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교통관제

Search Result 24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선박교통관제 법률』 홍보방안 연구 및 효율적 과태료 부과 방안 제시

  • 박한림;김윤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
    • /
    • 2022
  •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지 2년이 지난 현재, 선박운항자들의 선박교통관제 법률 인지 실태를 조사하였다. 해사안전법과 입출항법은 대다수의 운항자들이 인지 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선박교통관제법률은 운항자들의 인지도면에서 많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선박교통관제 법률 홍보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관제사들은 과태료 부과에 있어 행정 업무가 복잡하고, 부과 기준 미비로 어려움이 있다. 효율적인 과태료 부과로 관제사들의 행정업무부담을 덜어내고, 선박운항자들에게 경각심을 고취시켜 선박교통관제 법률에 위상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디지털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을 위한 시나리오 연구

  • 김남수;신재구;김대원;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52-254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선원의 운항 조작 없이 스스로 운항하는 선박을 의미하며 자율운항선박의 기술개발에 대해서 국내외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선박교통관제에서는 관제사와 선박간의 VHF 교신을 통해 선박교통관제 운영 절차를 수행하였으나 자율운항선박 Level 3에 맞춰 관제사의 개입을 최소화한 디지털 기반의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이 요구되며 이에 자율운항선박을 대상으로하는 디지털 기반의 관제시스템의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을 위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 PDF

시선측정실험을 통한 관제일지 작성 현황 조사

  • 김소라;박영수;김대원;김영신;박상원;박득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53-54
    • /
    • 2023
  • 해상 교통 환경은 해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화되었다. 이에 따라 해상 교통 관제를 시행하는 선박교통관제사 업무의 중요성이 높아졌으며, 효율적인 교통 관제 시스템 지원을 위한 새롭고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에서는 선박교통관제사의 업무에 대해 해양수산부령으로서 항만운영정보시스템에의 자료 입력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교통환경 파악 및 교통 관제에 집중하여야 하는 관제사에게 주의력 상실 등 비효율적인 관제 업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장 입출항 선박이 많고 해양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던 부산항 VTS 센터의 관제사를 대상으로 시선측정실험을 실시하여 실제 관제 업무 시 관제 일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관제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김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28
    • /
    • 2023
  • 오늘날 자율운항선박의 성능시험이 관제구역 내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국제항로표지협회(IALA)에서는 자율운항선박 관제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고 있으며 외국의 사례를 고려하였을 때 자율운항선박의 성능시험 단계부터 VTS의 참여 및 개입은 해상교통안전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관제구역 내 해상교통안전을 도모하고 비상 상황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자율운항선박을 고려한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관제사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도입 및 활용방안

  • 이정구;이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3-35
    • /
    • 2022
  • 빅데이터·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은 교통·의료·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이미 많은 기술이 실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철도관제와 항공 관제분야에서도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이 접목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선박교통관제 분야는 현장에 접목되어 활용되는 기술은 극히 드물다. 선박교통관제사가 관제구역 내에서 적게는 수척, 많게는 수십척의 선박을 동시에 관제하며 발생할 수 있는 인적 과실을 줄이기 위한 인프라 구축은 선박의 안전확보를 위해 필수요소이다. 본 연구는 해양경찰청 선박교통관제기술개발단에서 자체 개발한 음주운항 자동탐지 시스템과 닻 끌림 자동탐지 시스템에 활용한 기술을 소개하고 향후 고도화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User Requirements for Development of Vessel Traffic Services Cloud System (선박교통관제 클라우드 시스템 개발에 따른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 Lee, Li-Na;Kim, Joo-Sung;Lee, Hong-Hoon;Lee, Jin-Suk;Namg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2
    • /
    • pp.314-323
    • /
    • 2022
  • Vessel Traffic Services (VTS) operators perform traffic management tasks using VTS systems and sensor equipment designated as VTS facilities to promot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vessel traffic. The necessary VTS information for effective operations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additional access of various information channels other than the designated VTS facility. To unify these various information access windows, the development of the VTS cloud system is in progress.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information analysis for VTS was performed through VTS tasks-facility linkage analysis to identify the user requi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VTS cloud system. The VTS task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research of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iterature, and expert interviews. The necessary information were identified and linked according to the VTS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7 categories of necessary information were identified for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windows, and 8 information windows were selected other than the present VTS equipment. The identified user requirements would be applied to the structure design of the VTS cloud syst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update user requirements through scenario-based user operation analysis and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on the system interface design.

