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석회

검색결과 2,086건 처리시간 0.026초

석회물질 시용이 Burley종 연초의 수량과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to Application of Lime Materials)

  • 이철환;김용옥;박수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8-203
    • /
    • 1989
  • Burley 종 연초재배에 있어서 석회시용의 타당성을 구명하고자 Burley 21을 공시품종으로 석회무시용구, 황산칼슘(Ca : 35kg/10a), 탄산칼슘(Ca : 35kg/10a) 농용석회(pH 6.5 조정량) 시용구를 두고 수량, 엽중 무기 및 유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회무시용구에 비해 황산칼슘 시용구는 토양 및 엽중 무기성분 함량에서 대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탄산칼슘과 농용석회시용구는 Ca, mg 함량이 높아지고 Al, Mn, Fe 함량은 감소하였다. 2. 담배 수량은 석회무시용 < 황산칼슘 < 탄산칼슘, 농용석회순으로 나타났으나, kg 당 가격은 차이가 없었다. 종자 생산량은 무시용 < 농용석회 < 황산칼슘, 탄산칼슘순으로 증가하였다. 3. 무시용구에 비해 황산칼슘시용구는 건조엽의 암모니아 태질소, 비수용성알칼리 계수가 높았으며, 탄산칼슘시용구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알칼리 계수, 향기성분 함량이 높았으나, 단백태질소, 석유에텔추출물 함량은 낮았다. 농용석회시용구는 질산태질소, 수용성 및 비수용성알칼리계수, 향기성분 함량은 높았으나, 단백태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니코틴 석유에텔추출물 함량은 낮았다. 석회시용에 의한 엽중 화학성분의 변화는 장, 단점이 상쇄되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토양 pH를 미산성 (pH 6.5내외)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석회 시용이 필요할 것이다.

  • PDF

토양의 산도교정과 사과 생육에 대한 패화석 시용 효과 (Effect of Oyster Shell Powder on Soil pH and Growth and Yield of Apple)

  • 이성태;이영한;이영진;이춘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83-387
    • /
    • 2004
  • 농가에서 관리하는 9년생 후지품종의 사과 과수원에 패화석과 석회고토의 중화량를 시용하여 작물생육과 토양 화학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석회를 시용하지 않은 처리구의 토양은 시험전후 pH가 5.6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패화석과 석회고토 처리구에서는 Ca, Mg 함량이 증가되고 pH가 5.6에서 6.8로 높아져 패화석은 석회고토 처리구와 동등의 산도교정 효과가 있었다. 패화석과 석회고토 시용으로 사과나무 신초의 초장과 신초수, 신초경이 증가되었으며, 석회 무시용에 비해 간경과 주지경의 직경이 연간 0.7 및 1.0 mm 증가하였고, 부주지경의 증가는 패화석과 석회고토 시용이 각각 1.7 및 1.8 mm 증가하여 사과나무의 생육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화석과 석회고토 처리로 시기별 엽록소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중 변화는 10월 23일 조사시 무시용27.3% 대비 패화석과 석회고토 시용이 각각 33.1 및 31.0%로서 높았다. 시기별 엽중 무기성분으로 질소함량은 무시용 대비 패화석과 석회고토 시용으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CaO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Mn 함량이 높았다. 사과의 당도, 경도 및 산도에 대한 패화석 시용효과는 무처리와 비교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석회고토 처리시 경도는 석회 무시용에 비해 낮았다. 패화석 시용시 색도는 황색도가 약간 높았으나 적색도에서는 낮았으며, 선명도는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패화석 시용이 사과의 품질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수량은 $37,000kg\;ha^{-1}$로 무시용 대비 5% 증수되었다.

고비표면적 탈황용 석회소재 제조 (Manufacturing of Lime Material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for Desulfurization)

  • 권석제;김영진;김양수;서준형;조진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1호
    • /
    • pp.69-76
    • /
    • 2024
  •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으로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지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과 황산화물(SOx)의 배출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서는 황산화물 처리를 위해 중조(NaHCO3)와 석회소재를 사용하며 중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대표적인 부존자원인 석회석을 이용하여 석회소재의 물성 향상을 통해 중조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회석은 박스형 전기로와 수직형 전기로를 통해 열처리했으며, 수직형 전기로가 가진 구조적 특징에 의해 비표면적 22.33 m2/g, 세공용적 0.14 cc/g의 생석회를 제조하여 석회소재의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해외농업-농가가 실험한 석회의 방제효과

  • 박성진
    • 농업기술회보
    • /
    • 제45권4호
    • /
    • pp.32-35
    • /
    • 2008
  • 최근 일본에서는 시중에 판매되는 농약에 비해 값이 저렴한 석회를 이용하여 작물의 생육에 꼭 필요한 칼슘성분을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서 작물의 면역력을 높여 병.충해를 예방, 방제하는 방법을 실천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주로 고토석회와 소석회를 덧거름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석회가루를 직접 작물의 잎에 뿌리거나 물에 녹인 후 희석하여 뿌려주고 있다. 한편 굴 껍질이나 계란껍질을 현미식초나 목초액 등에 녹여서 뿌려주는 농가도 있다. 이런 농가 100명의 목소리를 설문 조사한 결과와 사례를 소개한다.

