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회동굴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Analysis of Solution Topography and Natural Feature in Go-Soo Cave (고수동굴의 용식지형지물 분석)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0
    • /
    • pp.11-16
    • /
    • 1997
  • 우리나라의 석회동굴 속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동굴미지형과 지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물론 이들의 동굴미지형과 지물들은 그 모두가 석회동굴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포괄적으로는 동굴생성물 또는 2차생성물이라고 총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동굴생성물들 중에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같이 퇴적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생성물과 이와는 달리 지하수의 수식작용과 용해작용으로 이루어지는 동굴생성물 즉 동굴미지형 지물들을 따로 구분하여 취급하고자 한다.(중략)

  • PDF

관광동굴의 이용

  • 홍충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9a
    • /
    • pp.53-55
    • /
    • 1995
  • 동굴은 그 증류도 다양하지만 대체로 종유굴이라 불리어온 석회동굴과 제주도의 화산동굴, 그리고 해안에서 보는 해식동굴들이 주종을 이룬다. 이와 같은 동굴은 우리 인간들이 태어나기 훨씬 이전에 벌써 땅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종유굴은 석회암지역에서 땅 표면으로부터 지표수가 스며들어 땅속에서 지하수류가 흘러 나간 자리가 이 종류굴인데, 동굴 천정에서 종과 같이 젖과 같이 2차적으로 석회질의 돌가루 퇴적물들이 고드름같이 매달려 있어서 종유굴이라 불리어 왔다.(중략)

  • PDF

북한의 카르스트지형과 동굴분포와 상관성 연구

  • 홍시환;오종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13-32
    • /
    • 1994
  • 우리나라에는 반도부 지역에 석회암 지층이 널리 분포되고 있다. 석회암 지층에 동굴이 발달한다. 즉, 북한지역에서는 중앙 서부지구에 남한지역에서는 중앙 동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석회암 지역의 지표면에서는 이른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게 되는데 바로 이 카르스트지형의 지층에서 석회동굴이 발달하고 있다. 이제 북한지역의 석회동굴 분포를 이해하기 위하여 북한의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분포가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필자가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의 연구기금으로 연구한 "북한의 지형연구" 중의 일부를 발췌한 논문이다.(중략)

  • PDF

월둔굴의 자원적 가치연구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7
    • /
    • pp.35-55
    • /
    • 1991
  • 원둔굴은 그 성인상으로 보아 종유굴 즉 석회동굴에 속한다. 즉 석회암지층이 땅 표면에 덮고 있을 때 이 땅 표면에 비간 내리면 그 빗물이 이 석회암층을 용식하면서 땅속으로 스며들어간다. 이때 땅속에 침투한 지하수의 물방울들은 그 모두가 지층인 석회암층을 누비면서 흘러 들어온 빗방울 즉 지하수의 물줄기가 흘러 나아간 지하수통로가 바로 동굴인 것이다. 이때 이동굴은 석회암층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성인상 석회동굴이다.(중략)

  • PDF

Fake Limestone Cave of Geon-Ji Gul Accompanied with Lava-calcification (용암석회질화가 수반된 위종동 건지굴)

  • Soh, Dea-Wha;Hong, Young-Ja;Soh, Hyun-Jae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7
    • /
    • pp.31-42
    • /
    • 2007
  • 북제주군 협재리 해안가 인근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응암석회질화(鎔岩石灰質化: lava-calcification)의 위종동(僞鐘洞)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상황에 근거한 분석,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생태와 환경 및 동굴해안접경구와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주위에 흔히 분포되어있는 스코리아에 대해 분석응용을 하였다. 용암(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의 위종동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공극에 석회질 성분이 침투, 고화, 융합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의 발생으로 오히려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역할과 같이 견고하게 진행되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재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한국동굴의 주요 지형지물

  • 한국동굴학회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7
    • /
    • pp.58-77
    • /
    • 1988
  • 동굴의 지표면이나 동굴속에는 갖가지 지형과 지물이 발달한다. 이들은 그 동굴의 종유에 따라 그 생성에도 크게 차이가 있다. 예를 든다면 석회동굴에 있어서는 이차적으로 동굴이 생기고 난 다음에 이차적으로 지형 지물들이 생성되는데 반하여 화산동굴의 경우는 일차적으로 동굴이 형성될때에 동굴에 지형지물이 생기게 되고 그 후 용암이 냉각된 이후에는 생성물이 없는 것이 원칙이다, 물론 제주도의 협재굴이나 표선굴의 경우는 예외라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환선굴의 지형지물 분포와 가치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35
    • /
    • pp.23-31
    • /
    • 1993
  • 환선굴은 이른바 복합형이면서도 토출형의 석회동굴이다. 동굴내 지형의 기복이 다양하고 동굴 내부에 수많은 대소의 폭포와 여울이 걸려 있는 동굴유가 풍부한 동굴이며 동굴의 2차생성물은 이 동굴의 지표면을 이루고 있는 지층이 빈약하므로 2차생성물의 성장이 활발하지 못한 동굴이다. 동굴 천정의 지층 구조로 보아 제 Ⅰ지구에서는 비교적 이차생성물이 발달되고 있으나 그밖의 동굴 내부지역에서는 발달이 미약하다.(중략)

  • PDF

A Study of Cave Property and Plan to manage Environmental Conservation (동굴의 특성과 환경보전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홍철화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3-8
    • /
    • 1997
  • 동굴은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자연동굴과 인공적으로 굴착한 인공동굴이 있다. 물론 여기에서 논하고자 하는 동굴은 자연동굴에 관한 특성과 보전, 관리에 대한 견해를 논하고자 한다. 사실상, 자연동굴에도 크게 나누어 보더라도 석회동굴인 종유굴, 화산지대의 화산동굴, 그밖에도 바닷가나 강가절벽에서 형성된 파식굴, 이밖에도 많은 종류로 세분할 수 있다.(중략)

  • PDF

월둔굴 지역의 지리환경

  • 홍승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96-97
    • /
    • 1994
  • 월둔굴은 그 성인상으로 보아 종유동굴 즉 석회동굴이다. 한편 월둔굴은 수직동굴이기도 하다. 땅밑으로 그대로 하각침식하면서 땅천정의 낙반등으로 땅속으로 깊게 파고 들어간 수직동굴이다. 즉, 커다란 광장이 땅속에 발달하고 있는 것이다.(중략)

  • PDF

동굴학에 관한 문헌

  • 박면용;이근식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3
    • /
    • pp.24-25
    • /
    • 1978
  • 우리나라에서는 학술과 관광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명한 석회동굴이 영월, 단양, 삼척, 울진, 제주도 등을 비롯하여 많이 산재하고 있으며, 동굴에 대한 탐험과 연구자는 최근에 들어 한국동굴학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