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 설계

Search Result 1,7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레저용 쌍동선 선박 설계와 제작(Ⅰ)

  • Gu, Hyeon-Mo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1
    • /
    • pp.49-54
    • /
    • 2003
  • Ⅰ. 레저용 쌍동선 선박의 초기 개략도와 설계 1. 서언 2. 레저선박 모덱개발의 단계 3. 초기 설계시 고려사항 4. 선형개발 5. 갑판설계 Ⅱ. 레저용 쌍동선의 Mould Plug 제작과정 및 제품 생산 과정 Ⅲ. 타국의 레저용 쌍동선의 승인 및 등록 절차와 방법 및 관리체계 Ⅳ. 레저용 쌍동선의 구조 및 구조설계 Ⅴ. 레저용 쌍동선의 인테리어 및 인테리어 설계 Ⅵ. 레저용 쌍동선의 전기장치와 가관장치 Ⅶ. 레저용 쌍동선의 안전설비 및 설치요령 Ⅷ. 레저용 쌍동선과 연계되는 사업 Ⅸ. 세계 유명 Boat Show의 소개와 레저 선박산업의 현재 Ⅹ. 한국 레저선박산업의 현실과 대응

  • PDF

Fundamental Study On Ship Calculation Program Application Based On Web (Web기반에서의 선박기본계산 프로그램 지원에 관한 기초적 연구)

  • 박제웅;배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36-39
    • /
    • 2001
  • 최근 web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과 관련한 기술은 선박설계 과정에서 설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설계 패러다임에 도입되고 있다. Web을 기반으로 한 선박설계는 분산된 설계환경에서 여러 설계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계정보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에서도 설계자가 원하는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 현재 소형선박을 설계하는 현장에서는 데이터 베이스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 작업시 수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작업의 반복은 설계 과정에서 에러를 발생시키고 각 설계 단계별로 발생하는 설계 데이터의 손실로 인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eb 기반을 통한 선박기본계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설계정보들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소형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나 설계 용역을 담당하는 설계사무소와 같은 원격지에서도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ime Basis Ship Safety Assessment model for a Novel Ship Design (신선종 설계를 위한 사고 전파시간 기반의 선박안전성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Jo, Min-Chul;Kim, Hwa-Young;Kim, Joo-Hwan;Kang, Hee-Ji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7
    • /
    • pp.88-97
    • /
    • 2014
  • 새로운 선박을 설계하거나 기존의 규칙, 규정을 따르지 않는 대체설계를 수행할 경우에는 인명, 환경 및 재산 등과 관련한 선박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기존 선박 이상의 안전성을 갖고 있음을 반드시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IMO 공식안전성평가 등 기존의 위험도 기반 방법론, 절차 및 도구들은 실제 선박의 설계에 적용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선박설계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 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Design Vessel Selection of Maritime Bridges using Collision Risk Allocation Model (충돌위험분배모델을 이용한 해상교량의 설계선박 선정)

  • Lee, Seong-Lo;Lee, Byung Hwa;Bae, Yong-Gwi;Shin, Ho-Sa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0 no.3
    • /
    • pp.123-134
    • /
    • 2006
  • In this study ship collision risk analysis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esign vessel for collision impact analysis of the maritime bridge. Method II which is a probability based analysis procedure is used to select the design vessel for collision impact from the risk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procedure, an iterative process in which a computed annual frequency of collapse(AF) is compared to the acceptance criterion, includes allocation method of acceptance criterion of annual frequency of bridge component collapse. The AF allocation by weights seems to be more reasonable than the pylon concentration allocation method because this AF allocation takes the design parameter characteristics quantitatively into consideration although the pylon concentration allocation method brings more economical results when the overestimated design collision strength of piers compared to the strength of pylon is moderately modified. From the assessment of ship collision risk for each bridge pier exposed to ship collision, a representative design vessel for all bridge components is selected. The design vessel size varies much from each other in the same bridge structure depending upon the vessel traffic characteristics.

Ship Collision Risk of Suspension Bridge and Design Vessel Load (현수교의 선박충돌 위험 및 설계박하중)

  • Lee, Seong Lo;Bae, Yong Gw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A
    • /
    • pp.11-19
    • /
    • 2006
  • In this study ship collision risk analysis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esign vessel for collision impact analysis of suspension bridge. Method II in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which is a more complicated probability based analysis procedure is used to select the design vessel for collision impact. From the assessment of ship collision risk for each bridge pier exposed to ship collision, the design impact lateral strength of bridge pier is determined. The analysis procedure is an iterative process in which a trial impact resistance is selected for a bridge component and a computed annual frequency of collapse(AF) is compared to the acceptance criterion, and revisions to the analysis variables are made as necessary to achieve compliance. The acceptance criterion is allocated to each pier using allocation weights based on the previous predictions. This AF allocation method is compared to the pylon concentration allocation method to obtain safety and economy in results. This method seems to be more reasonable than the pylon concentration allocation method because AF allocation by weights takes the design parameter characteristics quantitatively into consideration although the pylon concentration allocation method brings more economical results when the overestimated design collision strength of piers compared to the strength of pylon is moderately modified. The design vessel for each pier corresponding with the design impact lateral strength obtained from the ship collision risk assessment is then selected. The design impact lateral strength can vary greatly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ame bridge, depending upon the waterway geometry, available water depth, bridge geometry, and vessel traffic characteristics. Therefore more researches on the allocation model of AF and the selection of design vessel are required.