  • PDF

저울에서의 소석회 분말과 $SO_2$의 반응 kinetics (Reaction Kinetics of Dry Hydrated-lime and $SO_2$ at Low Temperatures)

  • 이상권;박선미;조경민;황상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5-216
    • /
    • 1999
  • 연소시설, 소각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염화수소, 불화수소 등의 산성가스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건식 세정에는 석회석(CaCO$_3$, limestone), 생석회(CaO, lime), 소석회(Ca(OH)$_2$, hydrated lime) 등 calcium을 다량 함유하는 흡수제가 매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흡수제와 SO$_2$dml 화학반응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SO$_2$와 석회석이 고온에서 진행되는 화학반응에서 관한 것이다.(중략)

  • PDF

고로수쇄(高爐水碎)슬래그 혼합(混合)시멘트의 알칼리 자극제(刺戟劑)로 부산소석회(副産消石灰)의 활용(活用) (Use of By-product Hydrated Lime as Alkali Activator of Blast Furnace Slag Blended Cement)

  • 조진상;유영환;최문관;조계홍;김환;연규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3호
    • /
    • pp.33-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렌가스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부산소석회에 대한 고로수쇄슬래그의 알칼리 활성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부산소석회의 물리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알칼리 활성화제로서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세 가지 형태로 부산소석회를 사용하였다. 부산소석회는 고로수쇄슬래그에 0, 10, 20, 30 wt.% 첨가하였으며, 소석회가 혼합된 고로수쇄슬래그를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0, 10, 30, 50 wt.%첨가하여 수화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화특성 분석결과 $800^{\circ}C$에서 열처리 후 재수화 시킨 소석회를 사용한 경우 다른 시료들 보다 높은 수화율을 보였다. 압축강도실험결과 325 mesh 이하크기의 부산소석회와 열처리 후 재수화시킨 소석회를 사용한 경우 수화 7일부터 OPC 보다 높은 강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325 mesh 이하크기 부산소석회를 활성화재로 사용한 OPC50 wt.%-BFS 45 wt.%-AA5 wt.%계에서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다.

소량 혼합재로서 석회석과 고로슬래그를 복합 사용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특성 (Hydration Properti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Using Mixture of Limestone and Blast Furnace Slag as Minor Inorganic Additives)

  • 이승헌;임영진;조재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3-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량 혼합재로서 석회석과 고로슬래그를 단독 또는 복합으로 10%까지 혼합하면서 나타나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응결시간은 석회석과 고로슬래그를 복합하여 10% 혼합한 경우, 석회석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Alite의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종결이 빨라졌다. 재령 3일에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석회석 5%-고로슬래그 5% 혼합이 가장 컸다. 이러한 이유로는 석회석에 의한 Alite의 수화촉진에 의해 생성된 C-S-H 수화물과 Alite의 수화촉진에 의해 부가적으로 생성된 $Ca(OH)_2$가 일부 고로슬래그와 반응하여 추가적으로 C-S-H 수화물을 생성하였기 때문이다. 재령 7, 28일에서는 석회석 3%-고로슬래그 7%의 복합 혼합이 가장 큰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이 시기에는 고로슬래그의 수화반응이 활발한 시기로 C-S-H 수화물 생성량은 석회석의 혼합량보다 고로슬래그의 혼합량에 의존한다. 그리고 고로슬래그의 수화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Ca(OH)_2$ 생성량이 증가해야 하므로, Alite의 수화를 활성화 시키는 소량의 석회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재령 7일 이후에는 고로슬래그의 혼합량이 많고 석회석의 혼합량이 적은 것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강도발현에 효과적이었다.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에서 수도(水稻)에 대(対)한 석회(石灰) 및 인산(燐酸)의 효과(効果) (Effect of Lime and Phosphorus to Rice Plant on Acid Sulfate Soil)

