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천적 심질환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1초

개심술 111예에 대한 임상적고찰 (Clinical Analysis of Open Heart Surgery -A report of 111 cases-)

  • 이철주;정태은;이동협;강면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215-219
    • /
    • 1986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6년 한해동안 111예의 개심술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전 111예중 선천성 심질환이 88예로 79.2%를 차지했고 후천성 심질환은 23예로 20.8%를 차지했다. 2. 환자의 연령은 선천성 심질환의 경우 생후 5개월에서 52세까지였고 후천성 심질환의 경우 14세부터 55세까지였다. 3. 남녀의 비는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모두 남자가 1.3배 많았다. 4. 선천성 심질환 88예중 심실중격결손증이 45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심방중격 결손증으로 16예였고 활로씨 4증후군이 14예였다. 5. 후천성 심질환은 심장판막질환이 대부분으로 23예를 차지했고 1예가 해리성대동맥류이었다. 6. 수술사망은 선천성 심질환에서 2예 후천성 심질환에서 1예로 총 사망율은 2.7%였다.

  • PDF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환자에서 체외순환 전, 중, 후의 동맥혈 가스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rterial Gases and Acid-base statu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Heart Disease at Preoperative Period, Dur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and Postoperative Period)

  • 이동석;이봉근;김송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31-842
    • /
    • 2001
  • 배경: 심질환 환자는 심장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결함으로 인하여 혈역학적 변화가 필연적으로 존재하며 그 결과 신체대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수술전부터 산, 염기의 이상이 초래된다. 수술방법에는 필연적으로 비생리적인 체외순환법과 저체온법 및 혈액희석법과 같은 다양한 특수한 기법이 도입된다. 따라서 수술전 이미 존재하는 산 염기의 이상상태에서 체외순환이라는 수술적 침습에 의해 가해지는 shear압박으로 인하여 이미 악화된 상태의 산 염기 변화를 더욱 심하게 만들게 된다. 저자는 청색증을 포함한 소아심질환 환자와 선천성을 포함한 성인 심질환 환자에서 수술전 체외순환중, 수술후의 산, 염기의 치료지침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1999년 5월가지 체외순환하에 개심술을 시행한 52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소아 및 성인 심질환,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그리고 비청색증과 청색증심장병으로 구분하여 수술전, 수술중의 체외순환중, 그리고 수술후 각각 $\alpha$-stat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를 분석,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수술전 산 염기 상태는 모든 심질환 환자들에서 대상성 대사성 산증이 기본적으로 존재하였다. 또한 성인 심질환과 후천성 심질환 환자군에서 저탄산가스 혈증이 존재하였으며, 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만 유일하게 대상성 호흡성 염기증이 있었다. 체외순환중에는 성인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염기증만이 발생하였고 후천성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정상상태의 산 염기 상태이었다. 반면에 소아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저 탄산가스 혈증 및 대상성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염기증이 함께 공존하였다. 선천성과 비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각각 비대상성 호흡성 염기증 경향과 비대상성 호흡성 염기증이 발생하였다. 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체외순환중에 오히려 대상성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염기증이 발생하였다. 수술후 성인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정상 상태의 산 염기 상태로 회복되었으며, 후천성심질환 환자군에서는 단지 표준 bicarbonate가 증가한 것만이 나타났다. 소아, 선천성, 비청색증 및 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모두 공통적으로 buffer base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개심술 450례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Open Heart Surgery -Review of 450 Cases)

  • 이서원;이계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770-779
    • /
    • 1997
  • 본원에서는 1985년 2월 부터 1996년 8월까지 450례의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450례중 선천성 심질환은 222례(49.3%), 후천성 심질환은 228례(50.7%)로 거의 비슷한 비율이었으며, 후반 기 5년간은 후천성 심질환이 더 많았다. 선천성 심질환은 비청색증심질환이 201례, 청색증 심질환이 21례를 차지 하였으며, 수술 사망율은 각각 5.5%와 38.1%를 차지하였다. 청색증 심질환은 대부분 활롯 4징증 이었다. 후천성 심질환 228례중 판막질환은 17례, 허혈성 심질환은 32례, 대동맥 질환은 12례, 심장종양은 6례 있었다. 판막질환은 승모판치환술이 87fll,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45례, 이중판막 치환술이 35례를 차지하였다. 허혈성 심장병의 평균문합순는 2.37개소 였으며, 사망율은 6.3%였다. 판막질환의 사망율은 10.8%, 대동맥질 환의 사망율은 16.7%였다. 전체 사망율은 9.6%이며, 선천성 심질환은 9.0%, 후천성 심질환은 10.1%였다.

