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형저수지 모형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eview of Nonlinear Reservoir Models for the Analysis of Reservoir Characteristics (저수지 특성분석을 위한 비선형저수지 모형 검토)

  • Yoo, Chulsang;Jun, Chang 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2-212
    • /
    • 2011
  • 댐 저수지와 같은 대형 저수지는 댐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홍수를 저류하여 지체 방류함으로서 홍수저감효과를 얻는다. 이러한 홍수저감효과는 저류용량(storage capacity)에 의존적이며, 궁극적으로 저수지의 저류량-유출량 곡선으로 정량화 된다. 저수지의 저류량-유출량 관계곡선은 저수지 홍수추적에 사용되며, 이 곡선의 특성이 저수지 하류 유역에 대한 홍수추적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홍수추적의 경우에는 선형저수지 이론이 적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댐 저수지의 특성은 수심()의 증가에 따른 저류량()의 증가가 유출량()의 증가보다 훨씬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저류량과 유출량간의 관계를 비선형 함수의 형태로 가정할 수 있다. 비선형저수지 모형의 경우에도 선형저수지 모형에서와 동일한 개념을 적용하여 저수지 홍수추적의 지체 및 저류특성을 유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수함수 형태를 고려한 비선형 함수의 변곡점은 원점으로 나타나 선형저수지 모형에서와 동일하게 지체효과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저류효과는 수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으며, 변곡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아울러 저류상수를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변곡점의 위치는 고려한 모든 경우에 대해 원점으로 나타났고, 저류상수는 비선형저수지 모형의 매개변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저류상수는 비선형 함수의 매개변수인 와 비교하여 약 72% 증가된 값으로 수렴하는 형태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저수지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저수지의 저류특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저수지의 저류량-유출량 관계를 지수함수 형태인 비선형 저수지 모형을 도입하여 정량화하였다. 또한 저수지의 저류특성은 저류상수로 정량화할 수 있으며, 저류상수는 비선형 저수지 모형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쉽게 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Effective Storage of Existing Agricultural Reservoir (기존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유효저수량의 평가)

  • Ahn, Tae Jin;Cho, Dong Ho;Lee, Sang Ho;Choi, Gye Woon;Yoon, Y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44-848
    • /
    • 2004
  • 농업용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은 물수지 분석을 근거로 한 저수지 모의 운영을 통하여 결정하고 있다. 유역은 유출량에 관하여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저수지에서 유효저수량의 결정은 유역으로부터의 유출량을 근거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유출량을 근거로 한 추계학적 선형계획모형을 정립하고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을 분석하였다. 선형계획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분석에 있어서 선형결정법칙은 Chance-constrained model과 함께 분석년수와 관계없이 제약조건식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경기도 안성시에 소재하고 있는 금광저수지를 대상지수지로 선정하여 유효지수량을 분석한 결과, 추계학적 선형계획모형에 의한 유효저수량은 물수지 분석에 의한 것 보다 크게 분석되었다. 본 인구에서 제시된 선형계획모형에 의하여 적정한 유효저수량을 결정하고,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결정된 유효저수량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aulic Flood Routing using Linear Reservoir Model (선형저수지모형을 적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 Jeon, Min-Woo;Cho, Yo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6
    • /
    • pp.787-796
    • /
    • 2002
  • Hydraulic flood routing was performed for unsteady flow in a natural river using Preissmann scheme. A Log-Pearson Type-Ⅲ hydrograph is chosen arbitrarily as the upstream boundary condition and lateral inflow hydrographs for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with an actual river system, upstream and lateral inflow hydrographs were estimated by the linear reservoir model and the Manning's equation was used as the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The unsteady flow model using the linear reservoir model as the inflow hydrographs was applied to Bochung stream basin and gives good results, and is approved to be used for the runoff prediction. As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proposed model may help to estimate the roughness coefficients when using the unsteady flow model with lateral inflow combined with the linear reservoir model.

