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자동식별장치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선박 네트워크를 위한 NMEA2000과 정보 보호

  • Ryu, Dae-Hyun;Park, Jangsik
    • Review of KIISC
    • /
    • v.24 no.2
    • /
    • pp.56-62
    • /
    • 2014
  • 최근 건조되고 있는 선박에는 안전 운항을 위하여 엔진제어시스템, 선박자동항법장치, 선박자동식별장치, CCTV 등의 전자장치들이 선박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위성을 통하여 선박의 엔진상태 등의 선박 운항정보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선박의 내부와 외부통신 체계는 대체로 폐쇄적인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나, 선박고유식별번호, 선박명, 선박종류, 항로, 목적항, 입항예정일, 화물종류 등의 선박의 주요 정보를 전송하는 선박자동식별장치는 무선 VHF로 전송되고, 선원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박 정보의 해킹 또는 바이러스에 취약해질 수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 또는 해킹 등의 외부 칩입으로 인하여 선박항해시스템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통합네트워크에서 제어네트워크의 표준화 동향과 정보보호 기술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TRS를 이용한 선박위치 자동발신장치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 Kim, Seok-Jae;Gwon, G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3
    • /
    • 2011
  • 선박관제시스템(VMS)는 최근 선박에서 도입되어 설치된 선박자동식별장치(AIS)에 의해 많은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AIS가 미설치된 소형선박, 어선 및 기타선박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설치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항계 내의 선박들의 주 통신시스템인 VHF 무선전화기는 항내에 입출항 중인 모든 선박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 교신량의 폭주로 원활한 통신이 힘들어지고 또한 선박자동식별장치의 데이터 통신채널 또한 VHF이므로 class A 선박들도 동적 데이터의 누락현상이 발생하고 class B 선박들도 지역적으로 데이터 폭주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안에서 운항하고 있는 모든 선박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소형선 및 심지어 어선들까지 선박자동식별장치의 설치를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통신채널의 폭주현상에 따른 데이터 누락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파수공용방식(TRS: Trunk Radio System)의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선박위치 자동발신장치에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그 활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Ship Identification and Display System using Unmaned Aerial Vehicle System (무인항공기 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식별 및 도시 시스템 개발)

  • Choy, Seong-min;Ko, Yun-ho;Kang, Yo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10
    • /
    • pp.862-870
    • /
    • 2016
  • AIS and V-PASS, which are used for safe navigation and automatic vessel arrival and departure, are mandatory standard equipment installed on all ships. If an aircraft is equipped with a ship identification system using AIS and V-PASS, and then shi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a vessel such as a large fishery inspection boat or a patrol ship or a ground control system, we can quickly perform maritime surveillance and disaster response.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ship identification and display system using a ship identification device for aircraft. Flight test results and a future application plan are also included.

International Trends on Vessel Identification and Tracking and E- Navigation Strategy (선박식별 및 추적장치의 국제동향과 전자항해전략에 관한 연구)

  • Jeong Jung-Sik;Nam Taek-Kun;Kim Chul-Seung;Park Sung-Hyeon;Yim Jeong-Bin;Ahn Yo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6.06b
    • /
    • pp.105-111
    • /
    • 2006
  • In the IMO COMSAR 10th meeting, the SOLAS performance standard draft for 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LRIT) was submitted to MSC. '81 meeting for its approval. The LRIT and AIS would provide an important data in monitoring SOLAS vessels at shore.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vis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a successful E-navigation development in co-orporation with vessel monitoring.

  • PDF

A Study on Automatic Surveillance System using VHF Data Link Protocol (해상이동통신에서 VHF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자동감시시스템)

  • 장동원;조평동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7
    • /
    • pp.1026-1031
    • /
    • 2002
  •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that will introduce in aviation and marine radio stations. IMO's Marine Safety Committee approved revision of chapter V of the Safety of Life at Sea(SOLAS) Convention in 73rd meeting. According to this, AIS will become a mandatory carriage requirement by 01 July 2002. AIS as a surveillance system continuously receives its own position from the GNSS and then repeatedly broadcasts it on a W:.u data link for avoiding traffic conflicts and possible disasters. VHF data link is organized so that a specified number of time slots make up a repeatable frame. Each radio station can autonomously allocate and deallocate slots within the frame using selection algorithm which is called SOTDMA(Self-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results can be an aid in the continued of understand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for AIS as a broad surveillance system.

