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선 처리

Search Result 3,797, Processing Time 0.15 seconds

Effect of Gamma-Irradiation Sterilization on the Creep and Wear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감마선 멸균처리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와 마모에 미치는 영향)

  • Lee, Kwon-Yong;Lee, Soo-Cheol;Lee, Keun-Ho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4 no.4
    • /
    • pp.1-6
    • /
    • 1998
  • 인공관절 라이너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생체재료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체내에 삽입되기 전에 멸균처리를 거쳐야 하며, 가장 보편적인 멸균방법은 감마선을 이용한 멸균처리이다. 그러나, 감마선은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에 변화를 일으키며, 따라서 물리적, 기계적 물성치에 변화를 야기시킨다. 이는 인공관절 수명을 좌우하는 변형과 마모현상에도 결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멸균처리가 UHMWPE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에 미치는 영향이 관찰되었고, 그 결과들은 감마선 멸균처리로 야기된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의 변화(Crystallinity, Oxidation, Crosslinking)와 함께 분석되었다. 압축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으로부터 원통형의 시평을 제작하여 감마선 멸균처리를 행하고, 압축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여 멸균처리하지 않은 시편을 제작하여 감마선 멸균처리를 행하고, 압축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여 멸균처리하지 않은 시편 사이에는 크리프 복원정도를 제외하고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반면에 마모의 경우, 감마선 멸균처리된 시편이 멸균처리하지 않은 시편보다 훨씬 적은 마모량을 보였다(p〈0.05). 이것은 crosslinking 증가에 따른 마모 저항력 향상으로 볼 수 있다.

Gamma-irradiated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감마선 멸균처리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 ;;Lee,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227-233
    • /
    • 1998
  • 인공관절 라이너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생체재료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체내에 삽입되기 전에 멸균처리를 거쳐야 하며, 가장 보편적인 멸균 방법은 감마선을 이용한 멸균처리이다. 그러나, 감마선은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에 변화를 일으키며, 따라서 물리적, 기계적 물성치에 변화를 야기 사려된다. 이는 인공관절 수명을 좌우하는 변형과 마모현상에도 결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멸균처리가 UHMWPE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에 미치는 영향이 관찰되었고, 그 결과들은 감마선 멸균처리로 야기된 폴리에틸렌의 화학분자 결합구조의 변화(Crystallinity, Oxidation, Crosslinking)와 함께 분석되었다. 압출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으로부터 원통형의 시편을 제작하여 감마선 멸균처리를 행하고, 압축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여 멸균처리 하지 않은 시편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크리프 변형의 경우, 감마선 멸균처리 된 시편과 멸균처리 하지 않는 시편 사이에는 크리프 복원정도를 제외하고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반면에 마모의 경우, 감마선 멸균처리 된 시편이 멸균처리 하지 않은 시편보다 훨씬 적은 마모량을 보였다 (p<0.05). 이것은 crosslinking 증가에 따른 마모 저항력 향상으로 볼 수 있다.

  • PDF

X-선 검출기의 신호처리회로 설계

  • 남욱원;최철성;문신행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10a
    • /
    • pp.23-23
    • /
    • 1993
  • 과학로케트에 탑재되는 x-선 검출기에서 검출되는 2 kev 에서 10 kev 사이의 x-선 신호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얻고, 전송하기 위한 피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신호처리회로의 전체적인 구성은 2 - 10 key의 x-선 에너지 및 event time을 측정하는 회로 및8-선 계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카운터회로를 위주로 설계하였으며, x-선 event의 에너지가 측정에너지를 벗어나거나 상승시간이 긴 신호는 anti-coincidence 회로를 통하여 제거되고, 그 계수율이 기록되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또한 신호처리회로에서 얻은 데이터는 telemetry를 통하여 serial 형태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8086 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송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제작된 신호처리회로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Gamma Irradiation for the Inhibition of Shrimp (Penaeus aztecus) Allergy (새우(Penaeus aztecus)의 알러지 억제를 위한 감마선 조사)

