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조종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선박의 조종성능 모델링이 선박 통항 시뮬레이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Gong, In-Yeong;Yang, Yeong-Hun;Yun, Geun-Hang;Park, Se-Gil;O,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96-98
    • /
    • 2011
  • 2010년 1월부터 발효된 국토해양부의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에서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본선의 조종성능 모델링 결과가, 최종적인 선박통항 안전성 평가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동일한 환경조건 하에서 선박의 조종성능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검토하였다. 직선수로, 이중 변곡 수로, 그리고 실제 해역에서의 평가결과를 보였으며, 환경외력의 크기에 따라 조종성능의 변화가 최종 안전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인지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개념

  • Yu, Sang-Rok;Jeong, Jae-Yong;Kim, Deuk-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4-255
    • /
    • 2015
  • 지금까지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선박설비 개선, 운항요건 강화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 개선에 주력하였지만, 선박을 운항하는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은 수행 횟수가 많을수록 조종성능에 익숙해짐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인지 시뮬레이터의 개념도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고정된 항로가 아닌 랜덤하게 변하는 항로 조건에서 해기사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상황인식에 대한 여러 요소들은 항해 수행에 근저하는 인간 요인의 규명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Adequacy of Audit Techniques and Advancement of Ship-Handling Simulation for Maritime Safety Audit (해상교통안전 진단 기술의 적정성 및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고도화)

  • Lee, Yun-S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4
    • /
    • pp.391-398
    • /
    • 2011
  • SHS(Ship-Handling Simulator) is virtual generation of vessel traffic situation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Recent, with the introduction of MSA(Maritime Safety Audit), SHS is being used as a key facility to determine the safety of navigation. However, the current audit techniques specified in the implementation guidance of MSA have been prepared by generalizing common procedures and evaluation methods used by institutions operating simulator systems. Therefore, they need to be review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analyzed the adequacy of current audit techniques based on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then suggested the advanced scheme of SHS such as standardization of ship models, standard manoeuvring and evalu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ntification and reliability of audit techniques used in the MSA as well as upgrading of the simulator system.

A Study on Ship's Maneuverability Evaluation by Real Ship Test (선박조종성능 평가를 위한 실선 실험연구)

  • Im, Nam-Kyun;Han, Song-Hee;Nguyen, Thanh Nhat La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4
    • /
    • pp.383-389
    • /
    • 2011
  • At the design stag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ship maneuvering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 point of ship performance and for the safety of navigation. IMO only gives some criteria for ships in full load even keel condition. However, the ship generally is operated not only in full load condition but also in half load condition or ballast condition. Therefore we must estimate the ship maneuvering in different loading condition to ensure that the ship will satisfy with IMO rules and navigate safely in every condition.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a ship by simulation and experiments with real ship.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simulation, the real ship tests conform with simulation test and previous researches. Therefore, the method base on real data is well done to estimate the ship maneuvering in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The change of ship's manoeuverability accoriding to ship's operation conditions was estimated.

Development of Simple Dynamic Models for Ship Manoeuvring Simulation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을 위한 단순 기동 모델 개발)

  • Kim, Dong-Jin;Yeo, Dong-Jin;Rhee, Key-Py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3
    • /
    • pp.17-25
    • /
    • 2010
  • It is necessary for the ship dynamic models to realize ship dynamics and to achieve the real-time analysis in the manoeuvring simulation. Generally, simple dynamic models, such as 1st-order differential equation models of turning angle, turning rate, and forward speed, are used in the manoeuvring simulation for multiple ships. Ship dynamic modeling and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based on its turning test results are proposed in this paper.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for the constant speed model and the speed-changing model are mathematically developed and verified by comparing with turning test results of a real ship.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시간지연에 따른 선박조종성능 만족도 조사

  • 정우리;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15-116
    • /
    • 2022
  •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통신네트워크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VSAT, LTE, WIFI를 활용한 통신네트워크의 방해요인중 하나는 시간지연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시간지연의 측정과 감소를 위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간지연에 따라 항해사의 제어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해양사고 재결서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선박조종성능 만족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시간지연에 따라 원격제어자에게 선박조종성능을 저해하는 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제거 및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the Rescue Maneuvering of POB to Implement Cognitive Simulation (인지 시뮬레이션 구축을 위한 익수자 구조 선박조종법 검토)

  • Yoon, Cheong-Guem;Kim, Deok-Bong;Jeong, C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9-261
    • /
    • 2015
  • The model for ship maneuvering simulation is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officer's ship maneuvering skills such as navigation equipment operation, collision avoidances, countermeasure an emergency situation so on. Despite using such ship maneuvering model, critical maritime accidents are occurred periodically in the world. To find adequat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competence abilities of deck officer who have maneuvering skills with some competence levels, we search the standard ship maneuvering method representing on the part 3 Person Overboard(POB) to onboard emergences of IAMSAR manual. Moreover we monitor the officer's human factors appearing dur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nsider the use of human factors as fundamental data.

  • PDF

제주 강정항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및 평가

  • Gong, In-Yeong;Lee, Yun-Seok;Park, Yeong-Su;Yun, Gwi-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05-307
    • /
    • 2012
  • 제주 강정항 대상선박인 15만톤급 초대형 크루즈선(Queen Mary 2)의 안전 입출항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항로 중심선 교각을 30도로 변경 풍속을 최대 27노트까지 적용하여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남방파제 부두는 별다른 문제없이 초대형 크루즈선의 안전한 입출항이 가능하였다. 서방파제 부두는 풍속 20knots까지는 안전성이 확보 되었으나, 풍속 27노트 조건에서는 서측 돌제부두를 축소 조정하거나 가변식으로 변경할 경우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또한 현행 1.5L 미만에서도 충분하게 180도 선회가 가능함이 검증되었고, 자력으로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풍속 범위는 20노트로 판별되었으나 비상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안전성 향상 차원에서 상시 대마력 예선 2척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

  • PDF

크루즈선의 조종특성 및 제주 강정항 수역시설 적정성 분석 연구

  • 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85-487
    • /
    • 2013
  • 현재 건설 중인 제주 강정항에 15만톤급 크루즈 선박의 운항안전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3차례의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조종성능에 대한 연구가 미비했고, 크루즈 선박의 조종성능을 정확하게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에 반영할 수 없었던 시스템적인 한계로 인해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운항 안전성 평가 결과는 사회적으로 많은 갈등과 마찰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인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조종특성을 바탕으로 제주 강정항 건설 과정에서는 논란이 되었던 수역시설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선회장, 항로 법선, 방파제 통과 선속 등에 대하여 국내외 각종 설계지침과 실측 자료, 항만 운영 사례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우수한 추진 및 조종성능을 감안하면 제주 강정항의 수역시설 규모는 적정하다고 판단되며,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안전 입출항에도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imulator Study on Yaw-checking and Course-keeping Ability of Directionally Unstable Ships (침로불안정한 선학의 변침 및 보침 성능에 관한 시뮬레이터 연구)

  • Sohn Kyoungho;Lee Dongsub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3.11a
    • /
    • pp.141-148
    • /
    • 2003
  • Yaw-checking and course-keeping ability in IMO's ship manoeuvrability standards is reviewed from the viewpoint cf sole navigation Three kinds of virtual series-ships, which have different course instability, are taken as test models. The numerical simulation on Z-test i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known manoeuvrability in spir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kinds of overshoot angle. Then simulator experiments are executed with series-ships in a curoed, narrow waterway by six operators(five active pilots and one ex-captain)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known manoeuvrability and degree of manoeuvring difficulty. IMO criteria for yaw-checking and course-keeping ability are discussed and revised criteria are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