Parameters Study of Linear Reservoir Models for Rainfall-Runoff Response (강우-유출에 대한 선형저수지 모형의 매개변수 연구)

  • Seo, Yeong-Je;Kim, Jin-Gyu;Park, Hyeon-J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6
    • /
    • pp.711-720
    • /
    • 1999
  • In this study, a various rainfall-runoff modelling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to the runoff response of flood hydrograph in three experimental watershed of the western part of korea. Mathematical models of runoff response also have been studied including linear system theory based on modeling techniques. Eight models were operated at the fiv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and the parameters of each model were computed by the Rosenbrock's hill climbing method to minimize the objective function. For the parameter verification of the models, a different complex rainfall-runoff event was selected in the same of the three river basins and derived IUH of the each model could be calibrated. Furthermore multiple regressions of the logarithmic transformation method between model parameters and catchment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e selected five station.

  • PDF

Evaluation of the Effective Storage of Existing Agricultural Reservoir (기존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유효저수량의 평가)

  • Ahn, Tae-Jin;Cho, Dong-Ho;Lee, Sang-Ho;Choi, Gye-Woon;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5
    • /
    • pp.353-361
    • /
    • 2004
  • Effective storage in agricultural reservoir has been determined through the reservoir simu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water budget analysis. Since each watershed has the native property for runoff, considering the runoff yielding from the basin is feasible to the determination of reservoir effective storage. In this study the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 considering mainly runoff from watershed has been also formulated to analyze the effective storage of the exiting reservoir. The linear decision rule coupled with chance-constrained model in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contributes to reduce the size of linear program model without considering the period of analysis. The Geum-Gang reservoir located in Ansung have been adopted to evaluate the effective storage. It has been shown that the effective storage based on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is greater than that based on the water budget analysis. It has been also desired that once the effective storage is obtained through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operation of the reservoir should be performed to check the designed capacity.

Developmen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Predict Agricultural Reservoir Storage based on Naive Bayes Classification and Weather Forecast Data (나이브 베이즈 분류와 기상예보자료 기반의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전망을 위한 저수율 예측 다중선형 회귀모형 개발)

  • Kim, Jin Uk;Jung, Chung Gil;Lee, Ji 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2-112
    • /
    • 201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국부적인 혹은 광역적인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발생횟수 뿐 아니라 가뭄 심도 및 지속기간이 과거보다 크게 증가하여 그에 따른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2014~2015년도의 유례없는 가뭄으로 인해 저수지 용수공급이 제한되면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입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기상청 3개월 예보자료를 활용 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다중선형 회귀 모형을 개발하여 저수율 전망정보를 생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적용 가능한 저수율 다중선형 회귀 모형개발을 위해 5개의 기상요소(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평균풍속)와 관측 저수지 저수율을 활용했다. 기상자료는 2002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상청 63개 지상관측소로부터 기상관측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율 전망 단계를 세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로 농어촌공사에서 전국 511개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및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제시한 65개 대표저수지를 대상으로 기상자료 및 관측 저수율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기상요소와 저수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월별 회귀식을 산정한 결과 결정계수($R^2$)는 0.51~0.95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로 대표저수지의 회귀분석 결과를 전국의 저수지로 확대하기 위해 나이브 베이즈 분류법을 적용하여 전국 3098개의 저수지를 65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군집에 해당되는 월별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국 저수지로 산정된 회귀식과 농업 가뭄 예측을 위해 기상청의 GS5(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5) 3개월 예보자료를 수집하여 회귀식에 적용해 2017년 전국 저수지의 3개월 저수율 전망정보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의 전국 저수지 군집결과 기반의 저수율 전망기술은 2017년도 관측 저수율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이 결과는 추후 농업용 저수지의 물 공급 및 농업가뭄 전망 자료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ologic Re-Analysis of Muskingum Channel Routing Method: A Linear Combination of Linear Reservoir and Linear Channel Models (Muskingum 하도추적방법의 수문학적 재해석: 선형저수지모형과 선형하천모형의 선형결합)

