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비보전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철도의 전기$\cdot$신호설비 감시$\cdot$보전 시스템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61
    • /
    • pp.70-76
    • /
    • 1998
  • 철도분야에서의 전기$\cdot$신호설비 고장은 열차의 정상운행에 차질을 일으켜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설비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또 이러한 보전작업에는 철도 설비가 널리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을 수반하는 작업, 열차가 통과하지 않는 야간 작업, 만일의 경우 위험을 수반하는 작업 등, 이 분야 특유의 작업이 있다. 한편 보전작업에 종사하는 기술자는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앞으로 젊은 근로자의 부족은 더욱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이유로 설비보전의 자력화, 미연의 고장방지, 고장의 조기복구와 재발방지를 목표로 지금까지 사람의 손에 의지해 오던 설비보전을 기계화하고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시스템은 대상설비에 따라 다음의 3가지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cdot$신호설비 보전시스템 $\cdot$변전$\cdot$수배전설비 보전시스템$\cdot$연선전기설비 보전시스템 이들시스템에 공통적인 주요 특징을 들면 아래와 같다. (1)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원인을 규명 이벤트발생 전후의 변화나 중장기트렌드를 원격감시할 수 있다. (2)시스템의 변경$\cdot$증설이 용이 인텔리전트단말에 의하여 처리를 계층화하였기 때문에 빌딩블록식으로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3)경제적인 시스템 필드 네트워크의 채용으로 공사비를 삭감할 수 있다.

  • PDF

중소기업을 위한 PC 기반 설비보전 정보시스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 유영관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03a
    • /
    • pp.223-23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PC를 기반으로 하는 설비 보전정보 시스템의 개발시 구현되어야 할 기능들을 정리한다. 보전정보 시스템을 설비자료관리. 예방보전계획, 작업지시 시스템, 보전 자재관리의 네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정리하고, 보전업무의 수행 절차를 정립한다. 중소기업을 위한 PC기반 보전정보 시스템의 개념도가 제시된다.

자가용발전설비의 고장진단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7 s.127
    • /
    • pp.96-99
    • /
    • 1987
  • 최근설비를 계획하는데 있어서는 설계에서 건설 운용, 갱신에 이르기까지 라이프사이클코스트, 미니멈의 관점에서 시스템토틀로서 검토되는 일이 많다. 그러한 의미에서 설비의 보전기술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보전의 종류는 사후, 예방, 예지()의 각 보전에, 또 보전의 방식으로는 시간기준보전과 상태기준보전으로 대별할 수가 있다. 설비가 복잡하고 고도화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경비효율, 가동율, 신뢰도 등 토틀 시스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상태기준에 의한 예지보전이 요구되는 경향에 있다. 또 온라인으로 리어얼타임인 설비진단기술의 진전이 이를 가능케 해가고 있다. 여기서는 음행분석에 의한 설비진단에 대해 자가발전장치의 음향진단을 예로 하여 기술키로 한다.

  • PDF

전원설비의 보전기술 -음향분석에 의한 자가발전 장치의 고장진단례-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4 s.112
    • /
    • pp.92-98
    • /
    • 1986
  • 에너지절약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대적 배경하에서 모든 설비에 있어서 시스템토틀로서의 고효율화가 중요한 테마로 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설비는 기기계가 소형화, 대용량화하는 한편제어계는 복잡화, 고도화되고 있으며 운용의 평이화와 보전의 전문화가 발달되고 있다. 만일 설비장해가 발생했을 때에는 그 복구에 많은 시간과 경비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설비이동이 연속화되는 상황하에서는 장해나 메인터넌에 의한 설비정지는 생산성이나 품질의 저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설비를 계획할 경우에는 설계에서 건설, 운용, 보전, 폐기 또는 경신까지를 토틀로 포착하여 라이프사이클코스트를 최소로 하기 위한 검토가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설비 자체의 라이프사이클은 그 설계단계에서 거의 결정되는데 생산시스템(생산라인까지를 포함시킨 설비시스템)의 시점에서 라이프사이클코스트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보전기술이 주요한 펙터가 된다. 여기서는 이 중요한 보전기술에 대하여 전원설비의 보전과 고장진단을 중심으로 해설하는 동시에 최근 일본의 NHK에서 개발한 음향분석에 의한 자가발전장치의 고장진단에 대하여 그 개요를 소개한다.

  • PDF

전기설비의 고장진단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74 no.2
    • /
    • pp.10-17
    • /
    • 1997
  • 전기설비를 운전, 관리하는 전기기술자는 설비가 안전한지 항상 마음을 쓰게 될 것이다. 전기설비를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을 바람직한 일이지만 최근 그런 경향이 강해져, 과거에 시행했던 사후보전을 넘어서 예지보전의 요망이 점차 높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설비의 예지보전을 목표로 고장진단기술에 관한 근본적인 고찰과 그 응용기술을 전기기술자에게 제공, 활용토록 하기 위하여 그 내용을 연재한다.

  • PDF

보일러의 보전

  • 한국온돌난방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s.78
    • /
    • pp.64-67
    • /
    • 2000
  • 장마가 막 지나가고 실내의 눅눅한 습기를 없애려고 보일러를 잠시 킨 후 보일러는 긴 휴지기에 들어 간다. 24시간 계절과 상관없이 오랫동안 가동되는 보일러를 사용하게 되면 여러 가지 고장이나 손상이 생기기 쉽다. 이런 것들을 미연방지하거나 또는 고장이나 손상이 확대 되기전에 신속히 보수하여 항상 보일러를 정상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보전이라고 한다. 보일러의 보전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보일러의 정비 및 휴지에 관해 설명하겠다.

  • PDF

The Preventive Maintenance System Using Decision Tree (결정트리를 이용한 예지 보전 시스템)

  • Park, Jae-Hee;Yoo, Dae-Sung;Lee, M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85-388
    • /
    • 2005
  • 최근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부터 복잡한 산업현장까지 점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이익과 밀접하게 관련된 생산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보전활동 중에서 예지보전은 설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 전문가 인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부담을 가지고 있다. 설비의 보전을 위해 전문가들이 행하던 분석 및 해결의 과정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전문가시스템은 전문가 인력을 대체할 중요한 수단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설비진단 전문가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결정트리를 이용한 예지보전 전문가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생태건축의 활성화방안

  • 임상훈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6
    • /
    • pp.15-19
    • /
    • 2000
  • 환경문제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인간과 자연의 공존모색, 새로운 자연보전제도의 수립, 올바른 생태학적 지식에 따른 건축계획 등을 제시하고, 정부의 자연보전정책을 실질적으로 강력하게 그 모범을 주는 의미에서 생태건축도시의 생성과 산·학·연 그리고 민간의 참여로 생태건축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