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행평가

Search Result 2,8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using Effects of Dry Period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무강수와 선행강수효과를 고려한 개선된 표준강수지수 제시)

  • Lee, Jun-Won;Kim, Gwang-Seob;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1-701
    • /
    • 2012
  • 장시간의 강수부족으로부터 야기되는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에 비하여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가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지수는 기후적 혹은 물리적 특성 등을 반영하여 가뭄을 평가하고 있다. 다양한 가뭄지수중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는 가뭄 발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는 강수를 이용하여 가뭄을 평가하고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계산되어지며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강수일수와 선행강수조건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개선된 SPI 지수를 제시하고 가뭄감지능력을 기존의 가뭄지수와 비교 분석 하였다. 무강수일수의 고려를 위하여 월 최대 무강수일수의 확률분포를 구하고 이를 다시 누적확률분포로 나타냄으로서 기존에 가뭄지수에 무강수일수의 영향을 추가할 수 있는 가중치를 생성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월 최대 무강수일의 시점을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간에 따라 가중치를 변환하여 수행하였다. 이전의 강수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15일 이전의 강수를 성수기와 비성수기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간에 강수량에 따른 가중치를 세분하여 기존의 가뭄지수에 추가하였다. 기존의 가뭄지수와 새롭게 제시된 가뭄지수의 평가를 위하여 ROC분석을 사용하였으며, ROC분석은 실제 발생했던 사실과 산정된 값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실제 방생한 가뭄기록과 산정된 지수의 수치를 4가지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평가 기간은 1973년부터 2009년까지이며, 사용된 자료는 우리나라 기상청의 76개 지상관측지점 중 섬 지역 7개를 제외한 69개 지점의 정보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SPI3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향상된 가뭄감지능력을 보여주었다. 무강수일수와 선행강수효과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가중치 생성은 SPI3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수에 적용되어 사용성이 높아 뛰어난 가뭄감지능력을 가지는 가뭄지수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blending radar and numerical rainfall prediction to improve hydroelectric dam inflow forecasts accuracy (발전용 댐 유입량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레이더와 수치예보 예측강우 병합기법 연구)

  • Seong Sim Yoon;Hongjoon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12-112
    • /
    • 2023
  • 발전용댐의 댐 유입량 예측 및 운영을 위해서 (주)한국수력원자력에서는 수자원통합 운영시스템(Water resources Integrated System, WIOS)을 운영 중에 있다. 해당 시스템에서는 댐 유입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상청 수치예보모델 중 하나인 국지예보모델(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의 예측강우를 수문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레이더 기반의 초단시간 강우예측 기법을 자체 개발 중에 있다. 기상청 국지예보모델은 강우의 on/off에 대한 정확도는 90%를 상회할 만큼 높으나 정량적인 강우량의 정확도는 매우 낮고, 레이더 기반의 초단시간 예측 강우는 선행 1~2시간 예측에서는 정량적 정확도는 높으나, 그 이후 예측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댐 유입량의 정량적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초단시간 모델과 국지예보모델의 강우예측 결과를 병합(blending)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 6시간 동안의 예측 성능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시간 0~6시간에 대해서 병합하는 기법들을 적용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병합은 초단시간 예측강우와 수치예보자료 간 가중치를 통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1시간 선행시간에서 레이더 기반 예측강우는 완벽한 예측자료(외삽 관측자료의 가중치는 1.0)로 가정하며, tanh 함수를 이용하여 선행시간의 증가에 따라 가중치를 감소시키면서, 6시간 선행시간에서는 수치예보 예측강우가 완벽한 예측자료라고 가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병합 방법 외에 병합된 예측강우에 과거 관측강우와 예측강우의 평균편이를 적용하여 보정하는 방법, 사례별 변동성이 큰 병합된 예측강우 특성을 고려하여 병합 가중치를 신뢰도에 따라 가변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한다. 이를 통해 댐 유입량 예측에 최적이 되는 병합기법을 선정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stage of mega drought spread (메가가뭄 확산단계별 평가지표 개발)

  • Lee, Sangmin;Shin, Yonghyeo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3-353
    • /
    • 2021
  • 메가가뭄으로 인한 적응전략 수립은 국민의 물 안보 및 수자원 재해에 대한 안전 증대에 매우 중요한 핵심기술임에도 불구하고 메가가뭄의 정량적인 평가지표는 개발 중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메가가뭄 분석 및 영향평가 관련 선행연구사례를 분석하여 메가가뭄 확산 단계별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메가가뭄을 평가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는 이상 강수량과 이상기온을 함께 고려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제안해 왔다. 이상 강수량은 기상학적 가뭄과 토양수분의 저하,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적 영향에 이르기까지 가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할 수 있으며, 이상 기온은 폭염 등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량의 증가로 토양수분 저하와 저수량 감소 등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가가뭄의 확산을 4단계로 구분하고 확산단계별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가뭄유형을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하여 메가가뭄의 발생 단계와 그에 따른 가뭄의 확산 분야별 영향 분석을 수행하도록 제시하였다. 가뭄단계는 메가가뭄의 징후기, 진입기, 확산기, 지속적인 메가가뭄으로 인한 국가적 위기 4단계로 구분하였다. 메가가뭄은 1년 주기의 분석이 아닌 Carry over되는 연속적인 사상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메가가뭄의 단계를 각각 2년, 3년, 4년 연속적으로 지속하였을 때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기상학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누적강수량을 이용한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가뭄, 이상기온(폭염)으로 인한 폭염으로 구분하였다. 농업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농업용 저수지와 밭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수분에 관련한 평가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문학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다목적댐의 저수율과 하천 갈수량을 이용한 하천건천화 지수를 이용한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사회경제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국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지표로써 농작물 가격과 생·공용수의 제한급수 발생 현황을 이용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 PDF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위험성 평가기법의 비교 및 개선방안 - 제조업을 중심으로 -

  • 임현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55-259
    • /
    • 2003
  •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 또 해당질환의 직업관련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위험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 평가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므로, 작업의 위험성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기법의 활용은 해당작업의 특성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기법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특성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기법들이 어떠한 것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는 그다지 소개되어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 활용되고 있는 현장에서의 평가기법을 소개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의 기법을 개발하는 데 있어 직면하게 될 문제들을 거론하고자 하였다.

