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탄가스화발전 슬래그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haracteristics of Solid Materials sampled in the Bench Scale Coal Gasifier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 시스템내의 고체시료 특성)

  • Jung, Bongjin;Lee, Na-Yeon;Lee, Chan;Nam, Wonjun;Kim, Kyoung-Hoon;Yoon, Young-Se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3.1-73.1
    • /
    • 2011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시스템은 고온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에서 미분탄을 산소와 함께 가스화하여 주로 CO 및 $H_2$를 생성하고 이때 발생되는 먼지 및 황성분은 각각 집진기 및 탈황장치에서 제거되며, 석탄 회분은 고온에서 용융되어 슬래그의 형태로 배출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파악하기 위해서, 고온 고압의 운전조건에서 1일 3톤의 석탄을 처리할 수 있는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를 이용하여 가스화에 사용된 원탄 및 가스화기 설비의 각 지점에서 샘플링한 고체 시료를 중심으로 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스화 실험은 아역청탄 계열의 ABK 석탄을 대상으로 가스화기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1400{\sim}1450^{\circ}C$, $7.5{\sim}7.6Kg/cm^2$로 유지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석탄 시료의 기본적인 물성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준방법에 따라 석탄의 공업분석, 원소분석, 발열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탄가스화기에서 배출된 슬래그와 대상 석탄 회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XRF를 이용한 회분의 성분분석, Heating Microscope를 이용한 회분의 용융점 분석, XRD를 이용한 회분과 슬래그내의 화합물의 형태 및 결정구조 파악, SEM을 이용한 슬래그의 형상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설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관련 설비의 특정 지점에서 채취한 시료의 입도분석, 원소분석, 촤 회분 무게비, 슬래그중의 잔존탄소함량, 슬래그와 슬래그로부터 제조된 용출수내의 중금속 함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 PDF

Prediction of Slag Behavior in an Entrained Flow Coal Gasifier for IGCC (IGCC용 분류층 석탄가스화기 내부에서의 슬래그 거동 예측)

  • Chung, Jaehwa;Chi, Junhwa;Lee, Joongwon;Kim, Simoon;Seo, Seokbin;Park, Hoyo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75.2-75.2
    • /
    • 2011
  • 고온고압에서 운전되는 IGCC용 분류층 석탄가스화기는 석탄에 포함된 회 성분을 대부분 용융 슬래그 형태로 가스화기 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하여 가스화기 하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용융 슬래그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것은 가스화기의 안정적인 운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그 층 내의 물질수지, 운동량 및 에너지 보존을 고려하여 석탄가스화기내의 슬래그 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모델 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슬래그 거동 모델 식들을 적용하고 가스화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가스화기 내부에서의 슬래그 거동을 해석하였다. 또한 슬래그 물성치들인 슬래그 점도, 슬래그 비열, 슬래그 밀도, 슬래그 열전달 계수 등을 슬래그의 조성 변화에 따라 별도로 산정하여 슬래그 해석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슬래그에 첨가되는 석회석의 비율을 해석의 주요 변수로 사용하여 가스화기 하부에서 용융 슬래그 및 고체 슬래그 두께, 용융 슬래그 층 내부에서의 슬래그 점도분포 및 슬래그 속도분포 등 슬래그 거동의 주요 특성들을 예측하였다. 해석결과로 석탄에 석회석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슬래그의 임계점도온도(temperature of critical viscosity)와 점도가 낮아지므로 가스화기 벽면에서의 용융 슬래그의 유동속도는 빨라지며, 고체 슬래그와 용융 슬래그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al gasification and A new IGCC system (석탄가스화와 새로운 IGCC 시스템)

