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성능관리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선박성능과 기관성능의 예측 프로그램

  • 안시영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4
    • /
    • pp.22-25
    • /
    • 1994
  • 선체성능, 선박운항성능 및 기관성능의 현황파악과 예측을 하는 것은 선박설계자, 선박운항자 및 선박관리운영자에게 설계, 보선관리 및 용역관리상 대단히 중요하다. 선체성능의 전산원용예측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모형수조시험 및 공시해상시험의 자료를 수식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자료의 수식화, 예측된 자료와 성능시험결과치의 상관기법 및 PC soft ware를 이용한 선박성능예측의 체계적 접근법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또한 선박의 Abstract Log Book의 자료 및 주기관 성능자료의 수식화, PC soft ware 개발에 의한 선박운 항성능 및 기관성능예측에 대한 연구가 역시 수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고에서는 선체 성능(저항과 추진계수), 선박운항성능 및 주기관성능의 예측에 관하여 그 개요를 소개코져 한다.

  • PDF

Establishment of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MASS Sea Trial Area (자율운항선박 시험해역 관리를 위한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 Dongwon Han;Geun-tae Yim;Songman Jeon;Seunghyeon Lim;Hae-seong Ahn;Hye-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38-340
    • /
    • 2022
  • 미래 선박시장을 주도하게 될 자율운항선박의 기술개발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의 고도화와 단계적인 실증을 위해서 체계적인 성능시험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시험해역을 포함한 육·해상 성능시험 인프라가 울산시 고늘지구 인근에 구축되고 있다. 시험해역의 안전관리와 시험선박을 지원하기 위하여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에는 통합관제시스템이 구축되며 자율운항선박 기술 및 연계 기술의 개발과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본설계를 통하여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장비를 구성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한 선박 데이터 품질 관리 방안 연구

  • 전주영;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7-108
    • /
    • 2023
  • 자율운항선박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 관련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개발 중이다. 이와 더불어 선박정보 통신 기술(ICT)을 활용한 선박 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선박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점차 복잡해지고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선급에서 발간한 기술자료와 표준동향 분석 및 전문가 논의를 통해 신규 표준 아이템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ISO 선박 및 해양기술 분과에 제안한 선박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품질 관리 표준 제안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신규 제안한 표준을 통해 국내 조선소 및 기업에서 개발한 선박 성능 분석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품질 검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sign of a Real-time Monitoring Protocol For Smart Ship-Area Network (지능형 선박용 백본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 프로토콜 설계)

  • Jung, Min-Young;Tak,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795-179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인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분석하여 모니터링 관리 프로토콜 설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구 사항 및 성능인자를 기술하였다. 또한 선박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 및 통신선의 절체와 같은 동시 다발적인 사고로 인한 결손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장애 관리 기능과 앞선 요구사항 및 성능 인자를 고려 하여 선박용 백본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 프로토콜을 설계 하였다.

국내 선박부착생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Ha, Sin-Yeong;Park, Han-Seon;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6-237
    • /
    • 2019
  • IMO는 MEPC 73차(2018.10) 회의에서 선박부착생물 관리절차, 방오성능, 수중소제, 선체설계 및 교육사항이 구체적으로 명시될 수 있도록 기존 지침의 유효성평가가 승인되었으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지침서 개정을 검토하고 있어 향후 선박부착생물 관리 가이드라인도 규제화 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는 IMO 선체 부착생물규제 대응하기 위해 외래 유해침임종 관리를 위한 최적을 방안을 도출 할 필요가 있다.