Research on the Prediction of Maritime Traffic Congestion based on Big Data (빅데이터 기반 선박 교통 혼잡도 예측에 관한 연구)

  • Jae-Yong Oh;Hye-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16
    • /
    • 2023
  • 해상교통관제 구역은 항만 시설을 사용하기 위한 입·출항 선박, 연안 해역을 이동하는 선박 등이 서로 복잡하게 운항하는 교통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서는 선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관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교통 혼잡 상황에서는 업무 로드의 증가로 인해 관제 공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교통 혼잡도 및 혼잡 구역을 예측한다면보다 효율적인 관제가 가능하지만 현재는 관제사의 경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VTS 관점에서의 교통 혼잡을 정의하고, 과거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내 선박 교통 혼잡도 및 혼잡 구역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해역 데이터(대산항 VTS)를 적용하여 제안된 기술이 관제지원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 PDF

The investigation of a developmental plan system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foreign Training for Vessel Traffic Service Officer. (선박교통관제사 자격제도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한 발전방안 연구)

  • Ji-Hee Kim;Ho-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7-18
    • /
    • 2023
  • Since March 15, 2022, the korea coast guard has revised the qualification standards for VTSO so that they can take the VTSO recruitment test under the korea coast guard without boarding experience to diversify their recruitment routes. By this study, we looked into VTS working circumstances and reviewed important provisions about enactment and revision of VTS regulations and VTS certificate system so far to compare and analyze pros and cons of each control task performance method by illustrations which are occasions in both home and foreign control operation. And also, I suggest ways to improve VTSO task in future make a VTSO credential demonstration system settle down successfully.

  • PDF

A Study on the Big Data Management of VTS Log (관제 로그의 빅데이터 관리 방안 연구)

  • Kim, Hye-Jin;Oh,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4-25
    • /
    • 2019
  • 최근 빅데이터 기술 개발로 방대한 데이터의 유의미한 분석 및 예측이 용이해졌다. 선박교통관제센터에서는 각종 센서와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VHF 교신을 통해 선박교통관제를 수행한다. 관제사가 활용하는 레이더, AIS, Port-MIS. 센서 등의 데이터들이 디지털로 저장되고 있으며, 관제사의 VHF 교신내용은 디지털파일로 저장되어 선박교통관제센터의 서버 2개월간 보관된다. 본 논문에서는 관제 결과로 저장되고 있는 관제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Basic Study on the Generation of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해상교통정보 생성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Hye-jin;Oh, Jaeyong;Park, se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7-288
    • /
    • 2016
  • 선박과 선박간의 사고 위험도를 예측하는 교통정보 생성 기술을 해상교통관제센터에 적용하기에는 위험도 정보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대상 해역에 대한 교통 패턴을 파악하는 밀집도 및 혼잡도와 같은 교통정보 생성 기술은 위험 우선순위 선박을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복잡한 교통 패턴을 보이는 해상교통관제 해역에서 위험 선박을 인지하여 관제사의 관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제대상해역의 교통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위험 선박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교통정보 생성을 위해서 기계학습 기법을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인공지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딥러닝 프레임워크 도입을 검토하였다.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이미지, 메시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연속적 자료들을 통합하고 이를 토대로 총체적인 분석을 통해 관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교통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빅데이터 기반의 기계학습은 보다 의미 있는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관제 센터의 각종 데이터 통합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