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비기준

Search Result 1,83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Safety Code and Design Guide of Wind Power Plant (발전용 풍력설비 안전관련 기술기준 및 규정제정 연구)

  • Kim, Han-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13-16
    • /
    • 2005
  • 본 연구는 발전용 풍력설비의 안정적인 전원공급 및 계통운영에 필요한 기술기준 및 규정을 제정하는 것으로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에 따라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운영중인 기술기준 중 현재 제정되어 있지 않은 $\ulcorner$발전용 풍력설비기술기준$\lrcorner$과 법정 기술기준을 구체화하여 설비의 설계, 제작, 시공, 운영, 검사 및 보수시에 기술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ulcorner$풍력발전규정$\lrcorner$을 신규로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기술기준은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 및 동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 발전용 화력설비기술기준, 발전용 수력설비기술기준 및 발전설비 용접기술기준 등 4개가 고시로 운영중이다. 그러나 국내 풍력발전기 설비용량은 약 22MW이고, 다수가 건설중 이거나 계획 중에 있으나 설치허가 및 검사기준이 되어야 할 기술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풍력발전설비에 대한 국내기술의 안정적인 전원공급 및 계통운영에 필요한 기술기준(안) 및 규정(안)등을 실현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 Song Gi-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9 no.2
    • /
    • pp.57-84
    • /
    • 2005
  • The standards for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imply an essential element for curriculum. In knowledge-based society, school libraries a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assist curriculum, offer information literacy and reading services. Therefore the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are able to suggest the mission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nd it should contain suitable elements for educational roles. But the current standards are insufficient from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So the standards, if standards for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are revised, should be contain following contents. 1. facilities guidelines: 2. basic equipment plan; 3. instructional media for educational roles; 4. equipments for each essential. area space: 5. more detailed information appliances; 6. improvement of standard for special school library

건축설비설계기준ㆍ요령(I)

  • 박종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1
    • /
    • pp.51-56
    • /
    • 2003
  • 일본 공공기관의 사무용건축물 설비설계시 기준이 되는 자료에 대하여 주요한 내용을 번역 소개하여 일본설계 기준의 현황과 수준, 국내기준과의 차이점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법령과 고시-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3 s.188
    • /
    • pp.34-35
    • /
    • 2006
  • 건축법 중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의 일부가 지난 2월 13일 개정, 공포되었다. 이번에 개정된 주요 내용은 그동안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기준이 없어 적정수준의 실내의 공기 질을 확보하지 못하여 국민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필요환기 횟수를 시간당 시간당 0.7회 이상이 되도록 하고 다중이용시설 중 지하 역사의 경우 필요 환기량을 1인 기준으로 시간당 25㎡ 이상이 되도록 하는 등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환기설비기준을 정함으로써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피뢰설비의 설치기준을 강화하여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인 고층 건축물은 측면에 낙뢰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개정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의 벼락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지는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 중 신∙구조문 대비표를 게재하오니 회원사 여러분의 많은 참고를 바란다.

  • PDF

법령과 규칙 - 온돌 및 난방설비 설치 확인서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5
    • /
    • pp.61-66
    • /
    • 2009
  • 건축물에 설치하는 온돌 및 난방설비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안전 및 방화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내용으로 건축법 제63조가 개정(법률 제8662호, 2007. 10. 17. 공포, 2008. 1. 18. 시행)됨에 따라 온돌 및 난방설비의 구체적인 설치기준을 정하는 한편,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 보완하기 위해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4조가 지난 2008. 7. 10일 신설(관련 별표1, 별지제2호서식 신설)되었다. 본지는 이 내용에 대한 회원사의 문의가 많기에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개정 주요 내용 및 단서사항 등을 게재하니 회원사들의 참고 바란다.

  • PDF

Trends on Standardization for Customer Cabling Systems (구내통신선로설비 기술기준 및 표준화 연구동향)

  • Lee, Y.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5 no.1 s.61
    • /
    • pp.41-54
    • /
    • 2000
  • 구내통신선로설비는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건물 내의 이용자의 단말까지 연결해주는 설비로서 향후의 새로운 정보통신서비스를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국내의 구내통신선로설비는 음성급 전화 서비스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새로운 초고속정보통신망의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구내통신선로설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관련 표준 및 기술기준의 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구내통신선로설비의 제외국의 표준화 및 기술기준 제정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의 현행 기술표준 및 기술기준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내통신선로설비의 고도화를 위한 현행 기술기준과 관련 표준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스시설 기술기준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4
    • /
    • pp.73-84
    • /
    • 2016
  • 최근 기술개발과 건설시장의 다양화로 가스설비공사 분야의 성능기준과 제도 및 법령도 빠르고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스법령 및 KGS코드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시공방법, 기술기준 등을 현장에서도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자료를 게재한다.

  • PDF

가스시설 기술기준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5
    • /
    • pp.45-48
    • /
    • 2016
  • 최근 기술개발과 건설시장의 다양화로 가스설비공사 분야의 성능기준과 제도 및 법령도 빠르고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스법령 및 KGS코드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시공방법, 기술기준 등을 현장에서도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자료를 게재한다.

  • PDF

가스시설 기술기준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3
    • /
    • pp.57-68
    • /
    • 2016
  • 최근 기술개발과 건설시장의 다양화로 가스설비공사 분야의 성능기준과 제도 및 법령도 빠르고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스법령 및 KGS코드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시공방법, 기술기준 등을 현장에서도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자료를 게재한다.

  • PDF

A study on appropriateness of the Electrotehnical Regulation for 765 KV Overhead Line (765 kV 가공송전선로 현행 기술기준 적정성 연구)

  • Park, In-Pyo;Kim, Han-Soo;Kim, Gi-hyun;Lee, Joo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621-1622
    • /
    • 2015
  • 765 kV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성 관련으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6조제1항 및 동 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제4항제7호에 대하여 전선, 애자련, 강재, 송전철탑 및 기초에 대한 현행 기준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의 목적은 현재 765 kV 가공송전선로의 내력 크기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검토 방법은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전의 765 kV 송전선로의 여유도(크기)을 파악하고, 또한 해외 기준과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검토 자료는 국내 765 kV Ca-32p형 샘플설계도, 한전 관련 시방서,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본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일본전기학회의 [송전용 구조물 설계 표준, JEC-127-1979]이다. 향후 다른 철탑형들의 추가 검토와 미국 및 유럽의 기준들과 대비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