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궤적 분석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IS 데이터를 활용한 선박궤적의 분석

  • Jeong, Jung-Sik;Park, Gye-Gak;Kim, Eu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8-40
    • /
    • 2012
  • 해상 교통량 증가로 급증하는 선박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안전 운항 관리를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최근 SOLAS에서 300톤 이상 급에 대해서는 AIS의 의무 장착이 제정되면서 선박 운항의 안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S의 정적, 동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항계내 통항 선박의 궤적의 곡률을 분석하여 불규칙 이동 조종선박의 움직임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과거 누적 데이터의 퍼지이론을 활용한 이상 거동의 선박식별 시스템은 전문가 시스템에 의존하여 항적의 비정상성을 판단하므로 항로의 특성에 따른 실 항해상황을 간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선박 움직임에 대한 궤적의 시간 AIS 정보를 활용하여 항로이탈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곡률분석, 항로선으로부터 좌우의 변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이상 거동 선박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VTS 및 VMS의 응용서비스로서 해양사고의 사전예방을 위한 연안 및 항만수로의 효율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이다.

  • PDF

그룹항법시스템의 선행 선박 추종 알고리즘 개발

  • 최원진;전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91-92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선박이 군집을 이뤄 항해하는 방법으로, 추종 선박이 리더 선박의 궤적을 따라 항해하는 추종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성능 검증을 위해 소형 RC 모형 보트를 사용하여 해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추종 선박이 리더 선박의 궤적을 추종점으로 저장하고, 추종점까지의 목표 침로를 계산하여 추종하는 방법이다. 목표 침로는 시선각 유도법칙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목표 침로를 추종하기 위해 PD 제어를 적용한 침로 제어기를 구현하였다. 또한, 전방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선박과의 거리에 따라 속력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해상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공학수조 자유항주시험 시스템 구성 및 파도 중 선박 선회성능 기초 분석

  • Kim, Dong-Jin;Yun, Geun-Hang;Yeo, Dong-Jin;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7-8
    • /
    • 2018
  • 파 중 선박 조종운동시험을 위하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공학수조 내 자유항주시험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모형선 내에 제어계측 장비와 PC를 탑재하고 육상 관제 PC에서 원격 통제, 모니터링하며, 레이저 추적 방식으로 모형선 실시간 위치를 계측하였다. 준비된 시스템으로 KVLCC2 1/100 축소모형선의 규칙파 중 선회시험을 수행하였다. 파 중 선회성능은 초반의 전진거리, 전술직경, 정상선회 시의 궤적밀림 거리, 각도 등으로 지수화할 수 있다. 각 지수를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동일한 파장 조건에 대한 궤적밀림 경향은 유사함을 보였다.

  • PDF

Statistical Parameter Estimation to Calculate Collision Probability Between Mokpo Harbor Bridge and Passing Vessels (목포 대교와 통항 선박 사이의 충돌 확률 계산을 위한 통계 변수 추정)

  • Yim, Jeong-Bin;Kim, Dae-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4 no.8
    • /
    • pp.609-614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statistical parameter estimation to calculate collision probabilities between Mokpo Harbor Bridge and passing vessels. At first, we obtained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from passing vessels, then after, analyzed the lateral distributions of vessel tracks and estimated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for the distance away from bridge center, the passing course and the passing speed. The analysis results of track distribution for the distance away and the passing course are shown as normal type, otherwise the speed distribution shown as two kinds of different normal type. In addition, we testified that the usefulness of estimated parameter values through the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track distributions and it's normal probability distributions.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변침에 미치는 영향

  • Yu, Yeong-Jun;Lee, Gi-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23-25
    • /
    • 2011
  • 선박이 다른 선박을 회피하거나 항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변침을 하는 경우에,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조종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반영하여 변침 계획을 세울 수 있다면, 보다 높은 안전성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람과 조류가 선박의 변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먼저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고려하여 조종운동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후에 변침에 필요한 명령타각의 결정을 위하여 Fuzzy 제어를 적용하였으며, 바람과 조류에 크기에 따라 선박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바람과 조류의 영향이 선박의 변침 궤적 및 선박의 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AIS 데이터 기반 울산항 상선 항로분석

