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호분석

Search Result 4,01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협력적 필터링 추천시스템에서 이웃의 수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보정 방법

  • Lee, Seok-Jun;Kim, Sun-Ok;Lee, Hee-C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27-31
    • /
    • 2009
  • 본 연구는 웹상에서 거래되는 아이템을 고객에게 추천하는 추천시스템에서 추천대상 고객의 정보와 이웃 고객의 정보를 이용한 협력적 필터링 추천기법에서 선호도 예측을 위해 필요한 이웃의 수가 선호도 예측 정확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치의 보정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연구의 제안을 위하여 이웃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알고리즘과 대응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MovieLens 1 million dataset에 대하여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개별 선호도 예측에 소요된 이웃의 수와 예측 정확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이웃 수에 따라 선호도 예측 결과를 다수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에서 이웃의 수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 정확도 향상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하여 기존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예측 결과에 선호도 예측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정보를 추가하여 최종 예측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egmentation of DMB Services Market Based on Consumer Preferences to the Terrestrial DMB and Satellite DMB (DMB 서비스 선호 유형별 시장 세분화 연구: 지상파DMB와 위성DMB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Park Yoon-Se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1
    • /
    • pp.52-83
    • /
    • 2006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consumer preferences between the terrestrial DMB and satellite DMB in various segment groups by using survey data. We categorized the consumers by the DMB preference patterns into four groups, i.e., non users group, terrestrial only users group, satellite only users group, dual users group. And t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se four segment group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havior patterns o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services, life-style, attitudes to DMB services.

  • PDF

Optimal Scaling and Partial Quantification in Multidimensional Preference Analysis (다차원선호분석의 최적척도화 및 부분수량화)

  • 황선영;정수진;김영원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2
    • /
    • pp.305-320
    • /
    • 2001
  • 다차원선호분석(mutidimensional preference analysis)은 여러 상품들에 대한 개인(또는 그룹)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방법으로 결과는 보통 2차원 그림으로 제공된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있는 두 가지 최적척도 기준을 제안하고 이와 연관된 행 및 열표시자를 유도하고 있으며, 아울러 사전지식을 반영하기 위해 부분수량화를 다차원선호분석에 도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차원분석기법들을 실제 인터넷 검색엔진에 대한 선호도 자료에 적용한다.

  • PDF

Valuing Recreational Benefits of Dam Lakes with a Combined Model of Revealed and Stated Preference Methods (댐호수의 특성별 휴양가치 분석 : 현시선호모형, 진술선호모형 및 그 혼합모형)

  • Kwon, Oh-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7-253
    • /
    • 2006
  • 본고는 주요 댐호수의 휴양가치를 댐호수의 특성별로 도출하고자 실제로 댐호수를 선택한 행위를 분석하고, 아울러 선택실험을 통해 가상적으로 설정된 특성을 가진 댐을 방문할지를 선택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기도 하였다. 또한 현시선호된 선택과 진술선호선택을 모두 결합하여 분석하는 기법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진술선호자료와 현시선호자료간의 이질성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자료를 결합함으로써 모든 특성변수들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직관과 부합되도록 도출되었다. 댐호수의 수량과 수질 모두가 레크리에이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히 수질개선의 편익 증가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홍보관, 주변 숙박시설 및 음식점, 인근 휴양지와의 연계성 등도 휴양가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파악되었다.

  • PDF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based on Integration of External Social Network with Internal Group (내·외부 통합형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의 상품 선호도 분석)

  • Park, Sung-Hoon;Yoo, Eun-Jae;Lee, Jae-Myung;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3-425
    • /
    • 2015
  • 최근 대형 마트 및 백화점에서는 옴니채널 형식의 유통전략이 급부상하고 있으나,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은 고비용의 옴니채널 형식을 도입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고자 소자본으로 구축 가능한 니즈 분석을 활용한 모바일 플랫폼이 고안되었으나, 단순히 사용자의 행동 및 후기를 활용한 니즈분석은 개인만의 선호도 분석으로서 타인의 선호도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내 외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타인의 상품 선호도 또한 분석하고 결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상품 선호도 분석을 하였으며 사용자 지정 선호도 분석을 지원한다.

  • PDF

협업필터링 추천시스템에서 개인별 선호도의 표준화에 따른 예측성능의 영향

  • Lee, Hui-Chun;Kim, Seon-Ok;Lee, Seok-J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597-602
    • /
    • 2007
  • 본 연구는 추천시스템에서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예측함에 있어 고객이 상품에 대해 평가한 선호도 평가치를 고객별로 표준화시켜 예측하여 기존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상품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절대적 기준의 수치적 척도가 제공되지만 개인에 따라서는 상품에 대한 선호 정도가 절대적 척도에 다르게 반영되어 개인별 선호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적 특성이 동일한 척도의 평가치로 예측되면 예측 결과의 오차를 크게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개인이 평가한 선호도 평가치의 편차가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통한 선호도 예측 정확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 고객이 평가한 선호도 평가치를 표준화시켜 표준화된 선호도 평가치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표준화된 선호도 평가치를 이용한 예측 결과가 비표준화 선호도 평가치를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예측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표준화된 선호도 평가치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 방법과 비 표준화 선호도 평가치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 방법을 혼합할 경우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Preferred Common Design Factors in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선호되는 디자인요소)

