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탄

Search Result 2,24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ffect of Oyster Shell, Fly Ash and Gypsum Application on Rice Yield and Quality (패각, 석탄회 및 석고 시용이 벼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 Lee, Young-Han;Kim, Jong-Gyun;Lee, Han-Saeng;Cho, Ju-Sik;Ha, Ho-Seo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3
    • /
    • pp.242-247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oyster shell, fly ash and gypsum on rice yield and quality. The four treatments of soil amelioration were oyster shell 4, fly ash 80, fly ash 56 + gypsum 24 and oyster shell 0.8 + fly ash 40 + gypsum 24 ton/ha. Rice yield were in the order of oyster shell, fly ash and control plats. The pH, EC values and OM, Ca, $SO_4$, moisture contents of the top-soil after rice harvesting in soil amelioration treatments were increased, while Mg, Na, Fe, Zn and Al were de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Rice quality was the best in the fly ash plat due to lower T-N and higher Mg/K ratio.

  • PDF

Properties of Carbon-Rich Particles and Purified Ash Obtained from Countercurrent Column Flotation (부유분리법에 의해 분리한 고순도 정제석탄회와 고탄소 석탄회의 특성)

  • 이정언;안영철;김성찬;구재현;나성수;신진혁;이재근
    • Resources Recycling
    • /
    • v.8 no.4
    • /
    • pp.11-19
    • /
    • 1999
  • Fly ash generated from (he pulverized coal power plant have caused the serious ocean pollution due to the disposal in the ash pond, the life reduction of a power plant and the waste of re-utilizable resource The research to reuse the unburned carbon and mineral composing of the ash has been progressed.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high grade ash and unburned carbon particles obtained from countercurrent column flotation are investigated. The cleaned ash of the less 0,5% loss on Ignition(LOI) in carbon content is a spherical sphere and 39.8${\mu}m$ in size of MMD(Mass Median Diameter). 2.22 $m^2/g$ of specific area. The morphology of high LOI carbon particles is a amorphousness, 76.6 ${\mu}m$ of particle size and 15.2 $m^2/g$ of specific The high grade cleaned ash and the high LOI ash have some difference in the light of physical. 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PDF

석탄가스화 기술 동향 및 한국형 300MW급 IGCC 실증플랜트 기술개발

  • Kim, Dae-Se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6 no.10
    • /
    • pp.38-43
    • /
    • 2016
  • 고체연료인 석탄을 사용하기 편리한 기체나 액체연료로 변환하는 석탄가스화 기술은 1900년도 초 독일에서 필요한 연료의 많은 부분을 석탄을 이용해 사용했던 기술이며, 최근 석탄사용으로 인한 먼지, 황산화물 등 발생에 대해 상대적으로 친환경 설비인 IGCC 발전설비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olid Materials sampled in the Bench Scale Coal Gasifier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 시스템내의 고체시료 특성)

  • Jung, Bongjin;Lee, Na-Yeon;Lee, Chan;Nam, Wonjun;Kim, Kyoung-Hoon;Yoon, Young-Se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3.1-73.1
    • /
    • 2011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시스템은 고온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에서 미분탄을 산소와 함께 가스화하여 주로 CO 및 $H_2$를 생성하고 이때 발생되는 먼지 및 황성분은 각각 집진기 및 탈황장치에서 제거되며, 석탄 회분은 고온에서 용융되어 슬래그의 형태로 배출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파악하기 위해서, 고온 고압의 운전조건에서 1일 3톤의 석탄을 처리할 수 있는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를 이용하여 가스화에 사용된 원탄 및 가스화기 설비의 각 지점에서 샘플링한 고체 시료를 중심으로 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스화 실험은 아역청탄 계열의 ABK 석탄을 대상으로 가스화기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1400{\sim}1450^{\circ}C$, $7.5{\sim}7.6Kg/cm^2$로 유지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석탄 시료의 기본적인 물성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준방법에 따라 석탄의 공업분석, 원소분석, 발열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탄가스화기에서 배출된 슬래그와 대상 석탄 회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XRF를 이용한 회분의 성분분석, Heating Microscope를 이용한 회분의 용융점 분석, XRD를 이용한 회분과 슬래그내의 화합물의 형태 및 결정구조 파악, SEM을 이용한 슬래그의 형상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설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관련 설비의 특정 지점에서 채취한 시료의 입도분석, 원소분석, 촤 회분 무게비, 슬래그중의 잔존탄소함량, 슬래그와 슬래그로부터 제조된 용출수내의 중금속 함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 PDF

The Technology for On-line Measurement of Coal Properties by using Near-Infrared (근적외선을 이용한 온라인 석탄 성상분석 방법)

  • Kim, Dong-Won;Lee, Jong-Min;Kim, Jae-Sung;Kim, Hak-Jo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5 no.6
    • /
    • pp.596-603
    • /
    • 2007
  • Rapid or on-line coal analysis is of great interest in coal industry as it would allow efficient plant operation. Multivariate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near-infrared(NIR) spectra coal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al properties(%) (moisture, ash, volatile matter, fixed carbon, carbon, hydrogen, nitrogen, oxygen, sulfur), heating value(kcal/kg) and corresponding near-infrared spectral data.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pplying PLS(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to determine a methodology abl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coal properties and NIR spectral data being applied mathematical pre-treatments for minimizing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sample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technique is able to classify the species of coals and to predict the all coal properties except ash, nitrogen and sulfur. The efficient operation of coal fired power plant is expected owing to real time on-line coal analysis of moisture and heating value.