  • PDF

개심술(開心術) 2,000례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Open Heart Surgery)

  • 김하늘루;박경택;곽기오;한일용;소영환;최강주;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83-1194
    • /
    • 1998
  • 배경: 인제 대학교 의과대학 부산 백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85년 9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총 2,000례의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체 2,000례의 개심술 중 선천성 심질환이 1532례, 후천성 심질환이 468례였다. 연령별 분포는 선천성 심질환에서는 생후 9일에서 68세 까지였고, 후천성 심질환에서는 11세부터 66세 까지였다. 결과: 선천성 심질환군은 심실중격 결손증(VSD)이 940례, 심방중격 결손증(ASD)이 324례, 팔로 4징증(TOF)이 112례, 폐동맥 협착(PS)이 46례, 심내막상 결손(ECD)이 38례, 발살바동 파열(Valsalva sinus rupture)이 15례, 완전 대혈관 전위증(TGA) 과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DORV) 각각 4례 등으로 구성되었다. 선천성 심질환군에서는 근치적 수술후 3.1%의 사망률을 보였다. 후천성 심질환군 468례 중 심장 판막질환이 381례, 허혈성 심질환이 48례, 심장종양이 12례, Annuloaortic ectasia가 8례, 박리성 대동맥류가 16례 등이었다. 381례의 판막질환 중 단일 판막 치환술이 226례(대동맥 판막 치환술 36례, 승모판막 치환술 188례, 삼첨판막 치환술 2례), 이중 판막 치환술이 71례(대동맥 판막 치환술 과 승모판막 치환술), 승모판막 치환술과 삼첨판막 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가 54례, 이중 판막치환술과 삼첨판막 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가 18례 등이었다. 사용된 인공판막은 총 466개 였다. 승모판막 치환술에 사용된 인공판막은 St. Jude Medical 판막이 123개, Carpentier-Edwrads 판막이 90개, CarboMedics 판막이 65개, Sorin 판막이 42개, 기타 판막이 16개였다. 대동맥 판막 치환술에 사용된 인공 판막은 St. Jude Medical 판막이 68개, CarboMedics 판막이 36개, Carpentier-Edwards 판막이 14개, 기타 판막이 9개 였다. 관상동맥 우회술(CABG)은 48례에서 시행되었다. 혈관 이식편의 수는 단일 혈관 이식이 14례, 이중 혈관 이식이 21례, 삼중 혈관 이식이 10례, 사중 혈관 이식이 3례였다. 결론: 술후 재원 기간내 사망률은 비청색증 선천성 심질환에서 2.0%, 청색증 선천성 심질환에서 15.5%, 후천성 심질환에서 5.1%였다. 전체 사망률은 2,000례 중 72명이 사망하여 3.6%였다

  • PDF

소아 선천성 심질환 진단을 위한 성대 진동 분석 요소의 적용 (Application of Vocal Fold Vibration Analysis Parameter for Infant Congenital Heart Diseases Diagnosis)

  • 김봉현;조동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708-2714
    • /
    • 2009
  • 언어를 통한 의사 전달 능력이 부족한 영아나 소아들은 울음으로서 자신의 몸의 상태나 요구하는 것에 대한 의사 표시를 행한다. 이 중 중요한 것이 소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데 언어 전달 능력이 없는 소아들의 질병은 진단 시기를 놓치거나 정확한 진단 결과를 내리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울음소리를 분석하여 몸의 어느 부위가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해 내는 소아 청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울음소리의 피치, 강도 및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소아 선천성 심질환자에 대한 질병 진단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분석 요소를 통해 정상적인 아이와 소아 선천성 심질환을 앓고 있는 아이에 대한 울음소리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의사표현 능력이 부족한 소아를 대상으로 편리하게 소아 선천성 심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임상 자료의 추가 실험을 통해 울음소리 기반의 재택형 진단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에 동반된 갈색세포종 (Pheochromocytoma associated with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 정승준;이영아;신충호;양세원;배은정;노정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93-97
    • /
    • 2008
  • 갈색세포종은 부신 수질과 크롬친화성 조직에서 발생하는 소아기에는 드문 종양이다. 갈색세포종은 저산소증 상태와 연관이 있어, 단심실성 심장질환 수술 후에도 청색증이 지속되는 환자에서 병발하는 경우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갈색세포종의 증상이 애매할 뿐만 아니라 심장 질환 또는 치료 약제에 의하여 전형적인 증상들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 환자에서 갑작스런 고혈압, 심장 상태의 악화, 또는 당뇨병 등을 포함한 애매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갈색세포종을 감별 진단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선천성 단심실성 심장질환과 갈색세포종이 동반된 2례를 보고한다.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영아에서 발견된 폐 격리증을 동반하지 않은 폐의 이상 체 동맥 기시 1례 (Anomalous systemic arterial supply to lung without sequestration in an infant who has congenital heart disease : a case report)