  • Lee, Yu-Ri;Park, Sang-Jun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3
    • /
    • pp.301-312
    • /
    • 2008
  • Satisfaction of consumer preferences is a key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products. Therefore, design mangers try to develop the profitable products through the intensive survey on the consumer preferences. Although the studies on the preferable product design and the design factors have long been carried out, most of these studies dealt only with the design factors preferable for individual product category ignoring the relationship of the product categories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For designers and design manager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guidelines of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by finding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sumer preferences and design factors in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from portable electric devices including the electronic dictionaries, notebook computers, cellular phones, and MP3 players.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design factors on the preferences among the product categorie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among each product category. The analysis on the preferred common design factors among the four product categories revealed that consumers did not care about the whole body type but preferred white color, metallic and glassy texture in the body. Also, the preferred design factors in the each product category are as follows; oval body shape and black color in electronic dictionaries, white color, metallic and glassy texture in notebook computers, plastic texture in cellular phones, rectangular body shape and plastic texture in MP3 players. In the case of notebook computers, the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were the same.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designers and design managers to identify the preferred design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 PDF

Public Place Preference : Design Guidelines and a Case Study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광장설계지침과 진화이론을 이용한 광장선호분석 사례연구)

  • 이영경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2 no.3
    • /
    • pp.13-27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1) 지금까지 이루어진 광장선호연구를 토대로 광장 설계시 이용될 수 있는 12가지 설계지침을 제시하며, 2) 광장선호를 진화 이론의 틀에서 분석한 사례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12가지 광장설계지침은 1970년부터 지금까지 이루어진 광장형태연구들로부터 제시되었으며, 광장 의 위치, 규모, 시각적 특질, 활동, 미기후, 경계설계, 부공간설계, 동선설계, 식재설계, 휴식공간설계, 음식, 조형물설계 등에 관련한 고려사항을 포함한 다. 광장선호를 진화이론에서 분석한 사례연구는 Appleton의 조망과 은신 이론(prospect and refuge theory)을 분석의 틀로 이용하며, 3개 광장에서 의 이용행태 관찰을 바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각 광장의 앉는 장소 (sitting area)가 가지고 있는 조망(prospect) 특성과 은신(refuge)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사람들의 선택선호도(앉는 장소로서의)와 관련 성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광장의 성격이 완전히 공 공적(public)일 경우만이 전반적인 선호행태가 조망(prospect)과 은신 (refuge) 특질과 관련되고 반공공적(semi-public)이나 사적(private)일 경우 에는 Appleton의 이론으로 선호행태 설명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 PDF

Analysis on Urban Characteristics and Service of U-City (U-City 사례지역의 서비스와 도시특성 분석)

  • Shin, Jin-Dong;Ju, Ja-Young;Lee, Sang-Hun;Kim, Hy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24-225
    • /
    • 2009
  • 본 연구는 기존의 U-City사례지역을 중심으로 도시특성에 따른 U-서비스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U-서비스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 도시특성과 무관하게 선호되는 서비스 유형이다. 교통, 행정, 문화 관광 스포츠, 보건 의료 복지 등은 도시 특성과 상관없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도시특성과 무관하게 선호되지 않는 서비스 유형이다. 대표적으로 물류와 근로 고용서비스는 도시특성과 상관없이 선호되지 않는 서비스로 분석되고 있다. 셋째, 도시특성에 따라 선호되는 유형과 그렇지 않는 유형이다. 교육과 환경 등은 도시특성에 따라 서비스 선호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에 대한 도시특성에 따른 서비스 항목의 분석결과 추후 U-City 도시건설과정에서 도시특성에 따라 적절한 U-City건설에 필요한 요소기술/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정과정의 비교 분석: 민·관 정책중개자를 중심으로

  • Lee, Dan-Bi;Gu, Min-Gy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8 no.3
    • /
    • pp.413-436
    • /
    • 2014
  • 본 논문은 청주·청원과 전주·완주의 행정구역 통합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2009년 두 지역의 통합은 모두 무산되었다. 그러나 2010년부터 이루어진 재시도에서 청주·청원은 통합에 성공한 반면 전주·완주의 통합은 또다시 무산되었다. 행정구역 통합을 설명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구조 및 환경 등 외생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어 역사적 배경, 지리적 조건, 통합의 시기 등에서 여러 유사점이 있는 두 지역의 비교연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특히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과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로 정책중개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인 통합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통합절차를 5단계로 나누어 그 충족 정도를 분석하였다. 정책중개자는 그 정책선호와 지위를 기준으로 (1)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 (2)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3)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4) 선호 없음의 네 가지 역할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1기(2009년~2010년)에는 두 지역 모두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가 나타났다. 그 결과 전주·완주에서는 여론조사에서, 청주·청원에서는 의회의결단계에서 그 통합시도가 무산되었다. 제2기(2010년~2013년)에는 전주·완주에서는 정책중개자 유형이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유형으로 바뀌어 주민투표단계까지 도달하는 데 그쳤으나, 청주·청원에서는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로 바뀌어 최종 통합시 설치법 단계까지 도달해 통합이 완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