  • PDF

Assessing Forecast Accuracy of the UM numerical weather model for the Hydrological Application (수문학적 목적의 UM 수치예보자료의 예측정확성 평가)

  • Uranchimeg, Sumiya;Kwon, Hyun-Han;Kim, Ky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3-233
    • /
    • 2017
  • 현재의 기술과 전문가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수치 예보 모델의 해상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신뢰성 있는 장기 예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고해상도 모델의 경우 미세한 오차가 발생 하더라도, 실제 기상학적 관점에서 시공간적으로 변동성이 크게 발생할 개연성이 크며, 이로 인해 모델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한국 기상청(KMA)에서는 영국기상청으로부터 도입한 통합모델(UM)을 현업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기상청 통합모델인 UM3.0 예보모델의 예측정확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기상청 UM3.0 모델은 3km의 공간해상도와 1시간 시간해상도를 가지며, 예보시작시점기준 7일간의 예보정보를 제공한다. 강수량 예측정보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예측 시계열에 대해 RMSE, 편의 및 등 다양한 통계지표와 공간적인 강수량 발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FSS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UM3.0 모델의 1시간 및 3km의 시공간해상도와 선행예보 기간을 그대로 수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수문학적 활용관점에서 최적의 시공간적 규모와 선행예보 시간을 분석하였다.

  • PDF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long-term drought outlook information using the long-term forecasting data (장기예보자료를 활용한 장기 가뭄전망정보 산정 및 평가)

  • So, Jae-Min;Oh, Taesuk;Bae, Deg-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0
    • /
    • pp.691-701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ng-term drought outlook information based on long-term forecast data for the 2015 drought event. In order to estimate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for different durations (3-, 6-, 9-, 12-months), we used the observation precipitation of 59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sites, forecast and hindcast data of GloSea5.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CC;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ere used to evaluate the utilization of drought outlook information for the forecast lead-times (1~6months). As a result of ROC analysis, ROC scores of SPI(3), SPI(6), SPI(9) and SPI(12) were estimated to be over 0.70 until the 2-, 3-, 4- and 5-months. The CC and RMSE values of SPI(3), SPI(6), SPI(9) and SPI(12) for forecast lead-time were estimated as (0.60, 0.87), (0.72, 0.95), (0.75, 0.95) and (0.77, 0.89) until the 2-, 4-, 5- and 6-months respectively.

Implementation of the Platform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지문 인식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플랫폼 구현)

  • 문지현;안도성;김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01-603
    • /
    • 2001
  •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의 개발에는 장비와 알고리즘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목표로 하는 대상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개인인증 시스템의 개발 및 평가에 있어 필요한 성능 평가 플랫폼을 구현하고, 기 보유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실험결과를 해외의 테스트 플랫폼의 그것과 비교함으로써 평가의 신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발에 드는 금전적, 시간적 비용을 줄여 최적의 시스템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영국의 맞춤형 보증 서비스 제도 분석을 통한 국내 평가서비스 향후 발전방향

  • Go, Woong;Kwak, Jin
    • Review of KIISC
    • /
    • v.19 no.2
    • /
    • pp.99-108
    • /
    • 2009
  • 정보화 사회가 추진됨에 따라 다양한 IT 제품 및 시스템의 개발이 증가되고 이를 통한 삶의 질적 향상 및 효율적인 생활을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IT제품 및 시스템의 보안성 평가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보안성 평가 서비스가 개발되고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보안성 평가 서비스 개발 및 연구에 필요한 선행연구로서 영국의 맞춤형 보증 서비스 제도의 절차 및 기준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평가 서비스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An Evaluation on the Old Literatures in the Late Yi Dynasty - Focusing on the Literatures of the Political Arguments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 and King Kyeungjong - (조선후기 고문헌 평가를 위한 연구 -숙종ㆍ경종 양조의 당쟁관계문헌을 중심으로-)

  • 최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5.08a
    • /
    • pp.153-156
    • /
    • 1995
  • 본 연구는 조선후기문헌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당쟁관계문헌의 1차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한국학 분야의 주제전문사서에게 조선후기자료에 대한 평가와 이용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게 함이 목적이다. 역사적 사건별로 동일사건에 대해,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문헌의 서술태도와 관점을 분석한 결과, 각 문헌이 저자의 소속당파에 따라 편파적으로 기술됐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조선후기의 당쟁관계문헌은 도서의 일반적인 평가기준에 선행해 저자의 당파적성향고찰을 1차적인 평가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 PDF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of Software Component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품질 평가 모델)

  • Kim, Ji-Hyeok;Kim, Soo-D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5a
    • /
    • pp.307-313
    • /
    • 2006
  •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특정 도메인 내에서 패밀리 멤버들 사이의 공통 기능성을 구현한 것이다. 하나의 멤버를 위해 개발된 컴포넌트는 다양한 패밀리 멤버에서 재사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컴포넌트를 개발할 경우에 다양한 멤버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품질 측정은 성공적인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요한 선행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품질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측정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특징을 식별하고, 식별된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품질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품질 평가 모델은 특성, 부특성, 메트릭으로 구성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