  • 장연우;최덕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8호
    • /
    • pp.895-897
    • /
    • 2006
  • 폐 격리증이 없는 정상적인 폐에 체 혈관이 이상 기시하는 것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반복적인 하기도 감염을 보이는 영아에서 선천성 심장질환의 상태가 본 하기도 감염을 나타낼 정도로 심하지 않음을 이상히 여겨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폐 격리증이 없는 폐의 이상 체 동맥 기시가 우측 폐하 엽에 존재함과 동시에 우측 하엽 폐동맥이 없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어린 나이에 이 같은 선천성 질환의 조합은 이전에 보고 된 바가 없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생각된다.

성인의 선천성 심방중격결손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Septal Defect in Adult - Clinical Review of 31 Cases -)

  • 장운하;오태윤;배상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770-775
    • /
    • 1998
  • 배경: 심방중격결손증은 선천성심질환중 가장 흔한 질환중의 하나이며 성인에서 진단되는 선천성 심질환 의 30%를 차지한다. 상당수의 환자들이 성인이 될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이 잘 지내기도 하고, 40∼50대에 사망 하는 경우가 많지만, 더 오래 사는 경우도 흔히 발견된다.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주로 우심부전이나 부정맥이다. 대상 및 방법: 강북삼성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88년부터 1997년 6월까지 총33례의 심방중격결손증을 수술 하였으며, 그중 31례가 성인 심방중격결손증이었다. 동반질환은 삼첨판 폐쇄부전이 2례, 폐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폐쇄부전 및 삼첨판 폐쇄부전, 그리고 관상동맥질환이 각각 1례였다. 결과: 모든환자에서 첩포봉합술이나 직접봉합술을 이용하여 수술하였으며, 수술후 경과는 모두 양호하였다. 수술후 심전도와 혈류역학, 및 심초음파검사상 호전을 보였다. 결론: 성인의 심방중격결손증은 60세이상의 고령일지라도 폐동맥고혈압이나 우심부전, 부정맥등을 예방 하기 위한 적극적인 외과교정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 PDF

심박수를 이용한 부정맥 검사 시스템 (Arrhythmia Detection System using Heart Rate)

  • 장원려;박두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8-460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폰이 보편화되면서 스마트 폰을 잘 활용하기 위한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였다. 특히나 건강관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많이 나오고 있다. 현대 사회는 자기 몸 상태,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질환, 선천성 심질환,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등 심장의 변화, 고도의 스트레스, 카페인, 술, 흡연, 불충분한 수면등 환경의 변화 등이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많기 때문에 부정맥에 걸리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부정맥을 예방하기 위해 부정맥을 찾는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심박을 통한 부정맥을 찾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성인의 선천성 심질환 수술 후 발생한 폐동맥 고혈압 위기증에서 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이용한 치험 - 1례 보고 - (Treatment of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Using ECMO - A Case Report -)

  • 최재성;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64-667
    • /
    • 2002
  • 선천성 심질환에 대한 개심술후 발생한 폐동맥 고혈압 위기증이 혈관확장제 등의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산소공급의 확보를 통한 폐혈관 저항의 상승 방지, 심박출량의 상당 부분의 바이패스를 통한 폐관류압의 감소, 우심실의 용적 부하 감소 및 심실보조 기능을 통한 우심부전 및 저심박출의 예방 등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경우, 동맥관 개존증과 이차성 폐동맥 고혈압이 합병되어 있었던 37세 남자에서 수술후 발생한 폐동맥 고혈압 위기증에 대한 치료시 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함께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