  • Yoo, Chul-Sang;Kim, Ha-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2
    • /
    • pp.1051-1061
    • /
    • 2010
  • This study hydrologically re-analysed the Muskingum channel routing method to represent it as a linear combination of the linear channel model considering only the translation and the linear reservoir model considering only the storage effect. The resulting model becomes a kind of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hose parameters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Muskingum model. That is, the outflow occurs after the routing interval ${\Delta}t$ or concentration time $T_c$, and among the total amount of inflow, the x portion is translated by the linear channel model and the remaining (1-x) portion is routed by the linear reservoir model with the storage coefficient ��$K_c$. The application result of both the Muskingum channel routing method and its corresponding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to an imaginary channel showed that these two models are basically identical. This result was also assured by the application to the channel flood routing to the Kumnam and Gongju Station for the discharge from the Daechung Dam.

A Sampling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 for 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on (저수지군 연계운영을 위한 표본 추계학적 선형 계획 모형)

  • Lee, Yong-Dae;Kim, Sheung-Kown;Kim, J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85-6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군 연계운영을 위한 표본 추계학적 선형 계획(SSLP, Sampling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모형을 제안한다. 일반적 추계학적 모형은 과거 자료로부터 확률변수의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몇 개 구간으로 나누어 이산 확률 값을 산정하여 기댓값이 최대가 되는 운영방안을 도출하지만 저수지 유입량 예측시 고려되어야할 지속성 효과(Persistemcy Effect)와 유역간 또는 시점별 공분산 효과(The joint spatial and temporal correlations)를 반영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과거자료 자체를 유입량 시나리오로 적용하여 시${\cdot}$공간적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표본 추계학적(Sampling Stochastic)기법을 바탕으로 Simple Recourse Model로 구성한 추계학적 선형 계획 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미국 기상청(NWS)에서 발생 가능한 유입량의 시나리오를 예측하는 방법인 앙상블 유량 예측(ESP,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을 통한 시나리오를 적용함으로써 좀더 신뢰성 있는 저수지군 연계운영 계획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ication of A Single Linear Reservoir Model for Flood Runoff Computation of Small Watersheds (소유역량의 홍수유출계산을 위한 단일선형 저수지 모형의 적용)

  • 김재형;윤용남
    • Water for future
    • /
    • v.19 no.1
    • /
    • pp.65-74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Single Linear Reservoir (SLR) model for runoff computations of small river basins in Korea. In the existing watershed flood routing methods the storage coefficient(K), which is the dominant parameter in the model, has been proposed to be computed in terms of the wqtershed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prsent study,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were taken into account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storage coefficient. The parameters finally adopted for the regressions were the drainge are, mean stream slope of the watershed, and the duration and total dffective amount of rainfall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SLR model the computed results by SLR model with K determin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gydrographs, and also with those by other runoff computation methods; namely, the Clark method, nakayasu'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and Nash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t zSLR model gave the best results among these methods in the case of small river basins, but for the whatersheds with significant draingage area the Clark method gave the best results. However, it was speculated that the SLR model could also be accurately applied for flood compuatation in large wagersheds provided that the regression for storage coefficients were made with the actual data obtained in the large river basins.

  • PDF

Evaluation of Reservoir Storage Effect Using Non-linear Reservoir Model (비선형 저수지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의 저류효과 평가)

  • Yoo, Chul-Sang;Jun, Cha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5
    • /
    • pp.407-416
    • /
    • 2011
  • This study expressed the reservoir's storage-discharge relation as a non-linear reservoir model and theoretically quantified the reservoir storage effect. Among those non-linear functions like exponential function, logarithmic function and power function considered, the exponential function of the storage-discharge re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valid. The non-linear reservoir model proposed was applied to the Chungju Dam and the Soyang River Dam, whose storage effects during flood were estimated to be about 23 hours and 43 hours,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hoongju Dam, even though its size and total storage volum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oyang River Dam, does not achieve enough storage effect as its basin size and the inflow amount are much lar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