  • PDF

자율운항선박 핵심 기관시스템 성능 모니터링 및 고장예측 진단 기술 개발

  • 박재철;권혁찬;이갑헌;장화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65-267
    • /
    • 2022
  • 선박 기관시스템이 효율적이고 안이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이상탐지, 고장진단 더 나아가 고장예측에 따른 대응조치를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상태기반 유지관리(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이라 지칭한다. 해당 기술을 개발 및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기관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고장 데이터가 확보되어야 하며 이후, 확보된 데이터에 대한 특징추출 등 전처리 알고리즘, 고장 진단 및 예측 알고리즘 등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추진용 엔진 및 발전기 엔진에 대한 상태기반 유지관리 기술의 개발현황과 향후 지속적인 연구 추진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해상구조물 안전을 위한 제한수역 설정에 관한 연구

  • Gang, Seok-Yong;An, Yeong-Ju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35
    • /
    • 2019
  • 해상구조물은 그 특성상 해상에서 고립되어 있고, 액체상태 또는 가스 상태의 탄화수소 등을 다루고 있어 사고발생시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해상구조물에는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500m라는 넓이의 안전수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추가로 설정되는 제한 수역은 명확한 근거 없이 상이한 넓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조종성능 및 해상구조물에서 다루는 화물의 고유한 위험특성을 파악하여 표준화된 안전수역을 설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는 국제해사기구의 조종성능기준인 선회경의 크기제한, 초기선회성능, 정지성능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정량화된 안전수역 및 제한수역 설정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dictions of the deteriorating performance for the marine diesel engines (선박용 디젤기관의 열화성능 예측에 관한 연구)

  • Jung, Chan-Ho;Rho, Beom-Seuk;Lee, Ji-Woong;Choi, Jae-S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1
    • /
    • pp.47-52
    • /
    • 2013
  • The higher energy efficiency for ship and the lower pollution for global environment are required strictly. However the performance of marine diesel engine is gradually deteriorated with time. And also the operation condition is varied with sea conditions. Hence the optimization for operating condition of marine engines is needed for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 kindly. In this paper,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ging for marine diesel engine. The deterioration of engine performance is assessed by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simulation program for two-stroke marine diesel engine developed by author which was reported before. And three parameters for deterioration of engine performance were considered such as lower efficiency of turbocharger by fouling, increase of blow-by gas due to wear of cylinder liner and getting worse of combustion by poor injection. By th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engine performance by aging was relatively not so small - 10.4 bar low in Pmax and 3.2% decrease in Pmi.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afety Stiffness from Ship's Mooring Bollards (선박 접안용 계선주의 안전 강성 평가에 관한 연구)

  • Yu, Yong-Ung;Kim, Seung-Yeon;Lee, Yun-S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1
    • /
    • pp.9-15
    • /
    • 2019
  • Mooring bollards are the mandatory facility in ports for they are the objects used to fasten the ship to its position at the berth. All the mooring bollards were installed following suggested sizes, numbers, materials and shape of installation according to Port and Fishing Design Standards. However, Korea has no management standard for use of mooring bollards to safety in ship berthing. In this research, the installation standard for mooring bollards including the holding power applied to mooring bollards in berthing was studied. Also, the performance of mooring bollards for minimum safety guarantee in berthing based on research of various specification by their sizes was analyzed. The analysis on mooring bollards was examined by each power on mooring bollards from the applied force in berthing divid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domestic mooring bollards, the limit force is calculated based on detailed specification research result. As a result, the working stress according to the towing force was found to be at least 150Mpa and it was evaluated to be 60% of the limit strength. Also, by comparing each forces, the appropriateness was examined and the specification of maximum capability calculated. This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based on detail specification of mooring bollards will be expected to be useful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mooring bollards for various types of vessel in berthing and to develop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andard through the performance change evaluation referring to mooring bollard detailed specification changes.

Harbor management network using Wireless-LAN (무선랜을 이용한 항만관리통신망)

  • 강민수;성길영;김명환;변필상;박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497-499
    • /
    • 2004
  • 무선랜은 실내 유선랜의 대안으로서 컴퓨터 통신의 기반 네트워크로 등장하였으나. 장비의 성능향상과 관련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이용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5년 간에 발생한 해양사고의 주된 유형은 GMDSS협약에 의해 관리되는 대형 선박과 이에 의하여 관리되지 못하는 5톤 미만의 소형선박과의 충돌 등이며, 그 원인이 소형선박의 영세성으로 안전 통신 시설이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븐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항만내의 해양사고를 줄이고자 도입이 되고 있는 AIS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측면에서의 저가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