A Study on Agent Based Initial Design for Small Ship (소형선박에서 에이전트기반의 초기설계에 관한 연구)

  • 박제웅;임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35
    • /
    • 2001
  • 현재 중. 소형조선소의 소헝선박설계는 실무자의 경험에 의해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소형선박설계는 정보의 생성과 교환 및 축적이 원활하지 못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선박설계의 정보 공유와 협동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분산환경에서의 동시공학개념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소형선박의 초기설계에서 기본정보의 생성을 위한 주요치수선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생성된 정보의 공유를 위해 에이전트기반 시스템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어에이전트의 주요기능인 Content-Based Routing 개념을 제시함으로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설계시스템의 통합화를 보이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 항해 지원을 위한 경로 생성 알고리즘의 프레임워크 설계

  • 박정홍;강민주;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25-32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이 항만시설 중 정박구역이나 정박지를 항행하는 과정에서 정박 및 묘박 중인 선박들과의 예기치 못한 충돌 사고를 예방하며 안전하게 항행하기 위한 경로 생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박구역과 같은 고밀집 영역 내 정박 또는 묘박 중인 선박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자율운항선박의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핵심 요소들을 식별하였다. 또한, 식별된 핵심 요소들을 알고리즘에 반영함과 동시에 자율운항선박의 항해 지원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프레임워크 내 각 모듈별 관계와 모듈별 입출력 정보의 흐름을 체계화하였으며, 모듈들의 기능적 요소를 포함한 주요 성능을 검증하고자 모의 환경 구축을 위한 요소 모듈들을 식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고밀집 영역 내에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경로 생성 알고리즘의 설계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PDF

A Scheduling and Control System for a Ship Accommodation Design Process (선박 거주구 설계 일정관리 시스템)

  • Kim, J.J.;Kwon, O.H.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4
    • /
    • pp.124-132
    • /
    • 1996
  • This paper discusses a scheduling system effective for producing optimum load distribution in ship design proces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n accommodation design. Through various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design process control, it was possible to formulate an algorithm of producing an optimum design schedule. Basic manhours far the ship to be planned by multiplying a difficulty level coefficient for the standard manhours for each design activity is preset, and is converted into manhours for the ship to be planned by multiplying a difficulty level coefficient for the ship. A relation matrix of the design activities is employed in representing the network of the activities. The computerized system showed very effective in producing a design schedule of leveled work load on which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a ship to be planned are properly reflected.

  • PDF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예측 및 운항 해역 항적 정보 기반의 비상상황인식 프레임워크 설계

  • 박정홍;최진우;김채원;홍성훈;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73-7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예측 가능한 운항 경로 상에 잠재된 비상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운항 해역의 항적 정보를 활용한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충돌 위험과 같은 비상위험을 식별하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프레임워크는 크게 항적 특성 분석 모듈, 항로예측 모듈, 위험 식별 모듈로 구성된다. 항적 특성 분석 모듈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해역에 관한 선박들의 항적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대상 VTS 관제 영역 내에서 취합된 누적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박의 항적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운항 경로 예측 모듈에서는 누적된 항적 정보와 자율운항선박의 현재 운항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간 동안의 운항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험 식별 모듈에서는 예측한 운항 경로 상에 최근접점과 최근접점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위험 가능성이 있는 충돌위험영역을 식별하였다. 설계한 프레임워크는 자율운항선박의 육상 관제소에서 원격 제어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회피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실제 항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A Design of Vessel-USN Middleware (선박USN 미들웨어 설계)

  • Cho, Han Na;Joo, Young Sun;Kim, Ki Young;Lee, Jin Seok;Jung, Min A;Lee, Seong R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38-941
    • /
    • 2009
  • 디지털 선박 건조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선박 내에 USN(Ubiquitous Senser Network)의 구축이 요구되며, 센서 노드와 서버의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담당하는 선박USN 미들웨어가 필요하다. 일반 USN 미들웨어와는 달리 선박USN 미들웨어는 선박이라는 특수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선박은 해상운송수단이므로, 보다 높은 안전성의 확보가 필요하고 제한된 자원의 공급으로 인해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한 선박USN 미들웨어를 설계한다. 설계한 USN 미들웨어는 상황인식을 통해 데이터의 거짓 유무를 판별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특성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