대규모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례 이외에도 산발적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례들을 조기에 탐지하고 국내에서 검출되는 설사바이러스 유전형 분포양상과 새로운 유전자형이나 변이주를 조기에 검출하고자 전국적인 노로바이러스 실험실 감시망을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집단설사 발생시 각 사례의 연관성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분자역학적 유전자 분석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실험실 감시체계 운영과 함께 집단 식중독 유발 병원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설사 유발 병원체를 신고대상 병원체로 지정(2006.06.12)하여 병원체 검출시 보고하도록 하고 관련 지침을 마련하였다. 노로바이러스가 지정전염병 병원체로 추가로 지정됨에 따라 집단 사례 및 실험실 감시사업을 통해 검출되는 병원체에 대한 보고가 강화되고 전파 방지와 2차 감염 사례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전국의 실험실 감시망을 연결하는 국가 차원의 노로바이러스 실시간 분자역학적 분석체계 도입을 통해 노로바이러스 2차 감염을 줄이고 대규모 집단발병 및 유행의 조기 차단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