  • 김재훈;이주운;육홍선;김정옥;변명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437-441
    • /
    • 2000
  •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여 새우 알러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구(A), 감마선 조사후 가열처리구(B), 가열처리 후 감마선 조사구(C)로 실험구를 설정하고 1,3,5,7,1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A 처리구로부터 새우의 근혈장 단백질 용액과 근섬유 단백질 용액을 준비하였고, B와 C처리구에서도 각각의 단백질 용액을 준비하였다. 각 단백질 용엑에 대한 환자 IgE와 mAb 4.9.5의 결합력을 ELISA로 조사하였다. 두 항체 모두 감마선 조사구의 단백질을 용액과의 결합력이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고, 감마선 조사후 가열처리가 항체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SDS-PAGE 결과 감마선 조사된 새우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분리 pattern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 결과는 적절한 선량의 감마선 조사가 새우 알러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Effect of Gamma Irradiation for Hygienic Long-Term Storage on Biological Activity of Teucrium veronicoides (위생적인 장기 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가 곽향(Teucrium veronicoides)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Hye-Jin;Park, Ki-Tae;Cho, Young-J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6 no.5
    • /
    • pp.581-59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gamma-irradiated Teucrium veronicoides. In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analysis, non-irradiated sample showed lower than 700 photon counts (PCs), whereas irradiated (5 and 10 kGy) samples showed higher than 700 PCs. The thermoluminescence ratio of non-irradiated samples was less than 0.1, whereas the values of irradiated samples were greater than 0.1. Electron spin resonance analysis was performed confirmed for irradiation identification.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hot-water and 50%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values after irradiation at 10 kGy. Regard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inhibitory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inhibitory activity as antioxidant tes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had on significant effects. On the other h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10 kGy-irradiated hot-water extract was 23.6%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sample. Thus, gamma irradiation could be used for the long-term storage of Teucrium veronicoides.

Effects of Water Soaking and Gamma Irradiation on Storage Quality of Chestnuts (수침 및 감마선 처리가 밤의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 권중호;이정은;이새봄;정헌식;최종욱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8 no.1
    • /
    • pp.9-15
    • /
    • 2001
  • The effects of water soaking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storage quality of chestnuts (Castanea crenata) were investigated. Chestnuts weirs soaked in water for 48 hrs at room temperature, irradiated at 0, 0.15, 0.25 and 0.35 kGy of \^60/Co gamma ray, and then stored at 0\^C and 95±2% RH for 9 months. Spouting was observed at the end of storage only in chestnuts that were soaked and irradiated at below 0.25 kGy. Rotting was found from the early stage of storage in all pre-treatment conditions, but the rotting rate of soaked chestnuts was higher twice than unsoaked ones after 9 months of storage. Weight loss was lower in soaked than unseated samples regardless of irradiation dose. Loss of flesh firmness was appreciably retarded as irradiation dose increased. Total sugar content decreased slowly in irradiated samples at the later periods of storage. Gamma irradiation resulted in the decrease of vitamin C content immediately after treatment, but retarded its loss rate during storage. Soluble tannin content was not affected by gamma irradiation at scout inhibition doses.

  • PDF

Systolic Arrays for Edge Detection of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의 윤곽선 검출을 위한 시스톨릭 배열)

  • Park, Deok-W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8
    • /
    • pp.2222-2232
    • /
    • 1999
  • This paper proposed a Systolic Arrays architecture for computing edge detection on images. It is very difficult to be processed images to real time because of operations of local operators. Local operators for computing edge detection are to be used in many image processing tasks, involve replacing each pixel in an image with a value computed within a local neighborhood of that pixel. Computing such operators at the video rate requires a computing power which is not provided by conventional computer. Through computationally expensive, it is highly regular. Thus, this paper presents a systolic arrays for tasks such as edge detection and laplacian, which are defined in terms of local operators.

