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교량 충돌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선박과 교량의 충돌예방에 관한 연구

  • Yun, By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66-67
    • /
    • 2011
  • 항로를 횡단하여 건설되는 교량이 증가하고 해상교통의 증가에 비례하여 항로의 혼잡도가 증가하는 만큼 선박과 교량의 충돌우려가 커지고 있다. 선박과 교량의 충돌은 단순 접촉사고가 아닌 재난급 사고의 개연성이 크다. 직접 손괴를 일으키는 큰 충돌이 아니더라도 선박과 교각의 충격진동에 의하여 교량상판이 균형을 잃고 연쇄 붕괴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많은 인명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적정 교각 폭, 교각의 시인성 증진을 위한 표지와 등화의 설치 및 점등방법 등의 환경 여건 개선, 충돌방지공의 효과 검토, 교량 통과전 사전 점검사항, 교량 부근에서 선박의 조종성 유지방안, 예선의 효과 연구, 관제기법과 안전규정, 불가피한 충돌이나 접촉의 경우 손실 감소대책과 충돌방지공의 효과 등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면피용 탁상이론을 배제하고 현장실무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voiding Collision between a Ship and Bridge and Minimizing Damages if Unavoidable (선박과 교량의 충돌예방과 충돌시 손상의 감소방법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Won;Yun, Jeom-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376-382
    • /
    • 2007
  • A Collapse of bridge by ship's collision to the bridge post may lead a great calamity. This paper investigates on avoiding collision between a ship and bridge by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factors, submitting a counter plan of reducing collision effect by triangular type of collision protecting bar and ship maneuvering skills. Putting up collision protecting bar fences of triangular type around the bridge posts would decrease the collision impact force by 75 percent.

  • PDF

The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Ship Collision Force to the Substructure of Bridges (교각에 작용하는 선박의 충돌력 산정에 대한 연구)

  • Hong, Kwan-Young;Lee, Gye-Hee;Chung, Hyu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738-741
    • /
    • 2010
  • 최근 국내에서 해상교량 건설이 증가하면서 교량에 충돌하는 선박의 충돌력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지만 선박충돌력에 대한 국내 기준은 AASHTO LRFD에 근거를 두고 있는 실정이다. AASHTO LRFD에 의한 선박충돌력은 Woisin의 평균충돌력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충돌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ASHTO LRFD에서 제시하는 충돌력의 변화곡선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AASHTO에서 제시된 충돌력 변화곡선은 선박의 최대충돌력 변화곡선과 같이 선형적 변화를 보이는 반면, 본 선박 충돌해석 결과의 평균충돌력은 최대충돌력의 선형적 변화거동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비선형 충돌해석을 통하여 AASHTO LRFD에 의해 산정되는 선박충돌력의 부적절성을 거론하였다.

  • PDF

A Simplified Bridge-vessel Collision Model Considering with the Rotational Motions of the Vessel (선체의 회전을 고려한 선박과 교량의 간이충돌모델)

  • Lee, Gye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2A
    • /
    • pp.43-49
    • /
    • 2011
  •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ollision behaviors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and the vessel which the collision point is located far from its rotation center such as bridge of a vessel and equipments on a barge, the simplified collision model was proposed. The model was configured to denote the mass, stiffness and the nonlinear behaviors of the bridge and the vessel. The nonlinear equation of motions of the proposed model were numerically solved by 4th order Runge-Kutta method. The parametric studies were performed for various collision conditions by the standardized Korean barge vessel in term of barge width, and its effects to the maximum collision load of bridge were analyzed.

해상교량관련 해양사고 조사 ${\cdot}$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Yeong-Su;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69-271
    • /
    • 2007
  • 현재 세계 각지에는 선박이 통항하는 항행수역에 해상교량이 건설되고 있다. 이와 동반하여 선박이 해상교량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 인천 제2연육교의 완성과 더불어 선박이 통항하는 항행수역에 해상교량이 건설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해역에 건설된 해상교량은 선박의 항행수역에 건설되기 때문에 타와 주기관의 고장 등으로 선박이 해상 교량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충돌사고 예방을 위하여 외국 및 우리나라의 해상교량과 관련한 해양사고 발생 현황 및 원인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 PDF