  • 임재홍;이우성;이길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48-50
    • /
    • 2023
  •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서 수신한 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울산항 출입하는 선박의 MMSI 정보를 분류하였다. 분류된 MMSI 정보는 웹 크롤링을 통하여 선박의 종류, 국적, 총톤수, 길이, 폭 등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AIS 데이터와 MMSI의 선박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선박의 선종별 운항 경로 궤적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데이터는 선박 도선 및 항내 안전항로 유도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KCS 선형의 파랑 중 자유항주모형시험

  • Yun, Geun-Hang;Kim, Dong-Jin;Yeo, Dong-Jin;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9-11
    • /
    • 2018
  • 선박의 파랑 중 조종성능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공학수조에서 KCS 선형의 모형선으로 파랑 중 자유항주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파향, 파고, 파장 등이 변화는 규칙파 상태에서 KCS 선형의 35도 선회시험을 수행하여 파 중 선회궤적변화를 관찰하였고, 정상선회 상태에서 속도기반 궤적밀림 지수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속도기반 궤적지수를 정수 중 초기선회 상태에 외력으로 작용하여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정하고 이를 파랑 중 초기선회 성능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 선회 중 도출되는 선회성능인 전진거리, 전술선회직경은 선수파일 경우, 모형선의 전진방향 속도 변화를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함을 확인하였다.

  • PDF

AIS 데이터를 활용한 선박의 항적모니터링 기능구현에 관한 연구

  • Kim, Eun-Gyeong;Jeong, Jung-Sik;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38-1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제 AIS의 정적, 동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항계내 통항 선박의 움직임을 파악하였다. 실제 완도항 부근의 직선항로을 통항하는 선박 항적의 분석하여 불규칙적인 선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과거 누적 데이터의 퍼지이론을 활용한 이상 거동의 선박식별 시스템은 전문가 시스템에 의존하여 항적의 비정상성을 판단하므로 항로의 특성에 따른 실 항해상황을 간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 AIS 정보를 활용하여 항로이탈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곡률분석, 항로선으로부터 좌우의 변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이상 거동 선박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VTS 및 VMS의 응용서비스로서 해양사고의 사전예방을 위한 연안 및 항만수로의 효율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이다.

  • PDF

해상교통류에 적용되는 확률 이론의 검증적 고찰

  • Gong, In-Yeong;Yang, Yeong-Hun;Gu, Jeong-Min;Seo, Tae-Ho;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25-227
    • /
    • 2012
  •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시행으로, 해상교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건설 사업은 필히 선박운항자 관점에서 그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진단제도의 정량적 평가항목 중에, 선박이 장애물이나 위험지역과의 충돌확률을 평가하는 근접도 평가항목이 있는데, 이는 항로상의 어떤 단면에서의 선박 궤적 분포가 정규 분포를 한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한편, 진단제도의 또 하나의 정량적 평가기법중 하나인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에서는, 대상 선박들의 예상 항차수로부터 선박을 통계적으로 발생시키는 기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에서는 항로상의 특정 지점을 연속해서 통과하는 선박들의 시간 간격이 Poisson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적합한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광양 및 인천항에서 실측한 해상교통현황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Ship′s Distance Measuring System by the GPS Receiver in Anchoring Watch (GPS 선간거리계측 시스템에 의한 묘박상황의 감시)

  • 김광홍;신형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7 no.4
    • /
    • pp.257-266
    • /
    • 2001
  • It was set up MCS and MS of ship's distance measuring system in land and ship respectively and ship's track including dropped and hove up anchor was tracked by mean of measurement for ship's position, relative bearing and distance from MCS to MS. Results analyzed for possibility of real time anchoring watch and effectiveness of measuring position are as follow; (1) The elapsed time from dropped anchor to hove up anchor is 4 minutes and the elapsed time to start recording ship's track after set up anchoring state is 10 minutes approximately. (2) Shape of hull's swing during anchoring is mostly 8 figue-like or rarely peanut-like shape. (3) Mean anchoring position during whole measuring time was shifted 49m north and 89m eastly. (4) Ship's track were moved counter-clockwise for $8.1^\circ$ range from relative bearing $186.1^\circ$ to $194.2^\circ$ ellipse-like tracks with the major axis 63m and the minor axis 53m. (5) High frequency of ship's position distribution was shown at relative bearing $187^\circ$ and distance 558m while low frequency was shown at relative bearing $194^\circ$ and distance 556m. (6) The designed ship's distance measuring system by PRTK-GPS was fit very well for anchoring watch as secured necessary area demanded for dragging anchor as well as anchoring by means of real time measurement both in distance and bea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