  • Kim, Hyun-Y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361-363
    • /
    • 2008
  • 탄소 개질반응은 $1200^{\circ}C$(도1) 이상에서 모든 탄화물질과 수분 또는 $CO_2$ 사이에서 흡열/환원반응이 일어나서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개질반응로는 산화반응로와 연결되어, 수소가스와 CO 가스의 혼합인,합성가스가 산화반응로 내에서 산소가스와 연소하여 열과 $H_2O+CO_2$를 생성하여 환원 반응로 내로 유입되어, 환원 반응로를 $1200^{\circ}C$ 이상으로 유지하고, $H_2O$$CO_2$는 석탄 속의 모든 탄소를 CO로 개질한다(도2). 동시에 수소가스가 생성되어 합성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석탄 속의 비탄소 물질인 슬래그(Slag)는 개질로 내에 남게 되는데, 개질로를 슬래그 융점(non-fluid point) 이하에서 고체상태로 포집함으로서 Fly-ash로 처리된다. 개질로 내의 온도를 $1200{\sim}1300^{\circ}C$(석탄 슬래그 융점)로 유지함으로서 개질반응이 지속되어 합성가스가 생성된다. IGCC 시스템에서는 합성가스를 가스터빈 속에서 $O_2E가스와 연소하여 고온의 가스를 생성하여 터빈을 가동해 발전을 하고 배출가스를 $1500{\sim}1700^{\circ}C$에서 배출한다. 재래식 IGCC(도4)에서는 ${\sim}1500^{\circ}C$의 배출가스를 열교환 시스템에 의해 증기를 생성하여 Steam turbine(증기터빈)을 가동하여 추가 전력을 생산했다. 그러나 본 시스템에서는 배출가스(증기와 $CO_2E 가스)를 위의 개질로에 유입하여 개질로 온도를 $1200{\sim}1300^{\circ}C$로 유지함으로서 더 많은 합성가스를 생성 하게 된다(도3). 이렇게 하여 Oxidation-reduction cycle을 형성하게 된다. 새로운 IGCC 시스템에서 가스 터빈의 배출가스가 석탄 개질로에 연결되고 석탄개질로의 합성가스 출구가 가스터빈의 가스 입구에 연결됨으로서,외부에너지 주입 없이 지속 가능한 가스화 반응과 터빈 사이클(Cycle)을 완성하여 IGCC 시스템의 석탄 열효율을 1단계 상승시켰다. 이렇게 설계된 석탄가스화기는 Lurgi형 석탄가스화 기와 달리 석탄개질반응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슬래그 처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석탄가스화기가 소형화 될 수 있으며 슬래그(Slag)용융에 따른 석탄가스화기의 외벽손상을 피할 수 있다.

  • PDF

Study on Flow Properties and Rheology of Slag from Coal Gasification Based on Crystalline Phase Formation (결정상 분석을 통한 석탄가스화기 Slag 특성 연구)

  • Koo, Jahyung;Paek, Minsu;Yoo, Jeongseok;Kim, You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73.1-73.1
    • /
    • 2011
  • 분류층 석탄가스화기에서 슬래그의 원활한 배출은 가스화 플랜트 운전 및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스화기의 운전 온도에서 슬래그 점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가스화기 하부 슬래그 배출구 막힘 현상을,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는 Membrane wall의 slag 두께가 얇아져 가스화기 수냉벽에 열적 악영향을 미친다. 가스화기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한 석탄 선정 시, 석탄 슬래그의 용융온도 및 점도의 파악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석탄슬래그의 용융온도는 ASTM D-1857 절차에 따른 환원분위기에서의 회융유온도(FT)측정을 통해, 점도는 고온점도측정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런 실험적인 분석방법은 다양한 슬래그조성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므로 슬래그조성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용융온도 및 점도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여 탄종의 회용유점 측정 결과와 FactSage에서 예측되는 슬래그 결정상 생성 및 회용유점(FT)에서의 고체분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Ash 조성(SiO2, Al2O3, Fe2O3, CaO)에 대한 회용유점(FT)을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50여 탄종의 슬래그 점도 측정 결과를 Facsage에서 예측되는 결정상 종류 및 Ash 조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결정상 종류 및 Ash 조성을 기준으로 기존 슬래그점도예측모델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슬래그 점도 예측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플랜트 운전 결과 검증을 통하여 석탄 가스화 플랜트에 적합한 석탄의 선정, 혼탄 비율 및 첨가제 투입량 결정을 위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Prediction of Coal Ash Slagging for Entrained Flow Gasifiers (분류층 석탄가스화기 Slag 용융특성 예측)

  • Koo, Jahyung;Kim, Bongkeum;Kim, You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8.1-108.1
    • /
    • 2010
  • 분류층 가스화기는 석탄과 산소(공기) 및 수증기가 반응하여 $1200{\sim}1600^{\circ}C$의 고온, 20~60기압의 고압에서 작동되어 합성가스를 생성하며 합성가스에 포함된 입자 및 황화합물 등을 정제설비를 통하여 정제 후 발전 및 화학원료로 사용한다. 석탄가스화 중 석탄에 포함된 대부분의 회분은 용융슬래그 형태로 가스화기 벽면을 따라 흘러 내려 가스화기 하부의 냉각수조에서 급랭되어 배출된다. 이때 용융슬래그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는 일정범위의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슬래그의 점도는 가스화기 온도 및 Ash의 조성에 따라 크게 변하며 가스화기 설계 및 운전 시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따라서 최적의 설계 및 운전을 위해서는 Ash의 점도예측이 중요하며, 분류층 가스화기내부에서 Ash 점도 예측을 위한 DooVisco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DooVisco는 가스화기 내부에서 슬래그 용융온도 및 온도별 점도, 가스화기 최소 운전온도 및 석회석 투입 효과 분석뿐만 아니라 석탄의 혼합 사용 시의 특성 예측도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DooVisco는 슬래그 주요 4성분인 SiO2, Al2O3, CaO, FeO 성분에 대한 Phase Diagram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슬래그용융온도(Liquidus Temperature)를 예측하고, 주요 4 성분 외에 Na2O, MgO, K2O, TiO2 등을 고려한 Kalmanovich Model을 이용하여 점도를 예측한다. 최종적으로 슬래그 용융온도와 점도를 활용하여 분류층 가스화기 운전가능 온도범위를 예측한다. 개발된 DooVisco를 활용하여 300MW급 실증 IGCC 플랜트에 사용가능성이 있는 석탄을 대상으로 슬래그의 용융온도 및 점도 등을 예측하였으며 최적 운전을 위한 슬form점도 조절용 Flux인 석회석 투입량 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슬래그 용융온도가 $1700^{\circ}C$ 이상으로 석회석 투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약 가스화기 내부 온도를 $1500^{\circ}C$ 정도에서 원활한 운전을 위해서는 석탄 대비 약 10% 내외의 석회석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DooVisco는 분류층 가스화기 설 계시 가스화기 최적 운전 온도 설정 및 Flux 투입필요성, 종류, 투입량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랜트 운전시 석탄의 탄종 적합성 등을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Thermodynamic equilibrium study of multicomponent slag viscosities (합성 슬래그에서 열역학적 평형에 의한 결정체 형성경로 예측)