A Study on Automatic Surveillance System using VHF Data Link Protocol (해상이동통신에서 VHF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자동감시시스템 연구)

  • 장동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87-191
    • /
    • 2002
  •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that will introduce in aviation and marine radio stations. IMO's Marine Safety Committee approved revision of chapter V of the Safety of Life at Sea(SOLAS) Convention in 73rd meeting. According to this, AIS will become a mandatory carriage requirement by 01 July 2002. AIS as a surveillance system continuously receives its own position from the GNSS and then repeatedly broadcasts it on a VHF data link for avoiding traffic conflicts and possible disasters. VHF data link is organized so that a specified number of time slots make up a repeatable frame. Each radio station can autonomously allocate and deallocate slots within the frame using selection algorithm which is called SOTDMA(Self-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results can be an aid in the continued of understand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for AIS as a broad surveillance system.

  • PDF

신뢰성 있는 해상정보교환을 위한 안전한 AIS 통신 프로토콜

  • Jo, Gwan-Tae;Lee, B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95-197
    • /
    • 2013
  • 선박자동식별장치(AIS)는 선박의 선명, 제원 등 선박 정보, 운항정보 등을 선박과 선박 간, 선박과 관제센터 간 자동 송수신하는 장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전국 통합망 구축 사업 완료를 통해 AIS와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AIS 정보는 선박 대 선박 간의 충돌회피, 연안국이 불분명한 선박 및 그 화물에 대한 정보 획득, 선박 대 육상간의 통항관제를 위하여 사용된다. 하지만, 어선들은 생계와 관련된 어망의 위치가 노출되기 때문에, AIS 사용을 꺼려한다. 본 논문에서는 어선들의 위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신뢰성 있는 AIS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

Automatic Recognition Algorithm of Unknown Ships on Radar (레이더 상 불특정 선박의 자동식별 알고리즘)

  • Jung, Hyun Chul;Yoon, Soung Woong;Lee, Sang Hoon
    • Journal of KIISE
    • /
    • v.43 no.8
    • /
    • pp.848-856
    • /
    • 2016
  • Seeking and recognizing maritime targets are very important tasks for maritime safety. While searching for maritime targets using radar is possible, recognition is conducted without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or or visibility. If this recognition is not feasible, radar operator must tediously recognize maritime targets using movement features on radar base on know-how and experience. In this paper, to support the radar operator's mission of continuous observation, we propose an algorithm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an unknown ship using movement features on radar and a method of detecting potential ship related accidents. We extract features from contact range, course and speed of four types of vessels and evaluate the recognition accuracy using SVM and suggest a method of detecting potential ship related accidents through the algorithm. Experimentally, the resulting recognition accuracy is found to be more than 90%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potential ship related accidents through the algorithm using information of MV Sewol. This method is an effective way to support operator's know-how and experience in various circumstances and assist in detecting potential ship related accidents.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예측 및 운항 해역 항적 정보 기반의 비상상황인식 프레임워크 설계

  • 박정홍;최진우;김채원;홍성훈;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73-7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예측 가능한 운항 경로 상에 잠재된 비상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운항 해역의 항적 정보를 활용한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충돌 위험과 같은 비상위험을 식별하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프레임워크는 크게 항적 특성 분석 모듈, 항로예측 모듈, 위험 식별 모듈로 구성된다. 항적 특성 분석 모듈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해역에 관한 선박들의 항적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대상 VTS 관제 영역 내에서 취합된 누적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박의 항적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운항 경로 예측 모듈에서는 누적된 항적 정보와 자율운항선박의 현재 운항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간 동안의 운항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험 식별 모듈에서는 예측한 운항 경로 상에 최근접점과 최근접점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위험 가능성이 있는 충돌위험영역을 식별하였다. 설계한 프레임워크는 자율운항선박의 육상 관제소에서 원격 제어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회피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실제 항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AIS 데이터 손실에 의한 VTS 시스템의 영향 분석

  • An, Byeong-Ok;Kim, Man-Sik;Kim, Seok-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23-125
    • /
    • 2011
  • 울산항은 1996년 9월부터 입출항 선박의 항행안전을 위해 VTS 시스템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선박통항량과 위험화물 운송선박의 잦은 운항으로 여러 가지 위험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개항장이다. VTS 시스템은 레이더의 자동물표추적장치에 의한 데이터, PORT-MIS의 선박관련 데이터 등 많은 정보들이 분산 처리되어 관제사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최근 선박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에 의해 선박의 정보들이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인위적인 과실에 의한 AIS의 오류정보들과 원활하지 못한 데이터통신에 의한 데이터 누락현상에 의해 VTS 시스템 운용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인위적인 과실에 의한 AIS의 오류 데이터는 PSC 검사관들의 적극적인 개선의지로 정책적인 계도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AIS의 원활하지 못한 통신망에 의한 데이터 누락 현상에 의한 VTS 시스템에서의 영향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