Design Vessel Selection of Maritime Bridges using Collision Risk Allocation Model (충돌위험분배모델을 이용한 해상교량의 설계선박 선정)

  • Lee, Seong-Lo;Lee, Byung Hwa;Bae, Yong-Gwi;Shin, Ho-Sa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0 no.3
    • /
    • pp.123-134
    • /
    • 2006
  • In this study ship collision risk analysis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esign vessel for collision impact analysis of the maritime bridge. Method II which is a probability based analysis procedure is used to select the design vessel for collision impact from the risk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procedure, an iterative process in which a computed annual frequency of collapse(AF) is compared to the acceptance criterion, includes allocation method of acceptance criterion of annual frequency of bridge component collapse. The AF allocation by weights seems to be more reasonable than the pylon concentration allocation method because this AF allocation takes the design parameter characteristics quantitatively into consideration although the pylon concentration allocation method brings more economical results when the overestimated design collision strength of piers compared to the strength of pylon is moderately modified. From the assessment of ship collision risk for each bridge pier exposed to ship collision, a representative design vessel for all bridge components is selected. The design vessel size varies much from each other in the same bridge structure depending upon the vessel traffic characteristics.

Collision Fragility Analysis of Offshore Bridge by Ship (선박에 의한 해상교량의 충돌취약도 해석)

  • Cho, Byung-Il;Kim, Dong-Hyawn;Oh, You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4
    • /
    • pp.224-229
    • /
    • 2010
  • Collision fragility analysis of offshore bridge by ship was performed. Collision velocity and angle were chosen as random variables then collision of 18,000DWT and 30,000DWT ships with bridge was analyzed. Displacement response surface of bridge by ship collision was estimated by varying ship velocity from 2 m/s to 7 m/s. Using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fragility curves of collision was established and risk of offshore bridge to collision velocity as median and log-standard deviation was presented.

Development of Collision Risk Evaluation Model Between Passing Vessel and Mokpo Harbour Bridge (통항 선박과 목포 대교의 충돌 위기 평가 모델 개발)

  • Yim, Jeong-B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4 no.6
    • /
    • pp.405-415
    • /
    • 2010
  • To assess the possible collision risk between Mokpo Harbour Bridge, which is under construction, and passing vessels, we proposed Real-Time Bridge-Vessel Collision Model (RT-BVCM) in this paper. The mathematical model of RT-BVCM consists of the causation probability by the vessel aberrancy due to navigation environments, the geometric probability by the structural feature of a bridge relative to a ship size and, the failure probability by the ship collision track and the stopping distance which is not to come to a stop before hitting the obstacles. Then, the probabilistic mathematical model represented as risk index with the risk level from 1 to 5. The merit of the proposed model to the collision model proposed by AASHTO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is that it can provide enough time to take adequate collision avoiding action. Through the simulation tests to the two kinds of test ships, 3,000 GT and 10,000 GT, it is cleary found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used as a collision evaluation model to the passing vessel and Mokpo Harbour Bridge.

해상교량과 해상풍력단지의 안전성 평가기법 조사 연구

  • Kim, Tae-Gyun;Byeon, Sang-Hyeon;Yang, Won-Jae;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71-473
    • /
    • 2013
  • 주요 통항로에 설치된 해상교량과 해상풍력단지는 선박의 안전항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90년대 들어 국내에 다수 건설된 해상교량은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대규모 선박-교량 충돌사고의 유발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국내 군산지역에 구축될 해상풍력단지 역시 선박과의 충돌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과거에 연구 개발된 해상교량과 해상풍력단지의 안전성 평가기법을 조사하고, 향후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면 궁극적인 해양사고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고려되었다.

  • PDF

해상교량 관련 해양사고 발생 현황 조사분석

  • Park, Yeong-Su;Park, Mi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83-84
    • /
    • 2019
  • 2019년 2월 28일, 선장의 음주와 잘못된 선박 운항으로 러시아 선박의 광안대교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다. 유례없던 대형 선박의 대교 충돌로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계속적으로 국내외에서 해상교량 관련 해양사고는 발생하고 있다. 해상교량 관련 해양사고는 다른 사고와 달리 육상에도 큰 피해를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외 해상교량 관련 해양사고를 조사하여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했으며, 추후에 해상교량 관련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 연구 진행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