  • 황남열;박건호;김진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71
    • /
    • 1983
  • 강산성(强酸性) 토양(土壤)인(pH 3.5) 특리산성답(特異酸性畓)에서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의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변화(変化) 및 수량증대(收量増大)에 미치는 효과(効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為)해 시험(試験)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중화량(石灰中和量) + 인산(燐酸) 20/10a구(区)에서 무처리구(無處理区)에 비(比)해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증대(増大)시켜 60%의 증수효과(増收効果)가 있었다. 2. 수량증대(收量増大)에 미친 효과(効果)는 석회(石灰)는 36%, 인산(燐酸)은 15%로써 석회(石灰)의 시용효과(施用効果)가 컸다. 3. pH와 Eh에 있어서는 석회시용량(石灰施用量)이 많을 수록 pH는 높아졌고 반대(反対)로 Eh는 낮아졌으며 석회(石灰)와 인산(燐酸) 시용(施用)은 토양환원(土壤還元)을 촉진(促進)하였다. 4. 근(根)의 신장(伸長)은 무석회구(無石灰区) 논 표토(表土) (0~5cm)에 62%의 뿌리가 존재하였으나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을 많이 시용(施用)할수록 하위(下位)(5~10cm)까지 뻗어갔다(60%). 5. 토양(土壤) pH변화(変化)는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에 최고(最高)에 이르며 그 후 점차 감소하여 원(原) pH값에 접근하였으나 석회 소요량은 약(約) 반(半)이였다. 6. 토양중(土壤中) 규산(珪酸), 인산(燐酸)과 수량(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相関)으로 나타났고 pH를 높여줌으로 토양중(土壤中)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을 높여줄 수 있다. 7. 석회(石灰)와 인산(燐酸) 증시(増施)는 질소흡수(窒素吸水)를 증가(増加)시키고 식물체중(植物体中) 인산(燐酸)의 흡수(吸水)가 많을수록 수량(收量)은 증가(増加)한다.

  • PDF

전남 무안지역에 분포하는 석회질암의 용식작용과 지반침하 (Corrosion of Calcareous Rocks and Ground Subsidence in the Muan Area, Jeonnam, Korea)

  • 안건상
    • 암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7-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5년 6월 지반침하가 발생한 전남 무안군 무안읍 교촌리 일대의 기반암의 분포를 조사하고, 지반침하의 원인인 석회질암의 용식작용과 지반침하 현상을 추적했다. 연구지역의 지표에서는 운모편암과 유문암이 관찰되나, 지하에는 크고 작은 공동을 갖는 석회질암이 분포한다. 또한 지반침하지역 북측의 우회도로를 따라 폭이 최대 300 m이고, 길이가 4 km 이상의 두꺼운 석회암 층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석회암의 분포 규명은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석회공동에 의한 지반침하를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지역 석회질암은 심한 전단변형을 받아 소규모의 습곡과 단층으로 교란되어 있다. 석회질암층에 형성된 습곡의 배사 부분에 소규모의 공동들이 자주 발견된다. 이는 습곡작용 시 약화된 석회질이 용해되어 공동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석회질암 내에는 다양한 두께의 편암이 협재되어 있는데, 이 편암은 주로 판상광물(녹니석, 운모)과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다. 풍화된 암석 시료의 절단면을 보면 편암의 흑운모가 녹니석으로 변질되고, 이어서 편암 주변부터 방해석이 용식되어가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는 석회질암에 협재된 판상광물 틈새로 지하수가 침투하여 석회암의 용식이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즉, 위의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무안지역의 석회질암층에서는 공동이 생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저수지(불무재)의 매립과 농업용수의 과다 양수와 같은 이유로 공동을 지지하는 지하수가 고갈되거나, 공통퇴적물이 유실되어 지반침하가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壤)에서 석회비종(石灰肥種)이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ime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t newly reclaimed soil)

  • 김희권;전장협;정지호;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9-44
    • /
    • 1989
  •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 토양(土壤)의 숙전화(熟田化) 및 수양증대(收量增大)를 위(爲)해 전북(全北) 김제(金堤)에서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 황산석회(黃酸石灰),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의 1.5배(倍),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의 1.5배(倍)를 처리(處理)하여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처리간(處理間)에 대두(大豆)의 수량(收量)은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 1.5배(倍)>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1.5배(倍)>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황산석회(黃酸石灰)>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관행순(慣行順)으로 높았으며 1 %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 있게 증가(增加)하였다. 2. 수양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개화기(開花期) 식물체중(植物體中)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T-N, $P_2O_5$, CaO 및 Mgo)과는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으나 Mn과는 유의적(有意的) 부상관(負相關)이었다. 3. 수량(收量)과 개화기(開花期) 식물체중(植物體中)의 MgO, CaO와는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으나 Mn 함량(含量)과는 유의적(有意的) 부상관(負相關)이었다. 4. 개화기(開花期) 토양중(土壤中)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시험전(試驗前)보다 높았으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와 수량(收量)은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