Total Phenol Value in Urine for the Phenol Resin Workers (석탄산 수지 작업자의 뇨중 석탄산총량과 증상)

  • Ahn, Kyu-Dong;Kim, Doo-Hi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19 no.2 s.20
    • /
    • pp.224-232
    • /
    • 198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ealth consequences of phenol resin workers for 6 weeks from February 21, to March 28, 1986. The subject population was 26 in a factory with phenol resin and control group was 30 non-exposed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he other factory. The biological parameters chosen for this study were phenol concentration in working room-air, total phenol level in urine and BUN of phenol resin workers. The phenol concentration in working room-air and total phenol in uri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0.791, p<0.01). The frequency of symptom and sign in phenol resin workers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The frequent symptom and sign were coughing, weight loss, poor appetite, headache, dyspnea, eye irritation and tinnitus, in order. Total phenol in urine was not reversed to normal range in spite of interruption of exposure for 4 days. The BUN value in blood and total phenol in urine were not correlated.

  • PDF

Development of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from Coal Gasification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개발)

  • Kim, Jae-Sung;Lee, Jong-Min;Kim, D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62-465
    • /
    • 2007
  •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 분야는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하에서 반응가스(산소, 수증기, 수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생산된 연소성 가스 ($H_2$, CO, $CO_2$ 등)를 전환반응(WGS) 및 분리반응을 거쳐 효율적으로 청정하게 수소를 생산해 내는 기술이다. 전력산업에서 석탄가스화 수소생산은 그 사용 방법(연료전지, 수소 터빈, 분산 이용 등)에 따라 발전시스템의 고효율화를 지향하고, zero-emission을 실현하는 첨단 발전 시스템의 종합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더불어, 도래하는 수소 경제로의 전이에 대비에 석탄을 이용한 중앙(Central) 수소생산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송 및 전환을 통한 지역적 분산 이용을 가능케 하는 종합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에는 석탄가스화 기술, 수성가스 전환기술, 수소/$CO_2$ 분리기술, 이송용 연료 전환기술 등이 포함된다.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은 급등하는 오일 가격과 이의 수입사용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안보 대책 마련 및 효율 극대화의 필요성과 더불어, 전력산업에서 화력 발전시스템의 궁극적 실현 목표인 고효율, 초청정의 전력생산 시스템의 구현을 가능케 하여, 향후 화석 연료를 이용한 미래 발전 기술을 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수소 경제로의 전환 시 수소 수요의 급팽창에 대비한 경제적인 대규모 수소생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기술 실현성이 가장 높은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의 개발 구현이 요구된다.

  • PDF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Usibelli Coal in a Entrained Bed Coal Gasifier (분류층 건식 석탄가스화기에서 유시벨리탄의 가스화 특성)

  • 유영돈;유희종;윤용승;정광국;안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05a
    • /
    • pp.3-8
    • /
    • 1998
  • 석탄을 이용한 차세대 발전 시스템으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존 석탄화력 발전소의 발전 효율인 36-38%보다 적어도 2-6%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1세기 석탄 이용시 적용될 환경 규제치를 가장 현실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차세대 석탄화력발전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략)

  • PDF

석탄공급방식에 따른 250MW급 IGCC 플랜트의 성능 평가

  • 이승종;이진욱;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104-112
    • /
    • 1996
  • 석탄공급방식에 따른 250MW급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의 성능을 생성가스의 발열량 및 발전 효율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대상탄은 Illinois No. 6탄, Drayton탄, Buckskin탄 및 Usibelli탄을 사용하였으며, 각 탄에 대하여 건식 및 습식 석탄 공급 방식에 따른 생성가스 및 정화가스의 조성과 IGCC 플랜트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탄소 함량이 높을수록 발전 효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습식 석탄공급방식보다는 건식 석탄공급방식이 발전효율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석탄층메탄가스자원의 잠재성

  • 박석환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13-216
    • /
    • 2003
  • 1990년대에 들어와서 미국을 비롯한 석탄자원 부국들은 석탄층메탄가스자원을 에너지로 이용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현재 그 생산과 이용규모를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약 15억 톤의 무연탄자원이 확인되지만 수요처 상실로 1980년대 후반부터 석탄합리화 과정을 통해 석탄생산량은 2700만 톤/년에서 400만 톤/년 이하로 급감 했으며 가행탄광 수도 350여 개에서 10개로 감소됐다. 이러한 추세로 보면 국내무연탄자원은 사실상 사장 화 될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