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의 크기

Search Result 349,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Container stowage planning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컨테이너 적하계획)

  • 이상완;최형림;박남규;김현수;박병주;노진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06-111
    • /
    • 2002
  • 해상운송에서 규모의 경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선박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항만이 중심항만과 주변항만으로 양분화 되어감에 따라 컨테이너 터미널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시되고 있다.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적하는 선박의 효율과 양적하에 직접 관여하는 터미널 중심 장비인 켄트리 크레인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적하 문제는 선박의 크기와 각 터미널에서의 적하량에 종속되는 NP-hard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적하 문제를 크게 두 개의 단계로 나누어 적하 계획을 수행한다. 무한한 경우의 수를 두 단계로 나눈 계획 시스템에 의해 크기를 줄인다. 첫 번째 단계는 컨테이너를 선박의 각 해치별로 배치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각 해치별로 배정된 컨테이너를 특정 슬롯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분해된 문제의 각 단계에서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사용하여 최적의 적하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정기 컨테이너선의 운항모형을 수립하고, 각 항구에서의 양·적하를 수행하여 구축된 시스템의 적합성을 시뮬레이션하여 평가한다

  • PDF

Simulation of Interaction Forces between Two Ships Considering Ship's Dimension (선박의 크기를 고려한 두 선박의 간섭력에 관한 시뮬레이션)

  • Lee, Sang-D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3
    • /
    • pp.47-54
    • /
    • 2017
  • This paper analyzed the motion characteristics of two ships according to the ship's dimension using Ship Handling Simulator. When the panamax container ship passes the smaller ship, peak point and patterns of interaction forces for the moored ship are noticeable. Accordingly,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movements of moored ship because surge force and yaw moment chang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efore and after condition of ship's beam. However, when the container ship passes the larger moored ship in reverse, peak point stood out on the passing ship at the beginning of ship-to-ship interaction and attraction force on the passing ship occurred steadily during 1L(length overall of passing ship) interval at a point of beam. In addition, as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hull of two ships decreases less than 2B(breadth of passing ship), interaction forces on the passing ship at the beginning are sharply increase.

A Review of Proximity Assessment Measurements According to Fairway Patterns and Ship Size (항로형태 및 선박크기에 따른 근접도 평가기법에 관한 고찰)

  • Kim, Sung-Cheol;Kwon, Yu-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7
    • /
    • pp.783-790
    • /
    • 2017
  • An acceptable proximity assessment collision probability is widely considered to be less than $10^{-4}$ in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 schemes. In the 1970s, Fujii, Macduff and colleagues introduced various models for collision probability of aberrancy in the community. Although existing studies ensured acceptable proximity collision probability, around $10^{-4}$, they were constrained by assumptions. A lack of support for the proximity probability criter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practical use. The appropriate proximity probability for different size vessels in both straight and curved lanes has been analyzed based on GICOMS data. As a result, reasonable proximity collision probabilities were determined for various vessel traffic conditions. Accordingly, necessary improvements in the maritime traffic system have been suggested in consideration for various maritime traffic situations and conditions.

A Digital Fin Stabilizer Controller Design for Reduction of Ship Rolling in Waves (해양파에 의해 발생하는 선박 횡동요 감소를 위한 Fin Stabilizer 제어기 구성)

  • Cho, Cheol-Joo;Lim, Kye-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742-1743
    • /
    • 2011
  • 항해 중인 선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해양파이다. 해양파는 주로 바람에 의해서 생성이 되며 지역적으로 바람의 세기와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파의 높이와 파의 길이가 정해져 있지 않은 불규칙파가 발생한다. 선박에 미치는 해양파의 힘에 따라 횡동요의 크기 및 주기가 달라진다. 해양파의 힘의 크기가 선박의 복원력보다 크게 되면 선박은 전복이 된다. 이런 이유로 선박 운동을 인위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Fin Stabilizer를 사용하게 되었다. Fin Stabilizer는 짧은 시간에 동작하여 선박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파의 힘이 선박에 영향을 미칠 때의 횡요각 변화를 관찰하고 설계한 제어기의 성능정도를 위한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Simulation 결과를 토대로 Fin Stabilizer를 제어하기 위한 Digital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 PDF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변침에 미치는 영향

  • Yu, Yeong-Jun;Lee, Gi-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23-25
    • /
    • 2011
  • 선박이 다른 선박을 회피하거나 항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변침을 하는 경우에,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조종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반영하여 변침 계획을 세울 수 있다면, 보다 높은 안전성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변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먼저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고려하여 조종운동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후에 변침에 필요한 명령타각의 결정을 위하여 Fuzzy 제어를 적용하였으며, 바람과 조류에 크기에 따라 선박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바람과 조류의 영향이 선박의 변침 궤적 및 선박의 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해상 교통정보를 활용한 선박 경계감시 시스템 개발 I