  • PDF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Its Convergent Treatments on Lily Leaf Blight Pathogen, Botrytis elliptica, and the Disease Development (감마선 및 화학 대체제 융복합 처리가 백합 잎마름병균 및 잎 절편 감염에 미치는 영향)

  • Kim, Ji-Hoon;Yun, Sung-Chul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0 no.2
    • /
    • pp.71-78
    • /
    • 2014
  • Gamma irradiation and its convergence with nano-silver particles and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were investigated to inhibit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Botrytis elliptica, the pathogen of lily leaf blight. In addition, the same treatments were studied on the process of disease development with detached leaf of lily cv. Siberia. Spray inoculation, which is closer to natural infection than wound inoculation, can be a way to investigate infection ability of the treated pathogen. The irradiating dose required to reduce the population by 90%, D10, was 526 Gy irradiating with 0-2000 Gy gamma ray on the conidial suspension as well as the growing mycelia. Even at 2000 Gy, the mycelium was not killed but just delayed its growth at 1-2 days behind. Convergent treatment with 40 mg/l of NaDCC just before 200 Gy gamma irradiation was the best way to decrease the conidial germination about 1/1000 times. The control values of gamma irradiation were 23% and 19.5% at wound inoculation and spray inoculation, respectively. On wound-inoculation, the control value of NaDCC only was 89%, and that of NaDCC convergent with 200 Gy gamma irradiation was 32%. On sprayinoculation, the highest control value was NaDCC at 50%, and that of NaDCC convergent with gamma irradiation was 24%.

X-선 검출기의 이득 보정 및 신호처리회로 구성

  • 남욱원;최철성;문신행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22-22
    • /
    • 1993
  • 천체 B-선 관측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X-선 비례계수관을 실험실형으로 재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X-선 검출기의 구조는 10 × 20 × 2cm3 인 검출체적내에 10개의 전극선이 설치되어있는 다중선 비례계수관이며, 검출가스로서 Argon(90%) + CH4 (10%)인 g혼합가스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 5.9 keV에 대한 에너지 분해능은 16%를 얻었으나, 정상적인 전극연결방법에서는 검출기 끝측에 위치한 전극에서 생기는 electric field 변형매문에, 양극선 배열방향에서 조정된 이득의 군일성이 나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선들의 각 전극선에 전압보상법(voltage compansation method)을 적용하여 검출기 전반에 걸친 이득의 균일성을 2 % (rms 값) 이내로 보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신호처리회로 중 에너지분석을 위한 파고분석기, 비 X-선 재거를 위한 상승시간선별기(rise-time discriminator)등을 제작하였으며 이들을 이용한 전반적인 신호처리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전자선 전처리 방법을 이용한 염색폐수내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

  • Yu, Dae-Hyeon;Park, Chi-Gyun;Lee, Jae-Gwang;Lee, Byeong-Jin;Lee, Myeon-Ju;Choe, Jang-Seung;Han, Beom-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370-372
    • /
    • 2005
  • 본 연구는 전자선을 이용하여 염색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난분해성 물질을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용이한 물질로 전환시키는 한편 전환되어진 물질을 표준 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처리함으로 처리효율을 극대화 하는 전자선이용 염색폐수 정화기술을 개발하기위해 수행하였다. 종합 염색폐수에 1 kGy의 전자선 전처리를 한 후 생물학적 처리를 연계하였을 때 0.1 이상의 생분해도 증가를 나타냈으며 오염부하량 변화에 따른 미생물 활동도역시 안정적이었다. 또한 물벼룩을 이용한 생태독성 평가에서도 2.49의 원폐수 독성이 2.16이하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전자선 전처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난분해성 물질인 TPA 인공폐수를 대상으로 전자선 가속기 전처리한 결과40 % 이상 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전자선 전처리와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연계로 보다 효과적인 염색폐수의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