  • 박윤경;조철범;오명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3-208
    • /
    • 2002
  • 1990년대에 이르러 안정적인 에너지원의 공급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공해문제를 해소하고, 기존의 석탄 발전소보다 20∼30% 높은 효율의 복합 가스화발전이 연구되고 있다. 가스화 복합발전에서 석탄의 회분에서 형성된 슬래그의 원활한 제거는 연속공정의 필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슬래그 유동성의 주요인자인 점도변외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체 형성 경로를 조사하였다.(중략)

  • PDF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Mock-up Using Coal Gasification Slag as Fine Aggregate. (석탄가스화 발전슬래그를 잔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 Mock-up 부재의 공학적 특성)

  • Han, Jun-Hui;Lee, Young-Jun;Hyun, Seung-Yong;Han, Min-Cheol;Yoon, Ki-Won;Han, Cheo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8.11a
    • /
    • pp.159-160
    • /
    • 2018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ck-up test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coal gasification slag (CGS) from the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ation Cycle (IGCC) to the concrete fine aggregate. The analysis shows that CGS and crushed sand mix is the best combination of CGS combined with about 50 % of CGS based on the effects of promoting liquidity and strength. This is expected to be a positive factor in securing th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concrete given the optimal mix of CGS, and may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 PDF

Effect of Using Coal Gasification Slag as Fine Aggregate on Field Applicability of the Concrete through Mock-up Test (Mock up test를 통한 석탄가스화 발전슬래그를 잔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적용 가능성 분석)

  • Han, Jun Hui;Lee, Young Jun;Hyun, Seung Yong;Han, Min Cheol;Yoon, Ki Won;Han, Cheon 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8.11a
    • /
    • pp.21-22
    • /
    • 2018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ck-up test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coal gasification slag (CGS) from the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ation Cycle (IGCC) to the concrete fine aggregate. The analysis shows that CGS and crushed sand mix is the best combination of CGS combined with about 50 % of CGS based on the effects of promoting liquidity and strength. This is expected to be a positive factor in securing th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concrete given the optimal mix of CGS, and may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 PDF

Reduction of Hydration heat of FA concrete using Coal Gasification Slag for Mixed Fine Aggregate (석탄 가스화 용융 슬래그를 혼합 잔골재로 사용한 FA 치환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

  • Han, Jun-Hui;Lee, Young-Jun;Choi, Il-Kyung;Kim, Jung;Han, Min-Cheol;Han, Cheo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9.11a
    • /
    • pp.79-80
    • /
    • 201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ducing hydration heat by FA substitution and combination of slag (CGS) from coal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IGCC) with mixed aggregate for concret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good results if liquidity increases as the ratio of CGS increases, air volume decreases, and compressive strength is mixed up to 25% in the residual aggreg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at of hydration was reduced compared to plain due to the boron content of CGS as the CGS substitution rate increased, but it was larger due to the combination with FA substitution. It was found that the heat of hydration was reduced.

  • PDF

Characteristics of Solid Samples discharged from 3T/D Coal Gasifier (3T/D 석탄가스화기에서 배출된 고체시료의 특성)

  • 구석본;정봉진;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11a
    • /
    • pp.11-17
    • /
    • 1999
  • 기존의 미분탄 화력발전시스템에 비해서 NO$_{x}$, SO$_{x}$, $CO_2$, 분진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발전효율도 높아서 석탄 사용에 따른 지구의 환경오염 저감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은 청정석탄 이용기술로 크게 관심을 모으고 있어서 국내외적으로 관련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은 미분탄을 산소와 함께 고온ㆍ고압의 가스화기에서 가스화하고 이때 발생된 분진 및 유황성분은 각각 집진 및 탈황장치에서 제거하며, 석탄 회분은 용융시켜 슬래그의 형태로 배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중략)(중략)

  • PDF