  • 양영훈;박세길;조득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2-213
    • /
    • 2023
  • 항·포구내에서 주.야간에 걸쳐 미등록 선박을 검출하기 위해, 가시광 및 IR, 라이다 센서를 통해 선박 영상 및 거리정보를 획득하고,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선박의 외관에 대한 특징 분석 및 선박에 표기된 문자열의 인식, 선박의 크기 측정을 통해 선박을 분류하고 특정하는 기술 개발

  • PDF

Range-Doppler Map generating simulator for ship detection and tracking research using compact HF radar (콤팩트 HF 레이더를 이용한 선박 검출 및 추적 연구를 위한 Range-Doppler Map 생성 시뮬레이터)

  • Lee, Younglo;Park, Sangwook;Lee, Sangho;Ko, Hanse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4 no.5
    • /
    • pp.90-96
    • /
    • 2017
  • Due to the merit of having wide range with low cost, HF radar's ship detection and tracking research as maritime surveillance system has been recently studied. Many ship detection and tracking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so far, however, performance comparison cannot be conducted properly because the states of target ships (such as moving path, size, etc.) differ from each stud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ulator based on compact HF radar, which generates data according to the size and moving path of target ship. Given the generated data with identical ship state, it is possible to conduct performance comparison.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simulator, the simulated data has been compared with real data collected by the SeaSonde HF radar sites. As a result, it has been shown that our simulated data resembles the real data.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various detection or tracking algorithms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respectively by using our simulated data.

Interaction of Encountering Two Ships with Varying Speed in Calm Water (정면으로 마주치는 선박의 선속에 따른 상호 간섭력에 관한 연구)

  • Lee, Sang-Do;Kim, Dae-Hae;Kong, Gi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1-12
    • /
    • 2015
  • 두 선박이 정면에서 마주치며 선박간 상호 통항하거나 상대선을 추월할 경우 각 선박의 선체형상과 선속에 의한 유체력 상호작용에 따른 선박간 간섭력이 발생한다. 선박간 간섭력의 주요한 평가 요소인 횡력과 회두 모멘트의 측정을 통해 두 선박이 근접하였을 때의 위험도와 충돌을 예측할 수 있다. 선행된 간섭력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경험에 의하거나 이론적인 측면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학계에서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뉴턴의 연구(1960)에서는 깊은 수심에서 두 선박을 평행하게 항주시켰을 때 선박간 최대 흡인력은 두 선박이 정횡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지점에서 발생하고, 이때의 간섭력은 선속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추정하였다. 현대의 조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선박의 크기는 점점 대형화되고 선박의 운항 효율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선형이 개발되어 실선에 적용되고 있다. 이런 경향에 따라 과거에 비해 현대 선박 운항환경에서의 선박간 간섭은 선박의 크기 및 선형에 의한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종류별로 대표 선종을 선정하여 두 선박이 정면에서 마주치며 통과하는 운항조건에서의 선속 증가에 따른 선박 상호간 간섭력의 변화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험 및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선박 유형에 따른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최대 횡력은 주로 선미 부근에서 발생하였고 최대 회두모멘트는 선수가 근접할 때 발생하였으며, 선속이 증가할수록 선박 상호간 근접거리가 좁혀졌고 선형별로 각기 다른 선속에서 선미 충돌이 발생하였다. 이 실험연구는 선형에 따른 선박 상호간 근접 시의 횡거리와 통과속력에 대한 기준 설정의 연구 근간을 마련하였고 선박간 교항시 안전운항을 위한 지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round an equivalent plate for model-ship correlation (모형선과 실선의 상관관계 추정을 위한 등가평판의 수치해석 및 적용)

  • Kim, Yeong-Min;Park, Mi-Yeon;Lee, Hui-Beo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109-112
    • /
    • 2012
  • 선박의 저항을 추정하는 일은 선박설계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선박의 크기는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모형선 실험을 통해 선박의 저항을 추정한다. 이 때, 모형선 실험은 Froude 수를 기준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모형선과 실선의 Reynolds 수가 서로 다른 영역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모형선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실선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모형선-실선 저항추정법을 사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형선-실선 저항추정법에 사용되고 있는 2 차원 외삽법을 살펴보고 이 기법에 사용되고 있는 ITTC 마찰저항곡선을 등가평판 주위의 유동장 해석결과와 비교하였으며 ITTC 마찰저항곡선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초경하상태 선박의 입항 제한 필요성 고찰

  • 강석용;이윤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52-153
    • /
    • 2022
  • 2020년 4월 부산신항에서 발생한 밀라노 브리지 사고는 초경하상태 선박의 조종성능 저하에 대한 큰 관심을 일으켰다. 본 연구는 흘수가 과도하게 작은 상태의 선박의 조종성능 저하에 대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문헌 검토, 실증시험 및 시뮬레이션테스트를 진행하였고, 흘수가 지나치게 작은 선박은 만재 상태에 비하여 선회권의 크기가 커지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각 도선구에서는 입항하는 선박의 흘수가 지나치게 작을 경우 이를 제한하는 규제 도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